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단행본

단행본

단행본이화여대 북한연구회 총서 ;한울아카데미 12095

김정은 체제: 변한 것과 변하지 않은 것

발행사항
파주 : 한울엠플러스, 2018
형태사항
404 p. : 삽화, 표, 사진 ; 23 cm
ISBN
9788946070011 (양장)
청구기호
309.1111 이96ㄱ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675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675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김정은 체제, 어디로 향할 것인가?

2018년은 한반도의 역사에서, 세계사적 차원에서 매우 의미가 큰 해이다. 2018년의 시작과 함께 고조되던 한반도의 전쟁 위기가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에 북한이 참가하는 것을 시작으로 그동안 경색되었던 남북 관계가 대화를 통해 화해의 길로 접어들었다. 4월 27일에는 남북한 정상이 분단의 상징적 공간인 판문점에서 정상회담을 했고, 5월 26일 두 번째 정상회담이 이루어졌으며, 9월 18일부터 20일까지 올해 세 번째 정상회담을 평양에서 개최했다. 그리고 6월 12일에는 세계 역사상 최초로 북미 정상회담도 열렸다. 유례없는 남북 간 정상의 지속적인 대화와 북미 정상회담 개최는 그동안 고조되었던 한반도의 전쟁 위기를 해소하고, 영구적인 평화의 길로 가는 초석을 다지는 계기이자 평화 만들기의 과정이 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북한학과 박사들은 정치, 경제, 군사, 사회, 문화, 여성 등 다양한 주제에서 전문 영역을 개척하면서 연구 성과를 축적해왔다. 이 책은 이화여자대학교 북한학과 20주년을 기념해 그동안 학과에서 배출한 졸업생들의 연구 성과를 모은 것이다.

13인의 여성 전문가가 말하는 김정은 체제의 모든 것

분단 이래 북한에 대한 관심은 ‘북한학’이라는 학제를 구성하기에 이르렀고, 대학에서는 북한학과를 개설해 ‘북한학’이 학문으로서 체계와 위상을 갖추도록 했다. 공산주의와 분단국가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하던 초창기 북한 연구는 대학의 북한학과와 북한학 전공, 개별 학과에서 북한 연구를 전문화함으로써 양적·질적으로 확대 및 심화되어갔다. 최근의 북한 연구는 주제와 방법, 이론적 측면에서 다양해지고 있으며, 북한과 통일 문제에 대한 정책적·학술적 접근을 통해 현실에서 적용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반도 통일·평화 문제에서 학계가 중요한 역할을 하도록 하는 데 이화여자대학교 북한학과도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이 책은 한반도 문제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환기시키고자 기획되었다. 현재 김정은 체제의 대남·대외 접근 전략은 김정은 체제가 과거와 유사하면서도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상황에 김정은 체제의 최근 행보가 체제의 어떤 특성에서 기인하는 것인지 김정은 체제에 대한 시의적절한 진단과 평가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더욱이 향후 김정은 체제의 향방을 가늠하려면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문제의식하에, 13인의 북한 문제 여성 전문가가 정치·경제·군사·사회·문화 전 분야에 걸쳐 과거와 현재, 미래를 논의함으로써 한반도 상황과 향후 남북 관계의 전망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 책의 구성

이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북한 통치 테크놀로지의 변화’에서는 김정은 체제의 통치와 대외 접근 전략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짚어본다. 직접적인 통치와 대외 전략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치 테크놀로지를 통해 북한 사회에 대한 통치성을 높이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김정은 시대의 정치적 특성에 대해 거시적이고 구조적으로 접근하면서도 미시적이며 문화적으로 다루고자 했다. 2부 ‘북한 경제의 현재와 미래’는 현재 북한의 경제 상황에 대한 분석과 함께 전망을 제시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김정은 시대의 경제적 변화를 사경제화私經濟化와 ‘경제특구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향후 북한 체제의 변화와 관련해 북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개발 협력의 방향을 탐색했다. 2부는 남북 관계의 변화와 국제사회의 흐름 속에서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구체적인 과제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3부 ‘북한 사회의 문화 변동과 정체성’은 최근 나타나고 있는 북한 사회의 변화를 주민들의 의식 변화와 문화 변동, 정체성의 재구성이라는 차원에서 논의했다. 3부는 북한 내부에서 발견할 수 있는 북한 주민의 의식과 삶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뿐만 아니라 남북 관계 차원에서 남북 주민들 간의 통합을 위한 과제와 전망을 다루었다.
목차

1부 북한 통치 테크놀로지의 변화
1장 평양시 현대화: 개혁과 통치의 조응 |박희진|
2장 김정은 시대 대남 군사전략: 경제와 핵 사이 |이미숙|
3장 김정은 시대 예술 정치: 이데올로기, 변용, 틈새 |김정수|
4장 김정은의 동기 이미지와 리더십: 육성 신년사를 중심으로(2013~2018) |김엘렌|
5장 김정은 시대 주민 일탈에 대한 통제 변화: 범죄 관련 법제의 구축 과정 분석 |황의정|
6장 북한의 통일 정책 변화에 관한 이해 |윤은주|

2부 북한 경제의 현재와 미래
7장 북한의 사경제화 현황과 시사점 |이해정|
8장 김정은 시기 북한 경제특구 정책의 변화 |유현정|
9장 북한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제개발협력 |박지연|

3부 북한 사회의 문화 변동과 정체성
10장 북한 주민의 정치의식과 정치 참여: 남녀 비교를 중심으로 |현인애|
11장 김정은 시대 문화정치와 수행적 정체성 |조영주|
12장 남북 관계 전환과 북한 주민의 남한 영상 매체 시청: 소비에트-EU 에스토니아 사례로 본 전망 |박정란|
13장 김정은 시대 『겨레말큰사전』 편찬 사업의 과제와 전망 |모순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