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논쟁에 새로운 질문을 던진다
자유주의 사관과의 지적 대결과
<해방 전후사의 인식>의 프레임에서 벗어나기
“나는 4.19의 시만 읽은 게 아니라,
5.16의 밥도 먹고 자랐다”
역사교과서 논쟁에 새로운 질문을 던진다
역사교과서 논쟁에서 자유로운 ‘한국현대사 읽기’. 좌우 진영으로 나뉜 편향적 사관을 극복하는 새로운 시각.‘평등은 대한민국의 유전자’라는 대담한 발상, 기존 역사논쟁에서 설명할 수 없었던 새로운 ‘대한민국 읽기’를 시작한다.
자유주의 사관과의 지적 대결,
다른 한 편으로는 <해방 전후사의 인식>의 프레임에서 벗어나기
자유주의 사관이 가진 반역사성을 넘어서는 지적 대결. 다른 한 편으로는 <해방 전후사의 인식>이 만들어낸 역사인식의 프레임을 걷어내는 작업.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의 열기에 갇혀 있는 ‘민족주의 사관’을 해체한다. 이제 신화가 된 역사를 현실로 끌어내리는 작업.
2015년 대한민국의 현재를 말해주는 명쾌한 해설
우리는 왜 어떤 이유로 지금 이런 나라를 만들게 되었는가? 대한민국은 자영농의 나라로 건국되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과 동시에 이루어진 토지혁명이야말로 세계 역사에서 드물게 나타나는 성공적인 토지혁명이다. 전근대적 신분 질서의 잔재가 깨끗하게 청소된, 평등한 나라. 이것이 오늘 대한민국을 만든 첫 번째 유전자다.
50대에 이른 1964년생 386세대에게 보내는 편지
우리는 이제야 한국을 어슴푸레 이해하기 시작했다. 광주의 ‘향연’에서 열흘 밤 동안 나눈 이야기들을 모은 이 책에서, 나는 감히 ‘새로운 사관(史觀)’으로 대한민국의 70년 역사(1945년 해방부터 2015년까지)를 바라보고자 했다. 나는 이 사관에 ‘뉴레프트(new left) 사관’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뉴레프트를 기다리며- 이인우(‘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편집장)
쓰레기통에 던져진 작은 씨앗 하나가 강의 저 끝에서 더 없이 무성한 숲을 이룰 때, 우리는 역사 앞에 숙연해진다. 주대환 선생의 표현대로 그것을 우리는 ‘역사의 간지(奸智)’라 불러야 할까? 천명(天命)이라고 해야 할까? 대한민국 씨의 출생지가 쓰레기들의 무덤일 수 있고, 출생 또한 정당한 증명서를 요구할 만한 처지가 되지 못한다고 해서 그것이 그의 삶 전체를 부정하는 근거는 되지 않을 것이다. 더욱 그 삶의 한 축에 나 자신의 삶도 포함되어 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