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1자료실 | G0016649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G001664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책 소개
“목표는 선명하며 길은 뚜렷하다”
대한민국의 새 역사 창조의 출사표
영인 민족중흥의 길 (박정희 전집 5)
‘선진 한국’ 마스터플랜의 완결판
‘기리거나 욕하거나(Love him or hate him).’ 박정희 18년 동안의 3대 거사 중 2가지가 1970년대에 나왔다. 10월유신(또는 독재)과 새마을운동(또는 관제官制 운동)이 그것이다(나머지 하나는 1961년의 ‘혁명 또는 쿠데타’). 그중 새마을운동이 대한민국 현대사의 긍정적인 유산으로 각종 조사에서 첫손 꼽혀 기억되고 외국에도 수출되는 효자상품인데, 하필이면 그의 탄생 100돌을 맞는 해에 그 수출을 스스로 그만두겠다는 대한민국이다(기로에 놓인 원자력발전 수출도 그러고 보니 박정희의 유산이다). 지금 박정희의 <민족중흥의 길>(초판 1978)을 다시 읽어야 할 이유다.
바로 앞 저작인 <민족의 저력>이 나온 해가 그보다 7년 전인 1971년이다(기파랑 재발간, 2017). 그러니까 박정희의 1970년대는 <민족의 저력>으로 열려 <민족중흥의 길>로 닫혔다. 그사이 1971년 마지막 직선제 대통령선거(제7대)에서 당선되고, 1972년 10월유신 직후 제8대 대통령 당선(통일주체국민회의 간선, 12월 23일), 1975년 유신헌법 재신임 국민투표 압승, 1978년 제9대 대통령 당선(간선, 7월 6일). 그 후 두 달이 채 안 돼 이 책이 나왔으니, 9대 대선 전에 이미 책이 조판 중이었거나, 최소한 얼개는 잡혀 있었을 듯하다.
10월유신과 새마을운동이 내건 청사진을 수치로 요약한 구호가 ‘1980년대 수출 백억 불, 국민소득 천 불’이다. 당시로는 말도 안 될 것만 같은 목표였는데, 실제 박정희는 이 두 가지를 1977년에 앞당겨 달성했다. 그래 봤자 중진국 수준이지만, 기세를 몰아 ‘선진 한국’을 얘기하는 게 하나도 어색하지 않던 시절이다. 그래서 <민족중흥의 길>을 ‘선진 대한민국 예약 선언’으로 읽어도 좋다.
번영을 딛고 인류 공영(共榮)으로
책 제목의 ‘민족중흥’은 박정희 평생의 화두다. 민족중흥의 길은 무엇보다 민주주의에서 찾아야겠는데, 민주를 통한 중흥을 가로막는 커다란 적이 하나 있으니 그것은 북한의 존재다. ‘반공이 진짜 민주다.’ 민주를 지켜 민족이 중흥하고 번영으로 가는 길, 그 해법을 제도적 측면에서 실현하려 한 것이 10월유신이다.
‘도둑맞은 폐가(廢家)’ 같던 나라를 인수하고 첫 10년 오로지 경제발전에만 매진한 박정희지만, 어느 정도 이뤄 놓고 나니 가슴 한구석이 허전한 것이 비로소 느껴졌다. 물질로 몸은 안락하게 할 수 있어도 가슴까지 채울 수는 없는 법. ‘근면, 자조, 협동’의 새마을정신은 바로 정신적 측면에서 찾은 중흥과 번영의 해법이었다. 그러니까 <민족중흥의 길>은 10월유신과 새마을운동의 해설서다.
역사에 기록될 우리의 길은 민족의 길이다. 우리는 이러한 민족의 길을 10월유신과 새마을정신에서 찾았다. 우리의 길은 그래서 민주의 길이다. 번영에 이르는 길이다. 번영의 길은 평화의 길로 통한다. (영인 200~204쪽, 평설 223~226쪽 드문드문)
책의 결론으로 제시하는 ‘민족, 민주, 번영’이 국가이기주의로 흐르지 않는 것은, 마지막 ‘평화의 길’이 ‘자리이타(自利利他)’, 나의 이익이 남도 이롭게 하도록 균형을 잡아 주는 덕분이다. 일찍이 혁명 초 저작인 <우리 민족의 나갈 길>(초판 1962. 박정희 전집 제2, 6권으로 재발간, 기파랑, 2017)에서부터 “남이 못살면 나의 재산도 위험하다”는 사실을 꿰뚫어본 그다. 그래서 나의 번영을 토대로 국제질서에 능동적으로 기여하는 ‘민족의 세계적 전개’를 주창하기 앞서, ‘부유한 고독’을 즐기지 않는 ‘인정 있는 사회’를 신신당부하는 것은 자못 인상적이다(제4장 3절).
(...) 잘산다는 것이 과연 무엇이며, 행복의 참뜻이 무엇인가를 새삼스럽게 되새겨 보게 된다. 물질적으로 풍요하다고 해서, 반드시 잘산다고 할 수는 없으며, 물질 그것만이 행복을 가져다주는 것은 결코 아니다. 우리가 실현하려는 것은 오늘의 선진산업사회 그 자체의 모습이 아니라, 그 풍요와 문명과 함께 우리의 아름다운 전통과 인간성이 살아 있는 복된 사회이다. 그런 의미에서 지금 전국에서 전개되고 있는 우리의 새마을운동은 이 땅에 인정 있는 사회를 건설해 나가는 하나의 좋은 본보기라고 할 수 있다. (영인 148~153쪽, 평설 178~182쪽 드문드문)
그렇다. 민주와 공영(共榮)은 사치재였다. “배가 불러야 민주주의도 하지” 하던 44세 혁명가가 환갑 지나 이만 한 대각(大覺)에 도달했다면, 어느 해 세밑에 방송인 봉두완이 했다던 “각하, 내년에는 야당 당수 한번 해 보시죠”라는 덕담이 정말 실현될 수도 있지 않았을까? 역사엔 가정(假定)이 없다지만, 10.26이 아니었던들 말이다. 그렇게 <민족중흥의 길>은 박정희의 마지막 저작이 되었다.
세로쓰기와 한자 노출이 낯선 1970년대 이후 출생 세대를 위해, 책을 현대어로 풀어 쓰고 간추린 가로쓰기 <평설 민족중흥의 길>(남정욱 풀어씀, 박정희 전집 9, 기파랑 刊)을 동시출간했다.
탄생 100돌(1917~2017) <박정희 전집>(全 9권) 발간
2017년은 박정희(1917. 11. 14~1979. 10. 26) 탄생 100주년. 그의 공과(功過)를 둘러싼 논쟁은 여전히 진행 중인 것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박정희가 없었더라면 이 나라는 더 잘되었을 것”이라 말하는 사람은 없다. 정치인 박정희를 비판, 심지어 증오하는 편에서조차 ‘오늘의 대한민국을 설계하고, 세계사에 유례없는 경제발전을 이룬 공’을 정면으로 부정하지 못한다. 그러나 18년 동안 집권하고 사후 38년이 지난 이 ‘한국현대사의 거인’에 대한 평가는 언제나, ‘공과’가 아니라 ‘오직 과(過)’에만 집중되어 있다.
박정희는 생전에 수많은 저술을 발표하고 적지 않은 분량의 유고를 남겼는데, 그중 정식 단행본으로 출간된 것은 <지도자도(指導者道>(1961), <우리 민족의 나갈 길>(1962), <국가와 혁명과 나>(1963), <민족의 저력>(1971), <민족중흥의 길>(1978)의 5종이다. 2016년 말 각계 원로들로 구성된 박정희 탄생 100돌 기념사업 추진위원회(위원장 정홍원 전 국무총리. 이하, ‘추진위’)는 이 저서들을 4권의 영인본으로 재출간(<우리 민족의 나갈 길>, <지도자도>는 합본)하는 것과 동시에, 역시 4권의 ‘평설’로 풀어 쓰고(남정욱 풀어씀), 이제까지 공개된 박정희 생전의 자필 시 전편(全篇)과 일기 선집을 한데 묶은 <박정희 시집>을 합쳐 모두 9권의 ‘박정희 전집’으로 발간했다. 추진위 위원장을 맡은 정홍원 전 총리가 전집 발간사를 썼다.
박정희 저술을 모은 ‘전집’과 함께, <박정희 바로 보기> <박정희 새로 보기>(이상 기출간, 2017), <인간 박정희> <박정희 동반성장의 경제학> <박정희와 노동자의 새벽>(이상 가제, 근간) 등 교양서 및 연구서 시리즈도 순차로 발간 중이다. 모든 출판물은 도서출판 기파랑에서 간행한다.
대한민국의 새 역사 창조의 출사표
영인 민족중흥의 길 (박정희 전집 5)
‘선진 한국’ 마스터플랜의 완결판
‘기리거나 욕하거나(Love him or hate him).’ 박정희 18년 동안의 3대 거사 중 2가지가 1970년대에 나왔다. 10월유신(또는 독재)과 새마을운동(또는 관제官制 운동)이 그것이다(나머지 하나는 1961년의 ‘혁명 또는 쿠데타’). 그중 새마을운동이 대한민국 현대사의 긍정적인 유산으로 각종 조사에서 첫손 꼽혀 기억되고 외국에도 수출되는 효자상품인데, 하필이면 그의 탄생 100돌을 맞는 해에 그 수출을 스스로 그만두겠다는 대한민국이다(기로에 놓인 원자력발전 수출도 그러고 보니 박정희의 유산이다). 지금 박정희의 <민족중흥의 길>(초판 1978)을 다시 읽어야 할 이유다.
바로 앞 저작인 <민족의 저력>이 나온 해가 그보다 7년 전인 1971년이다(기파랑 재발간, 2017). 그러니까 박정희의 1970년대는 <민족의 저력>으로 열려 <민족중흥의 길>로 닫혔다. 그사이 1971년 마지막 직선제 대통령선거(제7대)에서 당선되고, 1972년 10월유신 직후 제8대 대통령 당선(통일주체국민회의 간선, 12월 23일), 1975년 유신헌법 재신임 국민투표 압승, 1978년 제9대 대통령 당선(간선, 7월 6일). 그 후 두 달이 채 안 돼 이 책이 나왔으니, 9대 대선 전에 이미 책이 조판 중이었거나, 최소한 얼개는 잡혀 있었을 듯하다.
10월유신과 새마을운동이 내건 청사진을 수치로 요약한 구호가 ‘1980년대 수출 백억 불, 국민소득 천 불’이다. 당시로는 말도 안 될 것만 같은 목표였는데, 실제 박정희는 이 두 가지를 1977년에 앞당겨 달성했다. 그래 봤자 중진국 수준이지만, 기세를 몰아 ‘선진 한국’을 얘기하는 게 하나도 어색하지 않던 시절이다. 그래서 <민족중흥의 길>을 ‘선진 대한민국 예약 선언’으로 읽어도 좋다.
번영을 딛고 인류 공영(共榮)으로
책 제목의 ‘민족중흥’은 박정희 평생의 화두다. 민족중흥의 길은 무엇보다 민주주의에서 찾아야겠는데, 민주를 통한 중흥을 가로막는 커다란 적이 하나 있으니 그것은 북한의 존재다. ‘반공이 진짜 민주다.’ 민주를 지켜 민족이 중흥하고 번영으로 가는 길, 그 해법을 제도적 측면에서 실현하려 한 것이 10월유신이다.
‘도둑맞은 폐가(廢家)’ 같던 나라를 인수하고 첫 10년 오로지 경제발전에만 매진한 박정희지만, 어느 정도 이뤄 놓고 나니 가슴 한구석이 허전한 것이 비로소 느껴졌다. 물질로 몸은 안락하게 할 수 있어도 가슴까지 채울 수는 없는 법. ‘근면, 자조, 협동’의 새마을정신은 바로 정신적 측면에서 찾은 중흥과 번영의 해법이었다. 그러니까 <민족중흥의 길>은 10월유신과 새마을운동의 해설서다.
역사에 기록될 우리의 길은 민족의 길이다. 우리는 이러한 민족의 길을 10월유신과 새마을정신에서 찾았다. 우리의 길은 그래서 민주의 길이다. 번영에 이르는 길이다. 번영의 길은 평화의 길로 통한다. (영인 200~204쪽, 평설 223~226쪽 드문드문)
책의 결론으로 제시하는 ‘민족, 민주, 번영’이 국가이기주의로 흐르지 않는 것은, 마지막 ‘평화의 길’이 ‘자리이타(自利利他)’, 나의 이익이 남도 이롭게 하도록 균형을 잡아 주는 덕분이다. 일찍이 혁명 초 저작인 <우리 민족의 나갈 길>(초판 1962. 박정희 전집 제2, 6권으로 재발간, 기파랑, 2017)에서부터 “남이 못살면 나의 재산도 위험하다”는 사실을 꿰뚫어본 그다. 그래서 나의 번영을 토대로 국제질서에 능동적으로 기여하는 ‘민족의 세계적 전개’를 주창하기 앞서, ‘부유한 고독’을 즐기지 않는 ‘인정 있는 사회’를 신신당부하는 것은 자못 인상적이다(제4장 3절).
(...) 잘산다는 것이 과연 무엇이며, 행복의 참뜻이 무엇인가를 새삼스럽게 되새겨 보게 된다. 물질적으로 풍요하다고 해서, 반드시 잘산다고 할 수는 없으며, 물질 그것만이 행복을 가져다주는 것은 결코 아니다. 우리가 실현하려는 것은 오늘의 선진산업사회 그 자체의 모습이 아니라, 그 풍요와 문명과 함께 우리의 아름다운 전통과 인간성이 살아 있는 복된 사회이다. 그런 의미에서 지금 전국에서 전개되고 있는 우리의 새마을운동은 이 땅에 인정 있는 사회를 건설해 나가는 하나의 좋은 본보기라고 할 수 있다. (영인 148~153쪽, 평설 178~182쪽 드문드문)
그렇다. 민주와 공영(共榮)은 사치재였다. “배가 불러야 민주주의도 하지” 하던 44세 혁명가가 환갑 지나 이만 한 대각(大覺)에 도달했다면, 어느 해 세밑에 방송인 봉두완이 했다던 “각하, 내년에는 야당 당수 한번 해 보시죠”라는 덕담이 정말 실현될 수도 있지 않았을까? 역사엔 가정(假定)이 없다지만, 10.26이 아니었던들 말이다. 그렇게 <민족중흥의 길>은 박정희의 마지막 저작이 되었다.
세로쓰기와 한자 노출이 낯선 1970년대 이후 출생 세대를 위해, 책을 현대어로 풀어 쓰고 간추린 가로쓰기 <평설 민족중흥의 길>(남정욱 풀어씀, 박정희 전집 9, 기파랑 刊)을 동시출간했다.
탄생 100돌(1917~2017) <박정희 전집>(全 9권) 발간
2017년은 박정희(1917. 11. 14~1979. 10. 26) 탄생 100주년. 그의 공과(功過)를 둘러싼 논쟁은 여전히 진행 중인 것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박정희가 없었더라면 이 나라는 더 잘되었을 것”이라 말하는 사람은 없다. 정치인 박정희를 비판, 심지어 증오하는 편에서조차 ‘오늘의 대한민국을 설계하고, 세계사에 유례없는 경제발전을 이룬 공’을 정면으로 부정하지 못한다. 그러나 18년 동안 집권하고 사후 38년이 지난 이 ‘한국현대사의 거인’에 대한 평가는 언제나, ‘공과’가 아니라 ‘오직 과(過)’에만 집중되어 있다.
박정희는 생전에 수많은 저술을 발표하고 적지 않은 분량의 유고를 남겼는데, 그중 정식 단행본으로 출간된 것은 <지도자도(指導者道>(1961), <우리 민족의 나갈 길>(1962), <국가와 혁명과 나>(1963), <민족의 저력>(1971), <민족중흥의 길>(1978)의 5종이다. 2016년 말 각계 원로들로 구성된 박정희 탄생 100돌 기념사업 추진위원회(위원장 정홍원 전 국무총리. 이하, ‘추진위’)는 이 저서들을 4권의 영인본으로 재출간(<우리 민족의 나갈 길>, <지도자도>는 합본)하는 것과 동시에, 역시 4권의 ‘평설’로 풀어 쓰고(남정욱 풀어씀), 이제까지 공개된 박정희 생전의 자필 시 전편(全篇)과 일기 선집을 한데 묶은 <박정희 시집>을 합쳐 모두 9권의 ‘박정희 전집’으로 발간했다. 추진위 위원장을 맡은 정홍원 전 총리가 전집 발간사를 썼다.
박정희 저술을 모은 ‘전집’과 함께, <박정희 바로 보기> <박정희 새로 보기>(이상 기출간, 2017), <인간 박정희> <박정희 동반성장의 경제학> <박정희와 노동자의 새벽>(이상 가제, 근간) 등 교양서 및 연구서 시리즈도 순차로 발간 중이다. 모든 출판물은 도서출판 기파랑에서 간행한다.
목차
박정희 전집을 펴내며
序 민족사의 분수령에 서서
제1장 우리 것에서의 출발
자주의 맥박
조화의 정신
창조의 슬기
제2장 10월유신과 정치발전
모방정치를 넘어서
생산하는 정치
민주사회의 윤리
제3장 새마을운동과 국가건설
가난의 멍에를 벗고
근면, 자조, 협동의 생활
참여와 실천
제4장 고도산업사회에의 도전
경제발전의 동력
안정 속의 성장과 복지
인정 있는 사회
제5장 민족의 세계적 전개
평화에서 통일로
국제질서의 안정과 변화
능동적 기여의 시대
結言 민족중흥의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