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신착자료

신착자료

단행본여이연이론 15

여성주의적 정체성 개념

Identitatsbegriffe aus \"Feministischer\" Perspektive

개인저자
이현재
발행사항
서울 :,여이연,,2008
형태사항
336 p. ; 23 cm
총서사항
여이연이론
ISBN
9788991729070
청구기호
337.1 이94ㅇ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22-336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2212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221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여성주의 철학은 그 주체나 대상의 규정과 연관된 것이 아니라 “타자배제를 극복하고자 하는 관심”에서 출현했다. 이 논문을 이끄는 필자의 관심 역시 이와 같은 “여성철학적” 관심, 즉 타자배제를 극복하는 “여성주의적” 논리와 정체성 개념의 마련에 있다. 만약 필자가 이 저작에서 타자배제의 논리를 극복하는 “여성주의적” 정체성 개념을 마련한다면 그 개념은 곧 여성주의적 이데올로기 비판의 토대로 기능하게 될 것이다. 즉 우리는 그 개념을 통해 타자배제를 필연적으로 동반하는 또는 타자의 부정을 통해서만 그 존재근거를 확립하는 모든 정체성 개념을 “비非여성주의적”인 것으로 비판하고 나아가 어떤 정체성 개념이 여성에게 억압을 가해 왔는가를 분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1. 정체성이나 주체의 개념을 둘러싸고 철학 안에서는 이미 많은 논쟁들이 있었다. 그러나 그 논쟁들은 대부분 보편 인간의 시각에서 진행되었기 때문에 여성의 몸과, 여성적인 상황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이 책에서 저자는 여성주의적인 관점에서 어떠한 정체성 개념이 마련되어야 하는가를 연구하고, 이 과정에서 여성주의적인 관점에서 마련된 정체성 개념이 여타의 다른 시각에서 마련된 정체성 개념과 어떻게 다른지를 분명히 밝히고 있다.

2. “여성주의적 정체성” 개념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저자는 우선 '여성에 의한' 혹은 '여성에 대한' 이론이 아닌, ‘타자배제를 극복하고자 하는 관심'에서 출발하는 여성주의 철학의 과제를 수행한다.

3. 이 책은 저자의 오랜 연구 주제인 인정이론의 기반 위에서 “여성주의적” 정체성의 개념을 구성해 내고 있다. 즉 “타자배제의 극복”을 관심으로 하는 여성주의적 정체성은 상호인정의 토대위에서 마련되는 것임을 주장하는 것이다.

이 책은 3부 9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새로운 여성주의 경향을 고찰하고 정체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또한 여성주의적 정체성 개념의 구성조건과 인정이론을 통한 정체성 재구성을 시도한다.

2부는 정체성 개념을 분석하고 여성주의에 적용한다. 정체성 개념의 실천적 연관관계를 논하고, 그 개념 구분이 여성주의적으로 적용된 의사소통적 여성성과 의사소통적 여성주의를 제시한다.

3부는 여성성을 부정하는 비-여성주의적 정체성에서 여성성을 변형시킬 수 있는 여성주의적 정체성으로, 마침내 도달하게 되는 여성주의의 형식적 통합능력과 여성주의적 정체성에 대해 논한다.
목차
머리말 “여성주의적” 정체성이란 무엇인가? 1부 1장 새로운 여성주의 경향과 정체성 문제 2장 상호인정 : “여성주의적” 정체성 개념의 구성조건 3장 인정이론과 “여성주의적” 정체성의 재구성 2부 4장 정체성 개념의 분석 5장 정체성 개념의 실천적 연관 6장 정체성 개념 구분의 여성주의적 적용 3부 7장 여성성의 부정과 “비-여성주의적” 정체성 8장 여성성의 변형능력과 “여성주의적” 정체성 9장 여성주의의 형식적 통합능력과 “여성주의적” 정체성
저자 소개
저자 이현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교수. 프랑크푸르트 괴테 대학에서 여성철학과 사회철학을 전공하여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최근에는 도시화 및 지구화와 더불어 새롭게 나타나는 성적 실천 및 성규범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며 몸, 섹슈얼리티, 젠더 등을 신유물론의 관점에서 재구성하는 일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 및 논문 :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2021, 공저), 『여성혐오, 그 후 : 우리가 만난 비체들』(2016), 『공간에 대한 철학적 이해』(2016, 공저), 「디지털 도시화와 탈/재물질화 : 하비의 ‘관계적 공간...
작가의 다른 작품

알라딘에서 제공한 저자 정보입니다.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