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연구원발간물

연구원발간물

단행본연세대학교 도시문제연구소 연구총서 2008-01

한국사회와 공동체

개인저자
이종수 편
발행사항
서울 :,다산출판사,,2008
형태사항
347p.: 삽화; 24cm
ISBN
9788971103562
청구기호
331.4 이756ㅎ
서지주기
참고문헌 및 색인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0632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063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한국사회가 현 단계에서 직면한 가장 커다란 과제는 공동체의 회복이다. 1987년 이후 제도로서의 민주화는 어느 정도 이루어졌지만, 실제 삶의 현장에서 민주주의는 아직도 험난한 여정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이다. 정치적 민주주의와 경제적 성장, 문화적 안정성과 삶의 질을 위해서도 공동체의 회복이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과 함께 각 학문 분야에서는 다양한 진단과 반성이 이루어지고 있다. 급속한 도시화의 부작용, 생활공동체의 파괴, 환경오염 등에 대한 반성과 함께, 단순한 경제성장보다는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적 발전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필자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지방자치도 주민 스스로의 참여를 통한 삶의 질 개선에 관심을 증대시키고 있다. 권력의 분산과 풀뿌리 민주주의에 대한 소망을 구현하기 위해 현 시점에서 실질적으로 요청되는 과제들을 검토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각 학문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주목되는 화두가 공동체의 회복이라 할 수 있다. 공동체의 회복 없이는 첨단 기술사회로의 진입은 물론 민주주의의 성숙이나 ‘행복’의 증진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공동체는 좌와 우라는 이념적 대결을 넘어 인간성의 고양과 사회통합의 메시지를 담고 있고, 삶의 현장에서 실제적 개선을 이루고자 하는 지향성을 내포하고 있다. 공동체라는 개념 자체를 실제적 민주주의 혹은 작은 민주주의(micro-democracy)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연세대학교 도시문제연구소는 근대화 과정에서 야기되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포착하고, 이를 해결하는 데 선구적 역할을 담당하여 온 연구기관이다. 이제 시대환경의 변화에 따라 공동체의 회복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단계이다. 국내에서 공동체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연구자와 운동가들을 초빙하여 2007년 겨울에 세미나를 개최한 후 각자의 논의를 발전시켜 공동체에 대한 첫 번째 연구결실로서 이 책을 출판하게 되었다.
신학과 기독교계에 대한 논의를 유영권 교수가 빼어나게 정리해주었으며, 지역공동체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에 대하여는 김구 교수가 참여하였다. 광주YMCA에서 오랫동안 공동체 운동을 맡아온 최봉익 선생은 지역공동체 운동의 사례와 실천과제를 짚었으며, 곽현근 교수는 동네공동체의 개념과 효과를 이론적으로 정리하였다. 이제선 교수는 도시재생에 대하여, 그리고 박철수 교수는 아파트로 쌓아올려진 삶의 공간을 문학의 눈으로 들여다보았다. 공동체 문제를 선도적으로 연구해 온 최병두 교수 역시 현대 한국사회의 보편적 주거양식이 되어버린 도시지역 아파트 공동체의 가능성을 두드려 보았다. 이명규 교수와 소갑수 박사는 일본의 사례를 소개하였다. 모든 필진이 한국사회의 공동체 회복에 관심을 보유하고 있는 탁월한 필진들이었다.
공동체는 하루아침에 무너지지도 않고, 또 하루아침에 회복되지도 않는다. 공동체의 회복은 긴 호흡을 요구하는 과제이다. 먼 시선을 가지고 인내하며 추진해야 할 우리 모두의 과제인 셈이다. 이 책을 통해 공동체 회복의 필요성을 깨닫고, 이론적 연구가 활성화 되며, 실무적 노력이 배증되기를 기대할 뿐이다.
목차

제 1 장 공동체와 마을만들기

Ⅰ. 공동체의 해체와 와해
Ⅱ. 공동체의 의미와 새로운 탐색
Ⅲ. 공동체 형성을 위한 구상과 마을만들기 사례들
Ⅳ. 마을만들기의 지향성과 실천전략
1. 마을만들기의 지향성 분석
2. 일반적 과정과 전략들
Ⅴ. 맺는 말

제 2 장 21세기 기독 공동체의 비전

Ⅰ. 들어가는 말
Ⅱ. 공동체의 해체요인
1. 대도시화
2. 자기애적 성향과 이기적 공동체
Ⅲ. 한국인의 참자기
Ⅳ. 기독 공동체의 특성
1. 기독교의 공동체성
2. 기독교의 다양한 공동체 구성
Ⅴ. 기독교 공동체의 현실
1. 한국 기독교 공동체의 지나친 경쟁주의
2. 사이비 종교 공동체
Ⅵ. 의례의 기능
Ⅶ. 치료공동체의 예
1. 분리의 작업
2. 변화의 과정
3. 통합의 과정
Ⅷ. 치료공동체의 필요성
Ⅸ. 공동체의 예
1. 브루더호프 공동체 이야기
2. 라브리 공동체 이야기
3. 한국 디아코니아 자매회
4. 태백 예수원
Ⅹ. 나가는 말


제 3 장 지역공동체 역량구축을 위한 정부의 역할

Ⅰ. 서 론
Ⅱ. 지역공동체 역량구축의 개념적 논의
1. 지역공동체의 개념
2. 지역공동체 역량구축의 개념
Ⅲ. 지역공동체 역량구축의 방향
1. 공동체 역량구축의 기본방향
2. 마을단위 공동체의 활성화 방향
3. 지역공동체의 형성을 통한 역량구축의 방향
Ⅳ. 지역공동체 역량구축을 위한 정부의 역할
1. 정부역할의 기본방향
2. 공동체 역량강화에 대한 정부역할의 평가 틀
Ⅴ. 결 론

제 4 장 지역공동체 회복

Ⅰ. 왜, 지역공동체인가
Ⅱ. 지역에서는 어떤 변화가 일고 있나
1. 세계적인 토고미
2. 100년 계획 문당리
3. 으뜸마을 진안군
4. 시작하는 갈현동
5. 희망세상 반송동
6. 거버넌스 순천시
Ⅲ. 무엇이 공동체 세우기인가
1. 학습조직
2. 마을규약
3. 마을의제
4. 마을관계
5. 마을비전
Ⅳ. 지역공동체 세우기 주체들의 역할은 무엇인가
1. 주민의 마을만들기 참여와 역할은 생활기본권이다
2. 행정의 효과적 지원은 마을만들기 운영체계를 구축하는 일이다
3. 전문가의 성실한 조언은 비전이 있는 마을을 만들어 낸다
4. NGO의 지속적인 중개활동은 마을만들기 활력소이다
Ⅴ. 요약 및 결론

제 5 장 현대 지역공동체의 의의와 형성전략

Ⅰ. 서 론
Ⅱ. 지역공동체의 의의와 최소단위로서의 동네공동체
1. 지역공동체의 개념과 성격
2. 현대행정에서의 지역공동체의 의의
3. 지역공동체 최소단위로서의 동네
4. 동네를 중심으로 한 지역공동체 운동사례
Ⅲ. 지역공동체 형성전략
1. ‘지역의 제도화’ 모형을 통해 본 지역공동체 형성전략
2. 지역공동체 형성을 위한 과정상의 주요 전략

제 6 장 주민참여를 통한 도시재생

Ⅰ. 머 리 말
Ⅱ. 기존 도시재개발사업 추진동향
1. 주민참여 미흡
2. 자기구역 중심적 개발
3. 지역경제기반 상실
4. 재정착률 감소, 재고주택 감소와 같은 사회적 비용 추가발생
5. 커뮤니티 내 갈등과 불신의 만연
6. 수익성 없는 노후 불량 주택지의 방치로 인한 환경문제
Ⅲ. 서울시의 도시재생정책
1. 도심재창조 프로젝트
2. 뉴타운사업 및 균형발전촉진사업
Ⅳ. 주민참여를 통한 커뮤니티 중심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개념
1. 도시재생이란?
2. 주민참여 도시재개발이란?
3. 커뮤니티 중심의 도시재개발이란?
4. 지속가능한 도시재개발이란?
5. 주민참여를 통한 커뮤니티 중심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이란?
Ⅴ. 주민참여를 통한 커뮤니티 중심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방안
1. 도시재생 관련 부문별 기본방향
2. 실천방안

제 7 장 공적 냉소와 사적 정열이 지배하는 아파트단지 공화국

Ⅰ. 공적 냉소와 사적 정열
Ⅱ. 촌충처럼 박힌 무료함의 발톱과 반복되는 일상이 발효시키는 남루한 공기
Ⅲ. 벗어날 수 없는 일상과 버릴 수 없는 욕망, 그 사이의 깊은 절망
Ⅳ. 허공에 아슬아슬하게 매달린 가짜 행복을 찾아 공중을 떠다니는 포자들
Ⅴ. 자기 가족만 배타적으로 사랑해야 한다고 믿는 독점과 자폐의 공간
Ⅵ. 줄행랑과 ‘땅 집’, 그리고 끝없는 직각과 직선의 세계 속 레디메이드 인생
Ⅶ. 거대한 침묵의 조형물이거나 혹은 잔뜩 발기한 거대한 난수표
Ⅷ. 이혼, 자식, 봉양, 사랑의 교환가치로 거래되는 아파트와 처복
Ⅸ. 유동의 문화와 성공한 인생
Ⅹ. 공적 정열과 사적 냉소

제 8 장 도시공동체 회복을 위한 아파트 주민운동

Ⅰ. 서 론
Ⅱ. 도시공동체 이론과 운동의 배경
1. 도시공동체의 이론적 배경
2. 도시공동체운동의 개념적 배경
Ⅲ. 도시공동체운동으로서 아파트 주민운동
1. 아파트 주거의 일반화와 문제점
2. 아파트 주민운동의 유형
Ⅳ. 아파트 공동체운동의 활성화
1. 옥외 공유공간의 활용
2. 아파트 사이버공간의 활용
Ⅴ. 맺 음 말

제 9 장 일본에서의 마을만들기 운동과 대표사례

Ⅰ. 서 론
Ⅱ. 마을만들기란 무엇인가?
1. 마을만들기란 용어에 대해
2. 마을만들기와 도시계획과의 관계에 대하여
Ⅲ. 일본에서의 마을만들기
1. 마을만들기의 등장배경과 발전과정
Ⅳ. 일본의 마을만들기 대표사례
1. 세타가야구의 마을만들기
2. 유후잉 마을의 마을만들기와 장소마케팅 전략
Ⅴ. 결론을 대신하여

제10장 고령자 거주환경과 공동체

Ⅰ. 서 론
Ⅱ. 일본의 고령자정책
1. 개호보험제도 개정안의 특징
2. 개호예방과 지역연계 사업
Ⅲ. 지역사회와 융화되는 고령자 거주환경
1. 지역 커뮤니티 기반의 고령자 공동주택
2. 소규모 다기능 고령자 공동주택
Ⅳ. 맺 음 말

제11장 마을만들기와 단계별 사례

Ⅰ. 서 론
Ⅱ. ‘꿈 그리기’와 ‘보물찾기’
1. 일본 사이타마현 카와고에시 : 역사의 보존과 가로경관 정비 사업
2. 일본 후쿠오카현 호시노무라시 : 별과 문화의 마을만들기
3. 일본 에이메현 마츠야마시 : 21세기형 마을만들기
Ⅲ. ‘역할정하기’와 ‘규칙만들기’
1. 일본 치바현 아비코시 : 사람세우기
2. 일본 미야기현 모토요시쵸 : 주민협의회 활동
Ⅳ. 창의적인 도구들
1. 대안화폐
2. 동네 한바퀴
3. 녹색가게
4. 마을조성을 위한 매칭펀드
Ⅴ. 맺 음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