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1자료실 | 00019433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0001943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책 소개
국가의 안보위기 상황에 대비하여 정책을 수립하고 발생 가능한 시나리오를 구상하여 실전적 대응조치를 준비하는 것은 모든 국가에게 요구되는 기본적인 책무다. 국가안보를 책임지는 대통령과 참모의 입장에서 국내외 안보상황 발생 시에 대비하여 어떻게 의사결정체계를 구축하고 어떠한 조치능력을 구비하느냐 하는 것은 국가이익 차원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유관부처 간의 긴밀한 소통과 협업은 물론 주변국과의 이해관계 조정 또한 국가이익 달성에 꼭 필요한 과정이다. 사활적 국가이익이 침해를 받을 때에는 외교적 노력과 함께 군사적 수단 사용을 결심해야 한다.
주권국가는 국가이익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국가전략을 개발하며 이에 따라 국가정책을 구상하고 시행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대한민국 국가이익이 구속력 있는 절차를 통해 정리되어야 안보정책 결정 및 집행과정에서 큰 이견 없이 국민적 공감을 이루어 낼 수 있다.
한국이 장기적으로 달성해야 할 핵심 국가이익인 남북한 평화통일을 달성하기 위해서 외교력의 강화와 이를 위한 군사력의 확보, 그리고 경제적 번영에 우선순위를 두는 국가안보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차원에서 헌법에 기초하여 한국의 국가이익을 구체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도출된 국가이익별 우선순위에 입각한 전략적 대응원칙을 정립하고, 일관된 대응원칙에 따라 국가정책을 시행해야 한다.
정권교체에 따라 국가안보전략과 안보정책의 근본이 훼손되지 않도록 국가이이과 국가목표를 상수화해야 한다. 그리고 정부별로 국정비전-(국가안보분야)국정지표-국가안보목표-국가안보전략 기조 및 전략과제를 선정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부처의 의견 수렴과 NSC상임위원회 회의를 거쳐 대통령 결심 후 국가안보전략서를 발간하면, 정권교체에도 흔들림 없이 국가안보정책의 지속성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책을 쓰면서 2
프롤로그 4
Ⅰ. 국가안보정책 결정체계 이해
1장 국가안보전략 구상
1. 국가목표와 국가이익, 정부별 국정비전 22
2. 국가안보정책 결정 주요 영향 요인: 한미동맹과 남북관계 28
3. 국가안보전략 구상절차 35
2장 국가안보정책 결정체계 특징
1. 역대 정부와 국가안보정책 결정체계 44
2. 국가안보정책 결정체계 변천과정의 주요 특징 57
Ⅱ. 국가안보정책 결정체계 변천
3장 국가안보정책 결정체계 기반 구축
1. 이승만 정부(1948. 8~1960. 6) 70
2. 윤보선·장면 정부(1960. 8~1961. 5) 83
3. 박정희 정부(1963. 12~1979. 12) 92
4장 부처 주도의 국가안보정책 결정체계
1. 전두환 정부(1980. 9~1988. 2) 121
2. 노태우 정부(1988. 2~1993. 2) 131
5장 대통령비서실 주도의 국가안보정책 결정체계
1. 김영삼 정부(1993. 2~1998. 2) 144
2. 김대중 정부(1998. 2~2003. 2) 155
3. 노무현 정부(2003. 2~2008. 2) 171
4. 이명박 정부(2008. 2~2013. 2) 195
6장 국가안보실 주도의 국가안보정책 결정체계
1. 박근혜 정부(2013. 2~2017. 5) 218
2. 문재인 정부(2017. 5~) 239
Ⅲ. 국가안보정책 결정체계 발전방향
7장 국가목표와 국가이익에 기반을 둔 국가안보전략 수립
1. 국가이익의 구체화, 상수화(常數化) 258
2. 국가안보전략 구상 절차 259
8장 국가 안보정책 결정체계별 발전방안
1. 국가 안보정책 결정기관 262
2. 국가 안보분야 행정부처 272
영어약어 276
참고문헌 279
찾아보기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