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신착자료

신착자료

단행본

헤테로토피아

대등서명
Corps utopique
발행사항
서울 : 문학과지성사, 2014
형태사항
142 p. ; 20 cm
ISBN
9788932026244
청구기호
166.8 이51ㅎ
일반주기
원저자명: Michel Foucault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9273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927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헤테로토피아!
다락방, 목요일 오후 엄마 아빠의 침대, 묘지, 사창가, 휴양촌……
일종의 현실화된 유토피아이자,
모든 장소의 바깥에 있는 장소

사유 실험 속에서 탄생한
푸코의 논쟁적이고도 다성적인 에세이


완벽한 세계, 혹은 우리가 살아가는 이 사회에 반反하는 가치를 갖는 세계, 그러나 실제로는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세계를 우리는 유토피아utopie라고 부른다. 그것은 인간의 상상 속에서만 존재한다. 그런데 유토피아적인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실제 지도 위에서 위치를 찾을 수 있는 장소들이 있다면 그것들은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그것들을 어떻게 불러야 할까?
헤테로토피아heterotopie! 미셸 푸코는 이것을 현실에 존재하는 장소이면서도 그 밖의 다른 온갖 장소들에 대해 “이의제기”를 하고 그것들을 전도시키는 장소, 말하자면 실제로 위치를 갖지만 모든 장소들의 바깥에 있는, 일종의 “현실화된 유토피아”라고 이야기한다. 다락방, 인디언 텐트, 목요일 오후 엄마 아빠의 침대, 거울, 도서관, 묘지, 사창가, 휴양촌…… 푸코는 언뜻 유사성을 찾기 어려운 이 장소들을 ‘헤테로토피아’라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줄줄이 소환한다.
이번에 문학과지성사에서 펴낸 『헤테로토피아Les Heterotopies』는, 푸코가 유토피아와 대비되는 공간으로 독자적인 개념화를 시도했다가 일찌감치 포기해버린 미완의 개념인 ‘헤테로토피아’와 관련된 논의를 담은 푸코의 에세이들을 모아 번역한 것이다. 헤테로토피아에 대해 본격적으로 이야기하는 두 편의 강연 원고인 「헤테로토피아」(1966)와 「다른 공간에서」(1967), 유토피아와의 관계 속에서 몸이라는 ‘장소’를 현상학적으로 서술한 「유토피아적인 몸」(1966), 공간과 건축에 대한 푸코의 시각이 통치성과 자유라는 문제와의 관련 속에서 잘 드러난 폴 래비나우와의 인터뷰(1982), 「헤테로토피아」에 대한 다니엘 드페르의 해제 등 흥미로운 글들이 실려 있다.

모든 장소에 맞서는, 절대적으로 다른 공간

푸코가 ‘헤테로토피아’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사용한 것은 1966년 4월에 출간한 『말과 사물』에서였다. 푸코는 이 책의 서문에서 보르헤스의 에세이 「존 윌킨스의 분석적 언어」에 나오는 “어떤 중국 백과사전”의 기이한 동물 분류법(“a) 황제에게 속한 것 b) 향기로운 것 c) 길들여진 것 [……] m) 방금 단지를 깬 것 n) 멀리 파리처럼 보이는 것”)과 마주쳤을 때 느낀 당혹감을 토로하며, 이 부조리한 ‘텍스트 공간’을 헤테로토피아라고 이름 붙인다. 푸코는 헤테로토피아에 대해 “사물들이 몹시 상이한 자리에 ‘머물러’ 있고 ‘놓여’ 있고 ‘배치되어’ 있어서, 사물들을 위한 수용 공간을 찾아내거나 이런저런 자리들 아래에서 공통의 장소를 규명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언어를 은밀히 전복하고, 말과 사물을 함께 붙어 있게 하는 통사법을 무너뜨린다고 이야기한다. 그것은 우리의 사유가 자리한 불가능성, 사유의 한계, 우리의 담론 아래에서 사유할 수 없음을 증언한다.
그리고 같은 해 12월 7일, 푸코는 한 라디오 채널이 ‘유토피아와 문학’이라는 주제로 마련한 특강 시리즈에 출현해 『말과 사물』에서는 가볍게만 언급했던 헤테로토피아 개념을 다시 끄집어내 본격적으로 논의하는데(방송 당시 강연 제목은 ‘실제의 유토피아, 혹은 “장소와 다른 장소”’였으나, CD와 단행본으로 출간되면서 「헤테로토피아」로 제목이 바뀐다), 어떤 이유에서인지 푸코는 이 용어의 의미 축을 ‘텍스트 공간’으로부터 ‘사회 공간’으로 옮겨놓는다.
“온갖 장소들 가운데 절대적으로 다른” 공간, “자기 이외의 모든 장소들에 맞서” 그것들을 중화시키고 혹은 정화시키기 위해 마련된 “일종의 반공간contre-espace”인 헤테로토피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모든 사회, 모든 문화에는 헤테로토피아가 존재한다. 둘째, 그 존재방식이나 작동방식은 동일한 것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변화한다(묘지). 셋째, 헤테로토피아는 한 장소에 복수의 공간을 겹쳐놓을 수 있다(극장, 페르시아 정원). 넷째, 헤테로토피아는 전통적인 시간과의 단절, 일종의 헤테로크로니아h?t?rochronie를 동반한다(박물관, 휴양지). 다섯째, 헤테로토피아는 그것을 주변 세계에 대해 고립시키는 열림과 닫힘의 체계를 갖는다(미국식 모텔). 즉 그것은 열려 있는 동시에 닫혀 있다. 여섯째, 헤테로토피아는 나머지 공간에 대해 이의제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단단하게 실존하는 것으로 여겨지던 공간을 신기루처럼 보이게 한다거나(사창가), 확고하게 질서 잡힌 것으로 여겨져온 제국의 공간을 뒤죽박죽인 것으로 보이게 하는 식으로(주도면밀하게 계획된 식민지), 현실 공간을 ‘다르게 보이도록’ 한다.
1967년 3월 14일, 푸코는 파리 건축가들의 연구모임에 초대를 받아 라디오 방송 강연 원고를 대폭 수정?보완하여 「다른 공간들」이라는 제목으로 다시 한 번 ‘헤테로토피아’를 논한다. 그러나 이를 마지막으로 헤테로토피아라는 용어는 푸코의 저작에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 「다른 공간들」이 푸코가 타계한 1984년에 정식으로 출판되기까지 이 두 편의 글은 거의 논의되지도 않았을 뿐 아니라, (글을 접할 방법이 많지 않았기 때문에) 그럴 수도 없었다. 그런데 「다른 공간들」이 출간되자, 헤테로토피아에 대한 아이디어는 뜨거운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푸코의 가장 논쟁적인 개념 중 하나로 떠오른다.

푸코의 ‘유산된 사유’가 배태한 역설적인 생산성
사유할 수 있는 것의 바깥을 사유하다!


푸코가 다른 저작들에서 보여준 논리적 엄격성이나 꼼꼼한 사료 분석을 생각할 때, 헤테로토피아 개념은 모호하고 논리적 비약이 심하며 헤테로토피아의 사례로 제시된 공간들이 일관성도 별 쓸모도 없다는 비판들이 적지 않았다. 푸코의 오랜 연인이자 「헤테로토피아」에 대한 해제를 쓴 다니엘 드페르 역시 푸코의 이 글들을 (푸코가 스스로의 지적 행보에서 일종의 일탈을 하여 벌인) ‘문학적 게임’에 속하는 글, (푸코 전체 저작에서) ‘부차적인 텍스트’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이를 별 중요성 없는 것으로 치부해버릴 수 있을까?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은 그것이 ‘재발견’된 시점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문학, 예술, 건축, 도시공학,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논쟁적인 해석을 낳으면서 발전을 거듭해나가고 있다. 이 원고들에 담긴 아이디어는, 그 모호하고 허술한 성격에도 불구하고, 아니 어쩌면 바로 그 덕분에 새로운 사유와 연구를 자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에 착안한 수많은 연구논문, 학술서, 예술작품이 거둔 흥미로운 성과들은 이 ‘유산된 사유’가 배태하고 있던 역설적인 생산성을 증명한다.
이 책을 옮긴 사회학자 이상길 교수는 이질적인 ‘××방’ ‘××관’ 들이 수없이 명멸하는 한국의 도시 정경, 청계천과 4대강이 상징하는 콘크리트 자연 공간의 낯선 파노라마, 또 한편으로는 ‘점거하라’는 구호가 울려 퍼지는 광장, 두리반과 희망버스, 일상적인 수다와 격렬한 정치토론과 욕설이 뒤섞이는 SNS 공간을 헤테로토피아라는 관점에서 응시해볼 것을 제안한다. 다니엘 드페르는 헤테로토피아의 탁월한 예술적 구현물의 예로 에이즈로 세상을 떠난 연인 푸코의 빈 자리를 떠올리게 만드는,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의 작품 「무제」를 든다. 그리고 “푸코는 자신이 독자들보다는 이용자들을 희망한다고 여러 번 선언하지 않았던가?”라고 말하며 여전히 이 개념에 여러 해석의 가능성이 열려 있음을 강조한다.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각종 사회 공간의 배치 양상과 경계, 그것을 낳은 상상과 그것이 간직한 합리성과 가능성을 가로지르는 공간, 한마디로 공간-존재의 한계를 위반하는 반공간. 헤테로토피아는 인간의 욕망과 충동을 상상 속에서 채워주던 유토피아가 현실의 중력에 의해 끌어당겨졌을 때 드러나는 그 균열과 틈새를 직시하게 해준다 이를 통해 우리는 ‘바깥’ 공간을 다시 바라보게 되며, 여기서 새로운 상상, 현실의 지평이 열린다.
목차

일러두기 5

헤테로토피아 11
유토피아적인 몸 27
다른 공간들 41

|인터뷰| 공간, 지식, 권력―폴 래비나우와의 인터뷰 61
|해제| 「헤테로토피아」―베니스, 베를린, 로스앤젤레스 사이, 어떤 개념의 행로(다니엘 드페르) 95

옮긴이의 말 127
찾아보기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