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신착자료

신착자료

단행본

미중 전략경쟁과 한반도: 한·중 학계의 시각

발행사항
서울 : 선인, 2021
형태사항
371 p. : 삽화, 도표 ; 23 cm
ISBN
9791160684568
청구기호
349.42012 김225ㅁ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8954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895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2020년 하반기 미국의 대통령선거가 본격화되면서부터는 북한과 북핵문제가 선거에 미치는 유불리만 고려하는 상황이 빚어졌고, 결국 한반도 문제의 로드맵과 창의적 해법을 제시하는 데에는 이르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중국 요인이다. 중국은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을 지속적으로 강조해 왔다. 뿐만 아니라 한중, 북중 간 전략적 협력을 동시에 강화하면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에 건설적인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중국도 미중관계가 악화된 상황에서 굳이 한반도에서의 새로운 돌파(대북제재, 명시적 지원 등)를 통해 미중관계에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려는 소극적인 태도도 있었다. 이와 함께 한국이 미국을 적극적으로 설득하면 중국도 움직일 수 있다는 논리를 제시하기도 했다.
2021년에는 이런 점을 고려하여 다시 평화프로세스를 가동할 필요가 있다. 먼저 대화국면을 열어나가기 위해서는 관련 당사국들이 변화하는 국제정세를 정확히 읽고 상대와 정책을 조정해 나가는 대타협의 시대로 돌입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는 몇 가지 중요한 정치적 모멘텀들이 있는데, 먼저 도쿄올림픽과 베이징올림픽이 모종의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미국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 새로운 한반도 정세에 대한 논의가 등장할 가능성 또한 주목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상대의 정책을 기다리고 대응하는 ‘전략적 인내’보다는 자신의 해법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제시하면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는 노력이 더욱 절실해질 것이다.

[저자 소개]

<한국>
김동엽(金東葉)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김용신(金容信) | 인하대학교 중국학과
박종철(朴鍾喆) | 경상대학교 사회교육학과
양갑용(楊甲鏞) |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양문수(梁文秀) | 북한대학원대학교
이동민(李東民) | 단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이왕휘(李王徽) | 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이정철(李貞澈) | 숭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이지윤(李智潤) |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이현태(李賢泰) | 인천대학교 중어중국학과
임대근(林大根)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장영희(張榮熙) |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최은주(崔銀珠) | 세종연구소
최재덕(崔才德) | 원광대학교 한중정치연구소
최필수(崔弼洙) | 세종대학교 중국통상학과
최희식(崔喜植) | 국민대학교 일본학과

<중국>
가오인(高吟) | 중국국제우호연락회 평화와 발전연구센터
뉴린제(牛林傑) | 산동대학교 한국학원
둥샹룽(董向榮) | 중국사회과학원 아태및글로벌전략연구원
리카이셩(李開盛) | 상하이사회과학원 국제문제연구소
리팅팅(李婷婷) | 베이징대학교 외국어학원
비잉다(畢穎達) | 산동대학교 동북아학원
순싱제(孫興傑) | 지린대학교 공공외교학원
신  챵(信強) | 푸단대학교 국제문제연구원
안궈산(安國山) | 옌볜대학교 국제물류연구소
왕위안(王圓) | 지린성사화과학원
왕  융(王勇) | 베이징대학교 국제관계학원
위완잉(于婉瑩) | 베이징대학교 지역연구원
정지융(鄭繼永) | 푸단대학교 한국연구센터
진산산(金姍姍) | 저장사범대학교 법정학원
한센동(韓獻棟) | 중국정법대학교 국제정치학과
허시유(何喜有) | 푸단대학교 경제학원
목차

Ⅰ. 미중 전략경쟁과 동북아

▶ 미중 전략경쟁의 속성
1. 미중 경쟁의 10가지 핵심질문 |김용신(金容信)
2. 바이든 이후의 중미 경쟁과 중한관계 | 왕융(王勇)
3. 미중 기술경쟁의 위기와 기회 | 이왕휘(李王徽)
4. 중미 경쟁과 디지털산업 | 위완잉(于婉瑩)
5. 미중 경쟁과 AI산업 | 이지윤(李智潤)

▶ 미중 전략경쟁과 동북아 질서의 변화
6. 중미 전략게임과 동북아 | 신챵(信強)
7. 한미일 삼각관계의 변화 | 최희식(崔喜植)
8. 동북아의 새로운 아키텍쳐 | 리카이셩(李開盛)

Ⅱ. 한반도 정세


▶ 한반도 정세의 새로운 국면
1. 한반도의 새로운 전략게임 | 정지융(鄭繼永)
2. 한국의 전략적 대응 | 이동민(李東民)
3. 한반도 정세의 지속과 변화 | 순싱제(孫興傑)
4. 한반도 지역에서의 중미 경쟁구도 | 둥샹룽(董向榮)

▶ 북중관계와 북한경제
5. 부활하는 북중동맹 | 박종철(朴鍾喆)
6. 북한 경제와 한반도 정세 | 리팅팅(李婷婷)
7. 북한경제의 구조적 난제와 한반도 | 양문수(梁文秀)
8. 북한경제의 전망 | 최은주(崔銀珠)

Ⅲ. 한중관계


▶ 한중관계의 현주소
1. 미중갈등과 한중 경제관계 | 최필수(崔弼洙)
2. 중미 전략경쟁 심화와 중한관계: 현상과 전망 | 가오인(高吟)
3. 한국의 중국인식과 한중관계 | 장영희(張榮熙)
4. 중한 경제협력: 기술 추격 및 산업 고도화 | 허시유(何喜有)

▶ 한중관계의 새 지평
5. 중한수교 28년, 인문교류의 평가와 전망 | 뉴린제(牛林傑)
6. 일대일로와 신북방정책 | 최재덕(崔才德)
7.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중한 경제협력 | 왕위안(王圓)
8. 한중 문화갈등의 양상과 방향 | 임대근(林大根)
9. 한중 방역 거버넌스와 한중관계 | 양갑용(楊甲鏞)
10. 중국의 코로나19 통제 전략 | 진산산(金姍姍)

Ⅳ. 한반도 평화의 모색


1. 코로나 이후 한반도 평화 기획 | 이정철(李貞澈)
2.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현상과 전망 | 비잉다(畢穎達)
3. 미중 경쟁과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추진 | 김동엽(金東葉)
4. 한반도 비핵화·평화체제의 새로운 추진 방안 | 한센동(韓獻棟)
5. 한반도 평화를 위한 남북중 협력 방안 | 이현태(李賢泰)
6. 두만강 지역 항구 물류협력 | 안궈산(安國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