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신착자료

신착자료

기증도서방송문화진흥총서 ;논형학술 13475

신한류와 문화이동의 지형학

New Korean wave and cultural topography

개인저자
이종임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논형, 2013
형태사항
212 p. ;. 22 cm
총서사항
논형학술 ; 방송문화진흥총서
ISBN
9788963571430
청구기호
331.5 이75ㅅ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G0015313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001531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이 책의 1장에서는 ‘한류’담론을 보다 다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키워드를 제시하였다. 서로 다른 언어, 문화를 가지고 있는 수용자들이 한류라는 문화를 소비하며 소통할 수 있는 이유를 분석하기 위해서 ‘민족성’, ‘정체성’, ‘ 디아스포라’, 그리고 ‘ 글로벌 문화’와 ‘로컬 문화’의 교류가 생산하는 문화의 특징과 함의를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신한류 형성의 중요 동인인 소셜 미디어의 개념적 정의와 한류문화교류 과정에서의 소셜 미디어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미디어 기능의 확대를 가져온 디지털 미디어는 이용자들의 자유로운 의사소통, 정보 생산 등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일반인의 정치 참여뿐만 아니라, 개인의 자유로운 문화 향유, 폭넓은 인적 네트워크 구축, 하위문화의 재생산 등 변화를 가져왔다. 다시 말해, 소셜 네트워크의 대중화는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 문화소비패턴, 의사소통방식 등의 변화를 가져온 것이다. 물론 여기에는 빅브라더와 같은 검열과 감시체제의 구축이라는 부정적인 측면도 함께 동반하고 있지만, 디지털 ‘장’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사회문화 현상들은 과거에 비해 사회에 훨씬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로 이용자들은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 적극적으로 의견을 표현하면서 디지털 공간을 소통의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특징을 지닌 소셜 미디어가 한류콘텐츠의 확산에 큰 역할을 했음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한류문화를 통해 서로 친밀감을 느끼며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팬덤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팬덤은 특정 스타나 장르를 선호하는 팬들의 자발적인 모임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대중문화에 다양하게 퍼져있는 뮤지션, 배우, 서사물, 장르들을 선택하여 자신들의 문화 속에 수용하는 대중문화의 일반적인 문화현상이다. 팬덤은 지배적인 가치 체계에서 멸시받는 문화 형태들, 즉 팝음악, 로맨스 소설, 문화, 할리우드의 대중 스타들에 의해 주로 연결된다. 피스크에 따르면 본래 문화 체계는 경제 체계처럼 그 자원을 불평등하게 분배하고 그에 따라 특권층과 빈곤층을 구분 짓는 작용을 한다. 즉, 특정한 문화적 취향과 능력을 특권화 한다. 대중문화를 통해 형성되는 팬덤은 문화자본에 상응하는 사회적 위상을 제공함으로써 공식문화에 접근하기 어려운 대중들에게 문화적 결핍을 채우는 하나의 방법이 된다. 이때 중요한 것은 팬덤을 하나의 문화자본으로 만들어내는 것은 팬덤의 생산자이자 사용자인 팬들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팬덤이 한류문화를 능동적으로 소비하고 문화형성에 참여하는 문화실천의 주체로서의 의미를 살펴본다.

4장에서는 현재의 한류문화 생산의 기반이 되는 국내 미디어 환경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한 가지 주목해야 하는 점은 아시아에서 혹은 서구사회에서 수용가능한 현재 한류문화가 형성될 수 있었던 것은 국내 대중문화 생산자와 소비자의 시선의 변화도 한 몫을 했다는 점이다. 한국의 시청자들 역시 글로벌한 미디어 콘텐츠 교류 환경에 놓이면서 단순히 해외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에서 벗어나 능동적 참여와 다양한 층위의 문화 실천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국내 수용자의 기호에 부응하려는 콘텐츠 제작주체들의 생산 활동이 맞물려지면서 지금의 한류 콘텐츠가 생산된 것이다. 특히 다양한 해외 프로그램이 유입되면서 국내 수용자들이 지니는 문화적 차이에 대한 시각의 변화와 함께 프로그램 제작 주체들이 프로그램에 반영한 수용자 취향의 변화 등이 국내 프로그램의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요소임을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드라마에서 대중음악으로 이동한 한류의 ‘현재’를 조명하였다. 동아시아에서 인기를 끌기 시작한 한류는 드라마, 영화 등 내러티브 중심의 장르에서 음악으로 이동한 것이 최근 한류의 특징이다. 기존에도 드라마, 영화 등의 OST를 부른 가수들이 인기를 끌기도 했지만, 한국 대중음악이 주목받는 지금과는 큰 차이가 있다. 기존 일본의 J-Pop이 그랬던 것처럼, 수출 가능하고 미국 중심의 서구문화에 익숙해져 있는 해외 수용자들에게 어필하기 위해서는 한국적인 문화의 특성이 두드러지지 않아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 K-pop이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미디어에서 재현되는 담론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한국 내에서 사회 갈등을 봉합하고 민족의 우수성을 강조하기 위해 민족 이데올로기를 동원하는 영역이 바로 ‘한류 분야’이다. 한류가 글로벌 시대 성공담론의 표상으로 자리 잡게 되면서 엔터테이너에게 국가경쟁력을 가질 것과 함께 한국인으로서의 ‘민족주의’를 강조하는 등 미디어 담론의 특징을 제시할 수 있었다.

6장에서는 초국적 문화수용으로서의 결과물이자 과정으로서의 K-pop의 현 주소와 함께 글로벌문화와 로컬 문화의 ‘절합’으로서의 한류문화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최근 ‘한류’ 혹은 ‘K-pop’과 함께 연상되는 것은 아마도 가수 싸이가 아닐까 싶다. 한국의 대중문화가 아시아 지역에서 나타내는 문화적 헤게모니와 수용과정을 지구화, 탈국가주의와 상업화된 문화적 혼성성 간의 접합이라는 시각에서 한류 혹은 K-pop을 설명할 수 있다면, 현재 가수 싸이의 서구사회에서의 성공을 미국식 대중문화의 문법과 장르를 능동적으로 전유한 하나의 성공사례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재의 한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초국적 문화수용으로서의 텍스트이자 글로벌 문화와 로컬 문화의 결합과정에서 유발되는 대중문화의 현상으로 바라보려는 노력이 이어져야 한다.
목차

서문
1장 신한류 문화형성의 키워드

1. 문화연구, 정체성의 정치
2. 민족성/다문화주의/혼종성
3. 미디어에서 재현되는 대중문화
4. 전 지구화(globalization)와 지역화(localization)

2장 신한류 등장의 배경

1. 신한류 형성의 기반: 동아시아 지역에서 발현된 한류

1) 한국의 대중음악으로 시작된 한류/ 2) 신한류, 기존의 한국대중음악과 거리를 두다/ 3) 글로벌 문화를 꿈꾸는 K-pop

2. 신한류 형성의 동인, 소셜 미디어

1) 디지털 미디어의 등장과 미디어 지형의 변화/ 2)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재매개, 탈매개되는 콘텐츠/ 3) 한류문화 교류의 주요 채널, 소셜 미디어

3장 신한류, 글로벌 팬덤

1. 사회적 문화실천 주체로서의 팬덤
2. 한류 팬덤 형성의 시작, 드라마
3. K-pop을 통한 글로벌 팬덤 형성

4장 한류문화에 반영된 국내 생산자·소비자 시선의 변화

1. 국내 방송시장의 해외 콘텐츠 포맷 수입 증가

1) 프로그램 포맷의 의미/ 2) 프로그램 포맷 수입 현황과 국내 방송시장의 변화

2.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 콘텐츠 생산자·수용자의 시선 변화

1) 국내 프로그램 장르의 특성 변화/ 2) 국내 프로그램 생산자와 수용자의 시선 변화

3. 한류 문화에서 재현되는 다문화성

1) 국내 미디어 문화에서 재현되는 다문화/ 2) 초국적·혼종적 문화, 한류

5장 K-Pop의 현재

1. 드라마에서 K-pop으로
2. 미디어에서 재현되는 한류 담론의 특징
3. 담론분석의 이론적 논의
1) 문화영역 담론의 지형도/ 2) 미디어에서 ‘재현’되는 한류문화담론 특징/ 3)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4. K-pop 관련 미디어 사례분석

1) 글로벌화의 지표, K-pop/ 2) 한류 육성을 위한 정책 담론: 국가 경쟁력과 민족주의 강조/ 3) 엔터테이너에게서 재현되는 유연한 민족주의: 한국 경쟁력의 지표, K-pop

5. 현재적 한류를 바라보기

6장 문화이동의 지형학: 글로컬라이제이션

1. 초국적 문화수용으로서의 K-pop
2. 세계성과 지역성의 변증법적 결합
3. 글로컬라이제이션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