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연구원발간물

연구원발간물

단행본20世記 韓國史 Series

북한의 역사, 2: 주체사상과 유일체제 1960-1994

대등서명
청소년과 시민을 위한 20세기 한국사
발행사항
서울 :,역사비평사,,2011
형태사항
238 p. : 삽화 ; 21 cm
ISBN
9788976963260
청구기호
911.07 이75ㅂ
서지주기
참고문헌(p. 230-235)과 색인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3434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343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청소년과 시민을 위한 ‘20세기 한국사’ 시리즈 5,6번째 출간!
사실과 정확성을 바탕으로 20세기의 진실을 기록하다


“이 시리즈는 개항기 이후 오늘날까지의 근현대사를 아우르는 대중 역사서로서, 지난 20여 년 동안 축적된 근현대사 연구 성과를 망라해 일반인들에게 전하는 획기적인 역사서가 될 전망이다.”
―한겨레신문

가장 객관적인, 가장 권위있는 북한사를 만난다

<북한의 역사>는 해방부터 1950년대까지의 초기 북한사를 다룬 1권과 사회주의 건설이 본격화되는 1960년대부터 김일성 사망 시기까지를 다룬 2권으로 나뉘어 출간되었다. 1권은 계간 <역사비평>의 전 편집주간이자 역사문제연구소 부소장으로서 진보사학계의 한 축을 든든하게 지탱해왔던 김성보 교수(연세대학교)가 집필을 맡았고, 60년대 이후 현대 북한사의 서술은 참여정부 시절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차장과 통일부 장관을 역임하며 학술과 정책 양면에서 공히 대한민국 최고의 북한 전문가로 이름을 높인 세종연구소 이종석 수석연구위원이 맡았다. 이념과 정치의 잣대에 흔들리지 않고 북한의 역사를 있는 그대로 살펴보면서 그 안에서 통일과 상생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진지하고 내실 있는 접근이 기대된다.
김성보, 이종석 두 필자는 공히 ‘자료의 부족’을 일찌감치 고백하며 ‘북한사 바로알기’의 어려움을 토로한다. 그러나 어렵다고 해서 포기하거나 자의적인 판단으로 섣불리 단정 짓는 것이야말로 지금까지 남북관계를 꼬이게 만들었던 우리 내면의 함정이었다. 오늘날의 북한을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첩경은 바로 오늘날의 북한을 있게 한 과거의 역사를 편견 없이 실증적으로 되돌아보는 데 있다. 북한이 걸어온 길을 찬찬히 들여다보면 현재의 북한을 이해할 수 있고, 역사에 기반한 깊은 이해야말로 평화로운 미래를 열어갈 전망을 밝히는 초석이 될 것이다.

북한사 공부를 돕는 최고의 교과서적 구성
―정론적 시기구분에 따른 장별 목차, 다양한 화보와 스페셜 테마


<북한의 역사>는 역사학계에서 정론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시기구분에 따라 각각 7장(1권)과 5장(2권)으로 구성되었다.
1권의 1, 2장은 인민민주주의 정권의 성립기로서 통일전선 권력이 만들어지고 혼합경제가 추구되었던 1947년 2월까지를 다루었으며, 3장은 사회주의 세력이 권력을 집중하면서 분단체제가 굳어진 1948년 9월까지를 다루었다. 또한 한국전쟁을 치르며 전시체제하에서 북한 내의 다양성과 역동성이 극도로 위축된 시기(4장)를 지나, 전후 복구 과정에서 오늘날 북한의 권력구조가 확립되기까지 일목요연하게 살펴나갔다(5, 6장).
2권에서는 대체로 10년 주기로 열린 조선노동당 4, 5, 6차 대회를 기준으로 주체사상이 북한의 정치·경제·사회·문화를 어떻게 지배했고, 강력한 대중동원력을 바탕으로 경제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던 유일체제가 어떻게 체제위기의 결정적인 요인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었는지 객관적이고 균형 있는 시각으로 밝히고 있다.
시기구분에 입각한 체계적인 교과서 구성으로 북한의 역사 구비 구비를 한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한편, 장마다 별도로 다뤄야 할 중요한 테마나 역사의 굵직한 흐름에서 간과하기 쉬운 사람 사는 모습의 면면을 ‘스페셜 테마’로 배치해 입체적인 이해를 도왔다. 정치·경제적인 ‘결정적 장면’들 외에 북한 사람들의 생생한 일상 스케치까지 다양하게 배치된 화보 역시 <북한의 역사>를 풍성하게 만들어주었다.

“잃은 것은 다양성이요 얻은것 은 독자성이다”
―초기 북한의 역사, 인민민주주의의 경험을 되살려야 한다


<북한의 역사> 1권의 저자 김성보는 해방 이후 북한에서 가장 먼저 권력의 중심에 다가간 것이 김일성과 사회주의 세력임을 지적하면서도, 초기 북한의 정치구조는 사회주의와 민족주의 세력의 통일전선 권력체의 모습을 지니고 있었고 경제적으로도 사적 소유와 국가 소유가 공존하는 혼합경제의 형태를 갖추고 있었다는 데 주목한다. 2차대전 이후 수많은 독립국들이 그랬던 것처럼, 북한 역시 출발 당시에는 ‘인민민주주의 국가’를 추구하고 있었던 것이다.
동유럽에서 강력한 내정개입으로 위성국가들을 만들어냈던 소련은 북한에서만은 미국과의 이해관계 조율 및 북한의 자율성 존중이라는 입장으로 한 발 물러났지만, 신탁정국 당시 민족주의 세력의 지도자 조만식이 실각하고,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전시체제가 확립되는 와중에, 북한은 다양성을 잃고 획일화의 한길로 달려 나가게 되었다.
이제 경직된 사회체제, 일상화된 우상숭배가 불러온 현재의 위기를 극복해내기 위해 북한은 다양한 세력이 서로 경쟁하고 협력하면서 긴장과 활력을 유지했던 인민민주주의 시대를 기억해내야 한다는 것이 저자의 바람이다.

북한 역사의 기둥이자 위기의 근본원인, 주체사상과 유일체제
―속도전은 이제 그만! 대중의 개성과 창의력으로 위기를 극복해야


<북한의 역사> 2권의 저자 이종석은 한때 북한 역사 전개의 기둥이자 근본가치였고 그들의 자랑이었던 주체사상과 유일체제가 어느 시점부터 체제위기를 심화시킨 근본원인이 되었다는 역사적 역설을 차분하게 파헤친다. 주체사상은 맨처음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보완하는 특수한 실천전략으로 제기되었다. 이 사상이 독재자 개인에 의해 전유되어 ‘김일성주의’라 불리고 개인숭배 시스템이 사회를 지배하게 되자, 북한사회는 일체의 물적·외적 조건을 주관주의적으로 무시하고 오로지 대중의 ‘혁명적 의지’와 수령에 대한 충성심에 기대어 속도전을 펼치는 방식으로만 사회 발전을 꾀하게 되었다. 그러나 일정한 단계에 오른 사회가 그 이상의 경제적 문화적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개성 있는 개인들의 창의력에 기반한 혁신이 반드시 필요하다. 지금 북한사회가 당도한 위기는 일시적이거나 우연적인 것이 아니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중국이 선택한 실용주의 노선처럼 자기 사회의 발전단계를 객관적으로 직시하면서 사회구성원의 창의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개혁개방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저자의 진단이다.
목차
발간사 '20세기 한국사'를 펴내며 책머리에 위기의 북한사회, 역사와 현실을 돌아본다 01 주체 노선의 고창과 유일체제의 대두 김일성 권력의 공고화와 사회주의 제도의 확립 중소분쟁과 주체 노선의 고창 유격대 국가로의 길-항일유격대식 삶을 지향하다 북한과 중국의 갈등과 화해 주체사상의 등장 전면화된 개인숭배 캠페인,동원화된 사회 체계 자립경제와 국방·경제 병진 노선, 그리고 경제난 남조선혁명론과 게릴라 침투-군사 모험주의의 발호 주체사상의 사유화-'김일성 사상' 스페셜 테마 : 1967년의 북한사회, 사회적 굴절의 발생 스페셜 테마 : 북한사회의 개인숭배 토양 02 김정일 후계 체제의 등장과 유일체제의 확립 사회주의 헌법의 제정과 유일체제의 확립 중국과의 공조를 통한 남북대화의 모색 김일성주의로 굴절된 주체사상 김정일의 후계자 부상과 3대혁명소조운동 경제난 극복을 위한 외자 도입과 실패 사회적 도덕률이 된 수령제 담론 스페셜 테마 : 주체사상의 내용과 체계 스페셜 테마 : 유일체제로서의 북한사회 스페셜 테마 : 남한의 정치 변동과 유일체제 형성의 상관성 03 위기시대의 도래 수령-후계자 공동통치 시대의 개막 계속되는 경제 계획의 미달성과 대안 모색의 실패 포기하지 않는 주관주의 노선-사회주의 완전승리 테제와 중국 노선의 비교 사회주의 진영의 붕괴와 북한의 대응 깨닫는 현실, 변화하는 통일 방안 헌법 개정과 김정일 시대를 위한 준비 스페셜 테마 : 북한의 근로단체가 하는 일 스페셜 테마 : 북한 외교의 변천 과정 04 신화시대의 종언과 김정일 시대의 개막 북한 핵개발의 쟁점화와 미국과의 갈등 동맹의 동요와 새로운 관계의 모색 김일성 사망, 신화시대의 종언과 김정일 시대의 개막 심화되는 경제 침체, 이완되는 사회 체제 자구책의 한계와 사적 시장의 발생 위기 극복의 대안으로 부각된 군사국가화 스페셜 테마 : 1990년대 북한 경제 위기의 원인 스페셜 테마 : '북한 문제'의 국제적 쟁점의 발생과 배경 스페셜 테마 : 조선노동당의 공식 위상과 실제 05 글을 맺으며_북한 사회주의의 침체, 그 원인을 생각한다 유일체제의 비효율성 인민주권을 무력화시킨 개인숭배 담론들 자주성 체제의 당위와 현실적 모순 '정치 우선 사고'의 한계 스페셜 테마 : 북한 역사 시기구분하기 스페셜 테마 : 북한의 공식 규범과 주민의 의식구조 부록 주요사건일지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