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단행본

단행본

단행본

코리언의 생활문화, 다름의 공존

발행사항
서울 : 선인, 2015
형태사항
233 p. : 삽화 ; 24 cm
ISBN
9788959338900
청구기호
380.911 건16코
서지주기
참고문헌(p. 217-225)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5540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554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민족공통성 네 번째 시리즈’ 제3권 『구술로 본 코리언의 역사적 트라우마』에서 우리의 역사 속 통합서사의 사례들을 전근대의 설화 및 소설 그리고 오늘날 분단소설과 영화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통합서사의 모습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점입니다. 우선 방법론적으로 분단서사를 치유하는 ‘통합서사’에 대한 개념을 고찰하고, 통일에 기여할 수 있는 통합장치로서 문학적 서사방법들을 탐색했습니다. 또한 『삼국유사』에 수록된 설화적 서사기법 분석을 통해 고려 건국의 사회통합 기능을 살펴보거나 고소설의 서사기법 분석을 통해 병자호란 이후 여성의 상처와 치유에 관한 통합서사의 의미를 해명하였습니다. 나아가 오늘날 대중적인 분단소설과 영화 그리고 전쟁을 직접 경험한 세대들의 구술담을 통해 통합서사가 지향해야 할 핵심적 가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이를테면 분단체제로 인해 억압되어 있는 욕망의 해소, 고통의 연대적 공감을 통한 다시 기억하기, 타자와의 교감과 공존적 관계의 형성 등이 통합서사 형성에서 핵심적 가치라는 점을 제시하였습니다.
넷째, ‘민족공통성 네 번째 시리즈’에 수록된 내용이 통일인문학연구단 연구진뿐만 아니라 재중 조선족 및 재일 조선인 학자들의 연구성과를 포함하고 있는 점입니다. 저희 연구단은 그동안 통일의 범주를 남북 주민은 물론이고 전 세계의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통합으로까지 확대해왔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동포 학자들과의 정기적인 국제학술대회를 통해 학술교류를 꾸준히 진행해왔을 뿐만 아니라, ‘민족공통성’과 같은 특정 주제와 관련해서는 국제적인 협동연구를 실질적으로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민족공통성 네 번째 시리즈’ 제2권에 수록된 네 편의 글(연변대학교 김성희 교수, 연변대학교 박미화 교수, 조선대학교 박정순 교수, 조선대학교 리용훈 교수)과 제3권에 수록된 세 편의 글(연변대학교 김호웅 교수, 연변대학교 서옥란 교수, 조선대학교 리영철 교수)은 이러한 학술교류와 협동연구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발간사 中)

[저자소개]

정진아 :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교수
전영선 :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김진환 :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김 면 :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김성희 : 중국 연변대학교 교수
박미화 : 중국 연변대학교 교수
박정순 : 일본 조선대학교 교수
리용훈 : 일본 조선대학교 교수

목차

Ⅰ부 코리언의 민족문화 양상과 전승

제1장 중국 조선족가요 변천에 대한 시대별 고찰
1. 머리말
2. 조선족 가요에 대한 시대별 고찰
3. 맺음말

제2장 조선족학교 음악교재에 반영된 다문화 내용 분석 연구: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민요”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조선족학교 음악교육의 현황
3. 음악교육과정에 반영된 다문화 내용
4.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민요내용 분석
5. 맺음말

제3장 재일동포의 민족무용을 생각한다
1. 머리말
2. 재일조선인들 속에서 민족무용의 보급과 활동
3. 민족무용에 대한 재일조선인들의 의식
4. 민족무용을 놓고 북과 남, 해외동포들의 차이를 전제로 한 ‘통합’ 모델의 가능성을 찾다
5. 맺음말

제4장 재일코리안의 미술에 대하여

Ⅱ부 코리언의 문화통합을 위한 제언

제5장 고려인·사할린 한인과 한국인의 역사연대와 문화공존
1. 머리말
2. 식민과 분단으로 인한 민족사 인식의 어긋남
3. 민족사의 재정리와 역사연대의 필요성
4. 맺음말

제6장 조선족을 통해 본 문화통합과 민족문화의 현대성 담론
1. 머리말
2. 조선족의 문화정체성과 생활문화의 양상
3. 문화통합과 민족문화 담론의 확장
4. 맺음말

제7장 재일조선인과 한국인의 문화공존 지혜찾기
1. 머리말
2. 본질찾기: 문화충돌의 원인
3. 맥락이해: 문화공존의 실마리
4. 맺음말

제8장 남북 문화공통성 창출을 위한 방안
1. 머리말
2. 문화통합의 개념과 의미
3. 남북 문화공통성 창출의 의미와 정책 방안
4. 맺음말: 남북 문화공통성 창출을 위한 내적 기반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