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싸운 한국전쟁의 날들: 재일조선인과 스이타 사건
- 대등서명
- 朝鮮戦争に「参戦」した日本
- 개인저자
- 니시무라 히데키 지음 ; 심아정, 김정은, 김수지, 강민아 옮김
- 발행사항
- 서울 :,논형,,2020
- 형태사항
- 399 p. : 삽화 ; 22 cm
- 총서사항
- '전후' 일본의 운동과 사상
- ISBN
- 9788963572413
- 청구기호
- 913.075 서815ㅈ
- 일반주기
- 원저자명: 西村秀樹
- 서지주기
- 참고문헌과 연표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1자료실 | 00018414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0001841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책 소개
식민지 조선이 분단되었는가.
스이타 사건을 쫓은 마이니치방송每日放送
북한 전문 취재기자 니시무라 히데키의 르포르타주!
나는 시위대의 후미에 있었습니다. 당시 한국전쟁에 보내지던 군수 열차를 10분간 멈추면, 1,000명의 동포를 살릴 수 있다고 해서 필사의 심정으로 참여했습니다. -김시종, 300쪽
두 사람은 한반도 중앙부의 잘록한 부분을 가로지르는 선에 시선을 멈췄다. 북위 38도선이다. 이렇게 해서 지도에 다트를 던지는 것보다 약간 복잡한 정도의 절차를 거쳐 분할안을 제출했다.
-데이비드 핼버스탬, 133쪽
경찰과 대치할 강인한 정신력이 필요했다. 시위대의 선두에는 175센티미터 정도의 유달리 키가 크고 호리호리한 체격의 한 남자가 있었다. 돌출된 광대와 먼 곳을 응시하는, 옆으로 길게 찢어진 눈매는 굳건한 의지를 잘 나타내주고 있었다. 남자의 이름은 부덕수夫德秀. 재일조선인 2세다.
시위대는 무엇을 목표로 하고 있는가. 어디로 향하는 것인가. 부덕수는 왜 선두에 서 있나. 그리고 누가 계획한 것인가. -니시무라 히데키, 32쪽
책소개
이 책의 저자 니시무라 히데키(西村秀樹)는 마이니치방송(毎日放送)에서 30년이 넘도록 북한취재 전문 기자로 활약했다. 이 책에서 저자는 동서로 분단되었던 독일의 과거를 상기하면서 왜 전범국 일본이 아닌 식민지였던 조선이 분단되었는지 문제 삼고 있을 뿐 아니라, 한국전쟁 시기에 일본이 소해정(掃海艇)과 LST(전차양륙함, landing ship tank)를 보내 사실상 ‘참전’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 일본국헌법의 토대를 뒤흔들 정도로 중요하다. 일본이 한국전쟁 당시 무기를 수송하고 있었다는 것은 일본국헌법 제9조를 국가가 앞장서서 보란 듯이 위반하고 있었음을 시사하기 때문이다.
1946년에 공포되어 이듬해 시행된 일본국헌법 제9조 1항과 2항에는 ‘전쟁’과 ‘군대’를 포기한다는 사실이 명기되어 있다. 이는 일본국헌법이 줄곧 ‘평화헌법’이라 불리게 된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국전쟁으로 인해 일본이 미국의 병참기지가 되어 여러 군사작전을 수행했다는 것이 뒤늦게 밝혀지면서, 이 사실은 일본국헌법의 중심축을 흔들 수 있는 것임에도 한국과 일본 양쪽 모두에서 이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미비하다. 저자는 방대한 사료와 인터뷰를 통해 일본이 한국전쟁에 ‘참전’했다는 사실이 ‘전후’ 일본 사회에서 어떻게, 그리고 왜 은폐되어왔는지를 밝힌다. 그리고 이러한 취재의 여정에서 저자는 재일조선인들의 운동과 사상에 휘말려 들게 된다.
이 책에서 저자가 특히 주목하는 스이타(吹田) 사건은 1952년 6월 24일 밤, 오사카 스이타시(市)에서 한국전쟁 시기에 일본이 미군의 병참기지로써 군수물자를 수송하는 등 전쟁에 협력하는 것에 항의하며 학생과 노동자, 조선인이 일으킨 반전(反戰) 투쟁이다. 김시종(金時鍾) 시인은 “한국전쟁에 보내지던 군수 열차를 10분간 멈추면, 1000명의 동포를 살릴 수 있다는 필사의 심정으로 참여했다”고 사건 당시의 경험을 전한다.
900여 명의 시위대가 1952년 6월 25일 오전 0시를 기해 행진을 벌이는 과정에서 경찰대와 충돌, 파출소와 미군 승용차에 화염병과 돌을 던지고 도주하고, 한큐 전철 측에 임시전철을 운행토록 하여 이를 ‘인민전철’이라 부르며 승차하였으며, 20분 동안 조차작업을 중단시킨 것을 이유로 111명이 소요죄 및 위력업무방해죄 등의 혐의로 체포·기소되었다. 소요죄 무죄판결을 받게 되는 1972년까지 재판에 걸린 기간만 해도 무려 19년에 이른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1부 3대 소요 사건의 하나, 스이타 사건
1장 스이타 사건 연구모임
1. 스이타 사건/ 2. 쥬소十三/ 3. 연구모임
2장 스이타 사건
1. 스이타조차장으로 향하는 시위행진/ 2. 일본공산당·오사카대 세포 책임자/ 3. 허벅지에 총상을 입은 오사카대 학생
3장 히라카타 사건
1. 히라카타 방화 사건/ 2. 히라카타 공창의 시한폭탄 설치 사건/ 3. 사건의 막후
4장 재판 투쟁
1. 스이타 묵념 사건/ 2. 소요죄
2부 한국전쟁과 일본
5장 조선은 왜 분단되었는가, 왜 일본이 분단되지 않았는가
6장 일본이 한국전쟁에 ‘참전’한 날들
- 8천명의 도한渡韓과 57명의 죽음
7장 현해탄을 건너 ‘참전’한 일본인
1. 한국전쟁과 일본의 재군비/ 2. 특별소해대/ 3. 동원된 여성들/ 4. 현해탄을 건넌 일본인 ‘병사’/ 5. 기지국가 일본
8장 압록강을 건너 ‘참전’한 일본인
1. 만몽개척단/ 2. 팔로군 종군 간호사/ 3. 또 한 명의 팔로군 종군 병사
3부 스이타 사건의 해방
9장 재일조선인과 스이타·히라카타 사건
1. 주모자의 반생/ 2. 스이타 사건/ 3. 민족조직/ 4. 55년 체제/ 5. 보석/ 6. 무죄판결/ 7. 판결 이유/
8. 히라카타 사건의 재판
10장 지순한 세월
1. 검찰 측 총괄과 오사카시의 반론/ 2. 공산당 간부의 증언/ 3. 재일조선인 리더/ 4. 이바라키경찰 무장 트럭 사건/
5. 일본인 측 주모자/ 6. 배신자의 아들/ 7. 군수 열차 습격계획/ 8. 진짜 목적은 무엇이었을까
저자후기/ 역자후기/ 연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