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
브로콜리 펀치: 이유리 소설집
- 개인저자
- 지은이: 이유리
- 발행사항
- 서울 : 문학과지성사, 2021
- 형태사항
- 304 p. ; 20 cm
- ISBN
- 9788932039114
- 청구기호
- 813.7 이67ㅂ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1자료실 | 0001938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0001938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책 소개
“너무 많은 괴로움을 억지로 삼키다 고장 난 게 아닐까.
그래서 괴로움을 그대로, 그대로 받아들이다
결국 어느 날 아침 별안간 브로콜리가,”
구병모, 박솔뫼 강력 추천!
속수무책 벌어지는 이상하고 다정한 우연들
물음표와 느낌표로 가득 찬 이유리 유니버스의 맛
이렇게 골고루 재미있는 소설을 본 이상
품위 있는 표현을 내려놓고 약을 팔아야만 하겠다.
일단 한번 잡숴봐, 이 빨간 열매를.
구병모(소설가)
이상하고 웃긴 동시에 잘 다듬어진 소설,
다 본 뒤에도 그게 뭐였는지는 확신할 수 없는 묘한 이야기
박솔뫼(소설가)
2020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로 작품 활동을 시작한 이유리의 첫 소설집 『브로콜리 펀치』가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되었다. “능청스러우면서도 낯선 상상력과 활달한 문체”가 인상적이라는 호평을 받은 데뷔작 「빨간 열매」와 2021년 ‘올해의 문제소설’ 「치즈 달과 비스코티」를 포함해 ‘이유리 유니버스’를 알리는 8편의 소설이 수록돼 있다.
한국 문학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이미 여러 기획에서 이유리의 이름을 눈여겨봤을 것이다. 데뷔 후 작가는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는 작품을 부지런히 발표해왔다. 『브로콜리 펀치』에서 이유리는 일상에 초자연적 사건과 비일상적 존재가 불쑥 침범하는 작가 특유의 세계를 소개한다. 아무렇지 않은 듯 그것을 환대하는 인물들로 인해 환상과 현실은 밀착되어 분리할 수 없게 된다. 잔뜩 심드렁하지만 알고 보면 살짝 다정한 사람들이 깊이 억눌리고 엉킨 서로 마음의 매듭을 끊어주는 이야기들. “텍스트를 읽는다는 게 힘들고 마음을 먹어야 되는 일인데 제 글을 읽는 사람들이 기분이 좋아”지는 글을 쓰고 싶다는 작가의 말처럼 『브로콜리 펀치』의 탐스러운 소설들을 입안에 넣고 굴리다 보면 예상치 못한 복합적인 맛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이유리가 그려내는 환상에, 그 자체로 이미 리얼리티를 획득한 세계에 우리는 이미 매료되었다. […] 지금-여기를 적나라하게 재현하는 한국 문학에 대한 통감으로 조금은 지친 마음을 안고 있던 독자들에게 이 책은 다시 한번 소설을 사랑할 수 있는 달달한 각성제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유정(문학평론가)
이유리 유니버스에 어서 오세요
세계관을 만드는 걸 좋아해요.
머릿속에 세계가 있고, 거기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보면서 글로 쓰는 게 제 소설이에요.
―『경향신문』 인터뷰에서
유골을 화분에 옮겨 심자 아버지가 나무로 되살아났다(「빨간 열매」). 복싱 선수인 남자친구의 오른손이 브로콜리가 되었다(「브로콜리 펀치」). 6년 차 아이돌 팬의 티끌 한 점 없는 이타적 사랑인 ‘덕심’이 외계 생물체의 전 우주적 연구 대상이 된다거나(「둥둥」), 사고로 죽은 남자친구가 바닥을 뒹굴던 손톱에 빙의해 5년 만에 신혼집 안방에 나타난다(「손톱 그림자」). 이유리 소설 속 인물들의 일상에는 어느 날 갑자기 기이한 사건이 찾아들지만 그들은 그리 놀라지 않는다. 잠시 멈칫하다가도 금세 별일 아니라는 듯이 대처한다. 「빨간 열매」에서 식물로 되살아난 아버지는 살아 있을 때처럼 딸 ‘유진’에게 귀찮고 자잘한 요구를 하는데 유진은 툴툴거리면서도 번번이 아버지의 바람을 들어준다. 번역가인 유진은 자신이 사과라고 믿는 사람이 등장하는 소설을 번역하면서 “허무맹랑한 이야기”라고 생각하지만 “한 그루 나무로 손색없는” 아버지와의 대화가 가능하다는 사실은 의심하지 않는다. 이렇게 담담한 인물들과 함께 탄력 있는 문장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환상과 현실이 적절히 섞인 이유리의 세계에 휘말리게 된다. 돌과 말할 수 있는 사람(「치즈 달과 비스코티」)이나, 말하는 이구아나에게 수영을 가르쳐주는 수영 강사(「이구아나와 나」)쯤은 ‘이유리 유니버스’ 어딘가에 있을 수 있다고 설득당한다. 작가는 그런 방식으로 독자들을 자신의 호흡에 쉽게 적응시키고 하고 싶은 이야기를 또박또박 이어나간다.
마음의 매듭이 자아낸 일상의 환상
누구를 미워하고 괴로워하고 […]
그런 나쁜 것들을 맘속에 오래 넣고 있다 보면 사람이 버틸 수가 없어져.
사람이 사람이 아니게 되는 것이지.
―「브로콜리 펀치」
나는 어쩌고 싶은 걸까. 계속하고 싶은 걸까, 그만두고 싶은 걸까.
계속하면 어떻게 되고 그만두면 어떻게 되나. 안으로 깊어지지도, 바깥으로 넓어지지도 못한 채 고이고 고여 단단해지는 그런 생각들을 알처럼 품다가 잠들곤 했다.
―「이구아나와 나」
비일상이 섞인 소설 속 현실은 우리의 현실만큼 지독하게 현실적이다. “여러 장의 카드를 보여준 후 아무렇지 않게 뒤집어서 한 번 더 보여주지만 다 본 뒤에도 그게 뭐였는지는 확신할 수 없는 묘한 이야기”라는 소설가 박솔뫼의 추천사처럼 이유리의 소설에는 도무지 알 수 없는 복잡한 맛이 느껴진다. 유쾌한 단맛과 처량한 쓴맛, 기이한 와중에 따뜻함이 얼핏 느껴지기도 하는 이 소설들을 무엇이라고 단언하긴 어렵다. 단순히 유쾌하다고만 말할 수 없는 이유는 인물들이 경험하는 기묘한 현상이 억눌리고 지연된 부정적인 감정들을 가시화한 것이라고 느껴지기 때문이다. 마음속에 힘듦을 숨겨둔 채로 오랜 시간 살아가다가 견디다 못해 생겨나는 암덩어리처럼. 감정 과잉 없이 담백한 이유리 소설 속 인물들은 부정적인 감정을 풀어내는 데는 영 익숙지 않아 보인다. 「브로콜리 펀치」의 복싱 선수 ‘원준’의 오른손이 브로콜리가 되어버린 것은 상대 선수를 때리기 위해 밉지도 않은 사람을 억지로 미워하려고 애썼기 때문이다. 「치즈 달과 비스코티」의 ‘나’ 역시 학교폭력을 당하던 과거에 가해자들의 괴롭힘이 아무 타격도 주지 않는다고 자신조차 속이며 버티다 무너진 순간에 돌과 말하는 능력이 생긴(그렇다고 믿는)다. 「이구아나와 나」에서 친구에게 직설을 듣고 자괴감에 빠진 ‘나’는 헤어진 남자친구가 두고 간 이구아나에게 말을 건다. “야, 우린 버림받았다, 그 쓰레기한테.” 푹 꺼진 눈두덩과 생기 없는 나의 몰골은 이구아나와 닮았다. 제 살 길을 모색하는 친구나 ‘이구아나의 천국’ 멕시코에 가고 싶다는 이구아나를 본 ‘나’는 고민에 빠진다. “나는 어쩌고 싶은 걸까. 계속하고 싶은 걸까, 그만두고 싶은 걸까.” 이처럼 이유리는 “인간 마음에 엉킨 매듭”(소설가 구병모 추천사)을 환상으로 가시화하는 방법으로 외면했던 감정을 마주할 수 있게 한다.
서로를 구원하는 우연한 유대
그저 새가 물고기를 잡는 모습일 뿐인데 신기하게도 그 모습에는 감동, 그래 감동이라고 불러도 손색없을 만한 감흥이 있었으니까. 게다가 그 감흥을 나만 느낀 게 아니라 여기 모인 네 명의 여자가 동시에 느꼈다는 것, 이게 범상한 반응이고 적어도 이곳에서만큼은 보편적인 일이라는 것을 나는 새삼 깨달았고 그 사실이 왠지 재미있고 편안하게 느껴졌다.
―「왜가리 클럽」
“엉킨 매듭”을 마주한 다음엔 어떻게 될까. 이유리의 소설이 복합적인 맛 끝에 대개 미묘한 따뜻함을 품고 있는 것은 이 지점 때문인 듯하다. 같이 버림받은 이구아나가 ‘나’의 새로운 의지에 힘을 실어주었듯이(「이구아나와 나」), ‘오른브로콜리’를 오른손으로 되돌려준 것은 여자친구이자 사회복지사인 ‘나’, ‘나’가 돌보는 할머니, 할머니의 남자친구인 할아버지로 이루어진 헐거운 공동체다. 혈연 같은 끈끈한 인연으로 얽혀 있지 않은, 어쩌면 우연에 가까운 관계인 그들과 보낸 시간으로 인해 원준은 맺힌 마음을 풀어낼 수 있게 된다. 「손톱 그림자」에서 ‘수정’은 갑자기 나타난 전 남자친구 ‘용준’의 유령과 차분히 이야기를 나누고 찌개를 끓여 같이 먹은 뒤, 그가 자신이 있어야 할 곳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돕는다. 이는 용준을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수정 자신에게 필요했던 애도의 과정을 끝마치는 행동이기도 하다.
함께 밥을 먹고, 산 위에 올라가 소리를 지르고, 별것도 아닌 일에 깔깔 웃는 일. 그런 걸 함께할 수 있는 사람들. 「왜가리 클럽」에서 폐업 후 방황하던 ‘양미’를 위로한 것은 왜가리의 사냥 장면을 함께 구경한, 세대도 직업도 다른 동네 주민 네 명이다. 어쩌면 돌과 대화하는 「치즈 달과 브로콜리」의 ‘나’에게도 “다 이해한다”고 말해주는 단 한 사람이 필요했던 것일지도 모른다. 최악의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 생겨났던(만들어낸) 능력은 나를 믿어주는 사람이 생기는 순간 흔들린다. 폭력에 시달리다 몸이 반투명해져버린 「평평한 세계」의 ‘고미’와 ‘새어머니’처럼 싫다고 말할 수밖에 없는 사이에서도 “지독하게 외면해왔지만, 이렇게 투명해지고 난 다음 감출 것이 없어진 뒤에야 두 사람은 그들 사이의 유대마저 바라볼 수 있게 된다”(문학평론가 소유정). 아무리 들여다봐도 쉽게 풀어지지 않는 엉킨 매듭도 우연한 유대로 단번에 풀릴 수 있다고 『브로콜리 펀치』는 보여주고 있는 게 아닐까.
“열심히 해도 안 되는 일이 있지. 살다 보면 꼭 있어, 그런 일이”(「왜가리 클럽」). 백도처럼 “조금만 스쳐도 멍이 들고 물크러”지는 우리 인간이 실패와 상처를 체념 없이 말끔한 마음으로 받아들이기까지는 아직 요원하다. 그래도 “성공과 실패를 같은 무게로 여기는” 단단한 멘탈의 왜가리를 부러워하면서 함께 웃을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작가는 그런 기묘한 평안함을 독자에게 선사하면서 “이상하고 다정한 얼굴들”을 이끌고 ‘이유리 유니버스’를 채워나가고 있다.
그래서 괴로움을 그대로, 그대로 받아들이다
결국 어느 날 아침 별안간 브로콜리가,”
구병모, 박솔뫼 강력 추천!
속수무책 벌어지는 이상하고 다정한 우연들
물음표와 느낌표로 가득 찬 이유리 유니버스의 맛
이렇게 골고루 재미있는 소설을 본 이상
품위 있는 표현을 내려놓고 약을 팔아야만 하겠다.
일단 한번 잡숴봐, 이 빨간 열매를.
구병모(소설가)
이상하고 웃긴 동시에 잘 다듬어진 소설,
다 본 뒤에도 그게 뭐였는지는 확신할 수 없는 묘한 이야기
박솔뫼(소설가)
2020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로 작품 활동을 시작한 이유리의 첫 소설집 『브로콜리 펀치』가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되었다. “능청스러우면서도 낯선 상상력과 활달한 문체”가 인상적이라는 호평을 받은 데뷔작 「빨간 열매」와 2021년 ‘올해의 문제소설’ 「치즈 달과 비스코티」를 포함해 ‘이유리 유니버스’를 알리는 8편의 소설이 수록돼 있다.
한국 문학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이미 여러 기획에서 이유리의 이름을 눈여겨봤을 것이다. 데뷔 후 작가는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는 작품을 부지런히 발표해왔다. 『브로콜리 펀치』에서 이유리는 일상에 초자연적 사건과 비일상적 존재가 불쑥 침범하는 작가 특유의 세계를 소개한다. 아무렇지 않은 듯 그것을 환대하는 인물들로 인해 환상과 현실은 밀착되어 분리할 수 없게 된다. 잔뜩 심드렁하지만 알고 보면 살짝 다정한 사람들이 깊이 억눌리고 엉킨 서로 마음의 매듭을 끊어주는 이야기들. “텍스트를 읽는다는 게 힘들고 마음을 먹어야 되는 일인데 제 글을 읽는 사람들이 기분이 좋아”지는 글을 쓰고 싶다는 작가의 말처럼 『브로콜리 펀치』의 탐스러운 소설들을 입안에 넣고 굴리다 보면 예상치 못한 복합적인 맛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이유리가 그려내는 환상에, 그 자체로 이미 리얼리티를 획득한 세계에 우리는 이미 매료되었다. […] 지금-여기를 적나라하게 재현하는 한국 문학에 대한 통감으로 조금은 지친 마음을 안고 있던 독자들에게 이 책은 다시 한번 소설을 사랑할 수 있는 달달한 각성제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유정(문학평론가)
이유리 유니버스에 어서 오세요
세계관을 만드는 걸 좋아해요.
머릿속에 세계가 있고, 거기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보면서 글로 쓰는 게 제 소설이에요.
―『경향신문』 인터뷰에서
유골을 화분에 옮겨 심자 아버지가 나무로 되살아났다(「빨간 열매」). 복싱 선수인 남자친구의 오른손이 브로콜리가 되었다(「브로콜리 펀치」). 6년 차 아이돌 팬의 티끌 한 점 없는 이타적 사랑인 ‘덕심’이 외계 생물체의 전 우주적 연구 대상이 된다거나(「둥둥」), 사고로 죽은 남자친구가 바닥을 뒹굴던 손톱에 빙의해 5년 만에 신혼집 안방에 나타난다(「손톱 그림자」). 이유리 소설 속 인물들의 일상에는 어느 날 갑자기 기이한 사건이 찾아들지만 그들은 그리 놀라지 않는다. 잠시 멈칫하다가도 금세 별일 아니라는 듯이 대처한다. 「빨간 열매」에서 식물로 되살아난 아버지는 살아 있을 때처럼 딸 ‘유진’에게 귀찮고 자잘한 요구를 하는데 유진은 툴툴거리면서도 번번이 아버지의 바람을 들어준다. 번역가인 유진은 자신이 사과라고 믿는 사람이 등장하는 소설을 번역하면서 “허무맹랑한 이야기”라고 생각하지만 “한 그루 나무로 손색없는” 아버지와의 대화가 가능하다는 사실은 의심하지 않는다. 이렇게 담담한 인물들과 함께 탄력 있는 문장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환상과 현실이 적절히 섞인 이유리의 세계에 휘말리게 된다. 돌과 말할 수 있는 사람(「치즈 달과 비스코티」)이나, 말하는 이구아나에게 수영을 가르쳐주는 수영 강사(「이구아나와 나」)쯤은 ‘이유리 유니버스’ 어딘가에 있을 수 있다고 설득당한다. 작가는 그런 방식으로 독자들을 자신의 호흡에 쉽게 적응시키고 하고 싶은 이야기를 또박또박 이어나간다.
마음의 매듭이 자아낸 일상의 환상
누구를 미워하고 괴로워하고 […]
그런 나쁜 것들을 맘속에 오래 넣고 있다 보면 사람이 버틸 수가 없어져.
사람이 사람이 아니게 되는 것이지.
―「브로콜리 펀치」
나는 어쩌고 싶은 걸까. 계속하고 싶은 걸까, 그만두고 싶은 걸까.
계속하면 어떻게 되고 그만두면 어떻게 되나. 안으로 깊어지지도, 바깥으로 넓어지지도 못한 채 고이고 고여 단단해지는 그런 생각들을 알처럼 품다가 잠들곤 했다.
―「이구아나와 나」
비일상이 섞인 소설 속 현실은 우리의 현실만큼 지독하게 현실적이다. “여러 장의 카드를 보여준 후 아무렇지 않게 뒤집어서 한 번 더 보여주지만 다 본 뒤에도 그게 뭐였는지는 확신할 수 없는 묘한 이야기”라는 소설가 박솔뫼의 추천사처럼 이유리의 소설에는 도무지 알 수 없는 복잡한 맛이 느껴진다. 유쾌한 단맛과 처량한 쓴맛, 기이한 와중에 따뜻함이 얼핏 느껴지기도 하는 이 소설들을 무엇이라고 단언하긴 어렵다. 단순히 유쾌하다고만 말할 수 없는 이유는 인물들이 경험하는 기묘한 현상이 억눌리고 지연된 부정적인 감정들을 가시화한 것이라고 느껴지기 때문이다. 마음속에 힘듦을 숨겨둔 채로 오랜 시간 살아가다가 견디다 못해 생겨나는 암덩어리처럼. 감정 과잉 없이 담백한 이유리 소설 속 인물들은 부정적인 감정을 풀어내는 데는 영 익숙지 않아 보인다. 「브로콜리 펀치」의 복싱 선수 ‘원준’의 오른손이 브로콜리가 되어버린 것은 상대 선수를 때리기 위해 밉지도 않은 사람을 억지로 미워하려고 애썼기 때문이다. 「치즈 달과 비스코티」의 ‘나’ 역시 학교폭력을 당하던 과거에 가해자들의 괴롭힘이 아무 타격도 주지 않는다고 자신조차 속이며 버티다 무너진 순간에 돌과 말하는 능력이 생긴(그렇다고 믿는)다. 「이구아나와 나」에서 친구에게 직설을 듣고 자괴감에 빠진 ‘나’는 헤어진 남자친구가 두고 간 이구아나에게 말을 건다. “야, 우린 버림받았다, 그 쓰레기한테.” 푹 꺼진 눈두덩과 생기 없는 나의 몰골은 이구아나와 닮았다. 제 살 길을 모색하는 친구나 ‘이구아나의 천국’ 멕시코에 가고 싶다는 이구아나를 본 ‘나’는 고민에 빠진다. “나는 어쩌고 싶은 걸까. 계속하고 싶은 걸까, 그만두고 싶은 걸까.” 이처럼 이유리는 “인간 마음에 엉킨 매듭”(소설가 구병모 추천사)을 환상으로 가시화하는 방법으로 외면했던 감정을 마주할 수 있게 한다.
서로를 구원하는 우연한 유대
그저 새가 물고기를 잡는 모습일 뿐인데 신기하게도 그 모습에는 감동, 그래 감동이라고 불러도 손색없을 만한 감흥이 있었으니까. 게다가 그 감흥을 나만 느낀 게 아니라 여기 모인 네 명의 여자가 동시에 느꼈다는 것, 이게 범상한 반응이고 적어도 이곳에서만큼은 보편적인 일이라는 것을 나는 새삼 깨달았고 그 사실이 왠지 재미있고 편안하게 느껴졌다.
―「왜가리 클럽」
“엉킨 매듭”을 마주한 다음엔 어떻게 될까. 이유리의 소설이 복합적인 맛 끝에 대개 미묘한 따뜻함을 품고 있는 것은 이 지점 때문인 듯하다. 같이 버림받은 이구아나가 ‘나’의 새로운 의지에 힘을 실어주었듯이(「이구아나와 나」), ‘오른브로콜리’를 오른손으로 되돌려준 것은 여자친구이자 사회복지사인 ‘나’, ‘나’가 돌보는 할머니, 할머니의 남자친구인 할아버지로 이루어진 헐거운 공동체다. 혈연 같은 끈끈한 인연으로 얽혀 있지 않은, 어쩌면 우연에 가까운 관계인 그들과 보낸 시간으로 인해 원준은 맺힌 마음을 풀어낼 수 있게 된다. 「손톱 그림자」에서 ‘수정’은 갑자기 나타난 전 남자친구 ‘용준’의 유령과 차분히 이야기를 나누고 찌개를 끓여 같이 먹은 뒤, 그가 자신이 있어야 할 곳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돕는다. 이는 용준을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수정 자신에게 필요했던 애도의 과정을 끝마치는 행동이기도 하다.
함께 밥을 먹고, 산 위에 올라가 소리를 지르고, 별것도 아닌 일에 깔깔 웃는 일. 그런 걸 함께할 수 있는 사람들. 「왜가리 클럽」에서 폐업 후 방황하던 ‘양미’를 위로한 것은 왜가리의 사냥 장면을 함께 구경한, 세대도 직업도 다른 동네 주민 네 명이다. 어쩌면 돌과 대화하는 「치즈 달과 브로콜리」의 ‘나’에게도 “다 이해한다”고 말해주는 단 한 사람이 필요했던 것일지도 모른다. 최악의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 생겨났던(만들어낸) 능력은 나를 믿어주는 사람이 생기는 순간 흔들린다. 폭력에 시달리다 몸이 반투명해져버린 「평평한 세계」의 ‘고미’와 ‘새어머니’처럼 싫다고 말할 수밖에 없는 사이에서도 “지독하게 외면해왔지만, 이렇게 투명해지고 난 다음 감출 것이 없어진 뒤에야 두 사람은 그들 사이의 유대마저 바라볼 수 있게 된다”(문학평론가 소유정). 아무리 들여다봐도 쉽게 풀어지지 않는 엉킨 매듭도 우연한 유대로 단번에 풀릴 수 있다고 『브로콜리 펀치』는 보여주고 있는 게 아닐까.
“열심히 해도 안 되는 일이 있지. 살다 보면 꼭 있어, 그런 일이”(「왜가리 클럽」). 백도처럼 “조금만 스쳐도 멍이 들고 물크러”지는 우리 인간이 실패와 상처를 체념 없이 말끔한 마음으로 받아들이기까지는 아직 요원하다. 그래도 “성공과 실패를 같은 무게로 여기는” 단단한 멘탈의 왜가리를 부러워하면서 함께 웃을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작가는 그런 기묘한 평안함을 독자에게 선사하면서 “이상하고 다정한 얼굴들”을 이끌고 ‘이유리 유니버스’를 채워나가고 있다.
목차
빨간 열매
둥둥
브로콜리 펀치
손톱 그림자
왜가리 클럽
치즈 달과 비스코티
평평한 세계
이구아나와 나
해설│슈거 하이Sugar High·소유정
작가의 말
추천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