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신착자료

신착자료

연구원발간물

슈타지:그들의 정체는 무엇이었나? - 동독 국가안전보위성의 실체

발행사항
서울 : 통일연구원, 2011
형태사항
260 p. : 23 cm
청구기호
000 SS11-02
책 소개
이 책은 콘라드 아데나워 재단이 발간한“슈타지의 정체(Was war die Stasi?)”를 통일연구원 북한인권연구센터가 번역한 것이다. 이 책을 번역하게 된 동기는 북한인권문제를 다루면서 구동독에서 비밀경찰의 역할을 한 국가안전보위성(슈타지)이 구동독 주민들의 인권을 어떻게 침해했는지 널리 알리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북한에서도 구동독 지역의 비밀경찰과 같은 인권침해 사례가 있을 것이라는 확신에서 그 실상을 간접적으로나마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싶은 마음에서 출발했다. 통일연구원 북한인권연구센터는 본 책자의 대표 집필자인 카르스텐 딤멜 박사를 직접 면담한 적이 있다. 딤멜 박사는 구동독당시 반체제 인사로 동서독간 정치범 석방 거래 대상자의 한 사람으로써 서독으로 온 사람이었다. 딤멜 박사와의 면담시, 구동독 정권이 당시 외교적 관계를 밀접하게 갖고 있었던 북한에 슈타지의 기술을 전수하였을 것이라는 확신에 찬 이야기를 들었다.이런 점에서 이 책은 북한에서 자행되고 있는 비밀경찰에 의한 인권침해를 간접적으로나마 인식할 수 있게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책의 번역제안은 딤멜 박사와의 면담 자리에서 이루어졌으며, 책을 발간한 프리드리히 나우만 재단의 허락을 받아 만들어진 것이다.이 책이 번역되기까지 많은 사람들이 수고해 주었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독일어 통번역 강의를 하고 있는 안미라 선생과 정연진 선생이 초벌번역을 해주었다. 초벌 번역을 바탕으로 통일연구원선임연구위원인 김영윤 박사가 6개월 정도의 시간을 들여 한 문장 한 문장씩 총체적으로 다시 번역했다. 김영윤 박사는 독일에서 수학한 연구자로 한국외국어대학 통번역대학원에서 장기간강의를 한 바 있다. 그때의 경험과 통일연구원에서의 근무를 바탕으로 이 책을 번역·감수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독자들이 궁금해 할 수 있는 부분에서는 역자 주를 넣어 이해의 정도를 높이는 수고도 했다. 이 자리를 빌어 감사드린다. 한가지 덧붙이자면, 슈타지의 활동과 관련된 영화를 소개하는 것이 이 책을 읽는 사람에게 도움이 될 것 같다. 영화의 제목은 Das Leben Der Anderen(The Lives of Others : 타인의 삶, Florian Henckel Von Donnermarck 각본·감독, 2007년 아카데미 수상작 Best Foreign Language Film) 이다.마지막으로 이 책을 번역하여 한국에 알릴 수 있도록 배려해 준 독일 콘라드 아데나워 재단과 이 책의 대표 집필자인 딤멜 박사에게 심심한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아무쪼록 이 책이 북한인권을 연구하는 사람은 물론, 구동독의 슈타지 활동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거나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
목차
역자 서문 /8 필자 서문 /10 01. “ 사회주의통일당의 창과 방패”: 슈타지의 정체 /15 카르스텐 딤멜 (Karsten Dummel) 02. 권력의 장악과 견고화: 슈타지 역사의 두 단계 /21 지그프리드 라이프리히 (Siegfried Reiprich) 03. 감시 /33 카르스텐 딤멜 (Karsten Dummel) 04. 형법에 근거하지 않은 처벌: 동독의 불법적 억압 형태 /39 후베르투스 크나베 (Hubertus Knabe) 05. 심리적 테러 /41 후베르투스 크나베 (Hubertus Knabe) 06. 슈타지와 동독 내무성의 출국 제한 조치 /51 카르스텐 딤멜 (Karsten Dummel) 07. 슈타지와 정치범 석방거래 /57 카르스텐 딤멜 (Karsten Dummel) 08. 슈타지의 격리수용 계획 /65 토마스 아우에르바흐 (Thomas Auerbach) 09. 슈타지의 만행: 공작조치(OV) /75 볼프강 템플린 (Wolfgang Templin) 10. 슈타지 요원이 본 슈타지 /97 볼프강 템플린 (Wolfgang Templin) 11. 슈타지 공식 요원 /103 옌스 기제케 (Jens Gieseke) 12. 슈타지 비공식 요원 /115 헬무트 뮐러-엔베르그스 (Helmut Muller-Enbergs) 13. 사회보안요원 /121 헬무트 뮐러-엔베르그스 (Helmut Muller-Enbergs) 14. 슈타지 공조 파트너(Partner des operativen Zusammenwirkens) /123 볼프강 템플린 (Wolfgang Templin) 카르스텐 딤멜 (Karsten Dummel) 15. 슈타지와 동독의 청소년 문제 /131 토마스 아우에르바흐 (Thomas Auerbach) 16. 아동 및 청소년 슈타지 요원 선발 /143 카르스텐 딤멜 (Karsten Dummel) 17. 일상생활 속의 슈타지 /151 우도 쉐어 (Udo Scheer) 18. 슈타지 지원 동기와 요원 자격 /161 카르스텐 딤멜 (Karsten Dummel) 19. 슈타지 활동 거부 /167 카르스텐 딤멜 (Karsten Dummel) 20. 사회주의통일당과 슈타지의 교회정책 /169 클레멘스 폴른할스 (Clemens Vollnhals) 21. 환경단체와 슈타지 /175 외른 모테스 (Jorn Mothes) 22. 예술, 문화 그리고 슈타지 /187 카르스텐 딤멜 (Karsten Dummel) 23. 문학과 슈타지 /195 요아힘 발터 (Joachim Walther) 24. 사례: 게라 - 루산 문학공동체와 슈타지 /203 카르스텐 딤멜 (Karsten Dummel) 25. 슈타지의 대서독 사업 /215 후베르투스 크나베 (Hubertus Knabe) 26. 슈타지와 네오나치스: 불인정의 상호관계 /233 베라 렝스펠트 (Vera Lengsfeld) 27. 슈타지 행동의 결과 /241 지그마르 파우스트 (Siegmar Faust) 28. 슈타지 문서: 공작조치 Sinus 1과 Sinus 2 /245 프레야 클리에르 (Freya Klier) 참고문헌(발췌) /255 인터넷 사이트(발췌) /260 발행인과 필자 소개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