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신착자료

신착자료

기증도서파라파쳄 시리즈 007

평화운동: 이론·역사·영역

발행사항
과천 : 진인진, 2018
형태사항
240 p. :. 삽화, 도표, 초상 ;. 23 cm
총서사항
파라파쳄 시리즈
ISBN
9788963473802
청구기호
349.81 서45펴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G0016894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001689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평화학과 평화운동, 평화연구사와 활동가를 접속시키고 평화문화 형성을 목적으로 기획된 평화운동의 교과서인 『평화운동: 이론·역사·영역』이 발간되었습니다.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이 발간하는 평화학 관련 저작 기획인 ‘파라파쳄’ 시리즈 제 7권입니다.
탈냉전과 세계화의 격랑속에서 동아시아 및 한반도 평화문제에 대한 명확한 진단과 대안모색을 위하여 2006년 설립된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은 2010년부터 인문한국(HK) 사업의 일환으로 평화인문학연구단을 구성하여 한반도 문제에 기초한 새로운 평화학 정립을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평화인문학연구단의 ‘한반도발 평화학 정립’을 목표로 한 다양한 저작 발간활동을 지속해서 ‘평화인문학 총서’, ‘파라파쳄 시리즈’, ‘평화학 아카이브’, ‘평화교실 총서’ 등을 발간해 왔고, 『평화운동: 이론·역사·영역』은 평화학 일반에 대한 다양한 연구서로 이루어진 파라파쳄 시리즈의 일환으로 발간된 것입니다.
평화운동은 모든 폭력을 지양하고, 상호 이해와 관용으로 공존공영의 삶을 추구하는 시민의 제반 비폭력 활동을 의미하는데, 냉전이후 한반도에서는 ‘평화’영역에 대한 시민의 발언권이 심하게 제약되어 있던 것이 사실입니다. 평화가 가장 절실한 곳에서 시민의 주권이 제한되는 모순을 극복하려는 움직임이 바로 평화운동인 것입니다. 『평화운동: 이론·역사·영역』은 시민주도의 평화운동이 정부 중심의 평화정책 및 연구자 집단의 평화연구와 함께 삼각형의 꼭지점을 이루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그동안 국가권력에 독점되어 왔던 평화관련 실천활동에 평화운동과 평화연구가 협력하여 발전하는 대안을 모색하는 연구서 입니다.
『평화운동: 이론·역사·영역』은 평화운동의 기본 개념과 개요를 설명한 1부 평화운동론, 평화운동의 역사를 세계적 차원과 국내 차원에서 정리한 2부 평화운동사, 평화운동의 다양한 실천분야를 소개한 3부 평화운동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이제 막 정립되기 시작한 평화학 연구의 기본적인 틀과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남북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이 연쇄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에 새로운 평화체제가 정립되는 거대한 전환기에서, 극소수의 정책 결정자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평화안보 정책에 대한 감시와 분석, 참여를 위한 기본적인 체계에 대한 이해가 『평화운동: 이론·역사·영역』에서 제공될 것을 기대합니다.
목차

서론 평화운동 연구의 의미와 범위 _9
1부 평화운동론 _15
1장 평화학과 평화운동 _17
2장 평화운동의 목표와 수단 _35
3장 평화운동의 영역과 조직화 _45
4장 평화운동과 평화문화 _61
2부 평화운동사 _77
5장 세계 평화운동사 _79
6장 한국 평화운동사 _103
3부 평화운동의 영역 _135
7장 반전운동 _137
8장 군축운동 _153
9장 징병제 폐지 운동 _169
10장 평화적 갈등해결 _185
11장 사회적 약자와 평화운동 _199
12장 통일운동과 평화운동 _211
결론 한국 평화운동의 의의와 과제 _225

저자 소개
저자 서보혁
앞에는 들과 낙동강이, 뒤에는 산이 자리한 경북 안동의 한 마을에서 태어나 자랐다. 권위주의 시대를 마감하고 민주주의 시대를 준비하던 1980년대 중반에 서울에서 대학을 다녔다. 1987년 민주화의 여파는 노동운동과 통일운동의 활성화로 이어졌고 이는 북한·통일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되었다. 1990년대 후반에 뒤늦게 대학원에 진학해 북한·통일 문제를 공부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 정책 변화와 북한과 미국의 관계를 연구해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북한 연구가 어려운 여건에서 한국정치연구회 선후배들과 함께 한 북한 원서 탐...
작가의 다른 작품
저자 정주진
평화학을 전공하여 국내 1호 평화학 박사가 되었습니다. 평화와 갈등해결 전공자로서 한국 사회에 평화학과 갈등해결 연구 및 실행 방식을 알리고자 책 쓰는 일을 시작했습니다. 1인 연구소인 평화갈등연구소에서 독립적으로 연구하며 다양한 대상에게 평화와 갈등해결에 대해 강의하고 있습니다. 쓴 책으로 『공격 사회』, 『평화의 눈으로 본 세계의 무력 분쟁』, 『평화학』, 『갈등해결 수업』, 『정주진의 평화 특강』, 『10대와 통하는 평화통일 이야
기』, 『선생님, 세계 시민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해요?』, 『선생님, 더불어 살려면 어떻게 해요...
작가의 다른 작품

알라딘에서 제공한 저자 정보입니다.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