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연구총서 99-05
\"북한문제\"의 국제적 쟁점
- 발행사항
- 성남 : 세종연구소, 1999
- 형태사항
- 350 p.; 23cm
- 총서사항
- 연구총서
- ISBN
- 8974293668
- 청구기호
- 062 연구99-05
- 내용주기
- [한글]/[영문]제1장 \"\"북한문제\"\"의 국제적 쟁점: 발생원인, 양상, 전망/이종석/ 1. 문제의 제기/ 2. 쟁점발생의 원인/ 3. 쟁점의 양상과 유형화/ 4. 쟁점해결의 모색/ 5. 맺음말: 주도적 문제해결을 위하여//제2장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이익, 제도, 성과/백학순/ 1. 서론: 문제의 제기/ 2. 관련 당사국들간의 협조, 이익 상충 및 제도화/ 3. 경수로사업의 한국에의 예상효과/ 4. 결론: 새로운 발견점, 성과에대한 평가 및 전망//제3장 북한의 식량난과 식량지원 문제/박기덕/ 1. 서론: 문제의 제기/ 2. 남북간 식량지원 문제의 분석을 위한 이론적 인식/ 3. 식량문제의 실태/ 4. 대북 식량지원의 국제양상과 한국의 지원능력/ 5. 식량지원 문제의 게임구도, 북한의 전략 그리고 한국의 대안/ 6. 맺는말//제4장 나진·선봉 경제무역지대: 개방과 국제협력의 시험장/양운철/ 1. 서론: 개방의 필요성/ 2. 두만강유역개발계획의 정치경제적 의미/ 3. 나진·선봉 경제무역지대의 개발현황과 문제점/ 4. 결어: 한국의 역할//제5장 북·미관계: 현황 및 전망/이대우 / 1. 서론/ 2. 북·미관계의 변화 및 양국의 정책/ 3. 북·미간의 주요 현안/ 4. 북·미관계//제6장 북·일관계: 국교수립의 정치적 요인/진창수/ 1. 서: 북·일교섭의 세가지 변수/ 2. 북·일교섭의 쟁점/ 3. 1989년에서 1992년까지: 국제정치적 요인의 영향/ 4. 1993년 이후: 일본의 국내정치적인 요인/ 5. 결론//제7장 북·러관계: 정상화의 과정, 원인, 전망/홍현익/ 1. 들어가는 말/ 2. 북·러 관계정상화 과정/ 3. 북·러 관계정상화의 배경과 원인/ 4. 북·러관계 발전의 제약요인과 전망/ 5. 북·러 관계정상화에 대한 한국의 대응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1자료실 | R000762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R000762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목차
[한글]/[영문]제1장 \"\"북한문제\"\"의 국제적 쟁점: 발생원인, 양상, 전망/이종석/ 1. 문제의 제기/ 2. 쟁점발생의 원인/ 3. 쟁점의 양상과 유형화/ 4. 쟁점해결의 모색/ 5. 맺음말: 주도적 문제해결을 위하여//제2장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이익, 제도, 성과/백학순/ 1. 서론: 문제의 제기/ 2. 관련 당사국들간의 협조, 이익 상충 및 제도화/ 3. 경수로사업의 한국에의 예상효과/ 4. 결론: 새로운 발견점, 성과에대한 평가 및 전망//제3장 북한의 식량난과 식량지원 문제/박기덕/ 1. 서론: 문제의 제기/ 2. 남북간 식량지원 문제의 분석을 위한 이론적 인식/ 3. 식량문제의 실태/ 4. 대북 식량지원의 국제양상과 한국의 지원능력/ 5. 식량지원 문제의 게임구도, 북한의 전략 그리고 한국의 대안/ 6. 맺는말//제4장 나진·선봉 경제무역지대: 개방과 국제협력의 시험장/양운철/ 1. 서론: 개방의 필요성/ 2. 두만강유역개발계획의 정치경제적 의미/ 3. 나진·선봉 경제무역지대의 개발현황과 문제점/ 4. 결어: 한국의 역할//제5장 북·미관계: 현황 및 전망/이대우 / 1. 서론/ 2. 북·미관계의 변화 및 양국의 정책/ 3. 북·미간의 주요 현안/ 4. 북·미관계//제6장 북·일관계: 국교수립의 정치적 요인/진창수/ 1. 서: 북·일교섭의 세가지 변수/ 2. 북·일교섭의 쟁점/ 3. 1989년에서 1992년까지: 국제정치적 요인의 영향/ 4. 1993년 이후: 일본의 국내정치적인 요인/ 5. 결론//제7장 북·러관계: 정상화의 과정, 원인, 전망/홍현익/ 1. 들어가는 말/ 2. 북·러 관계정상화 과정/ 3. 북·러 관계정상화의 배경과 원인/ 4. 북·러관계 발전의 제약요인과 전망/ 5. 북·러 관계정상화에 대한 한국의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