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연구원발간물

연구원발간물

단행본동국대학교 북한연구소 토대기초연구과제 연구서 ;한울아카데미 21721

함흥과 평성: 공간·일상·정치의 도시사

Hamhung and Pyeongsung : urban history of space, every life and politics

발행사항
파주 :,한울아카데미,,2014
형태사항
300 p. : 삽화, 지도 ; 24 cm
ISBN
9788946057210
청구기호
331.47 고67ㅎ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5272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527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이 책은 동국대학교 북한도시사연구팀이 한국연구재단(NRF)의 지원을 받아 2012년 11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3년간 ‘북한의 도시사 아카이브 구축과 연구방법론 개발: 함흥, 평성의 비교도시사 연구토대 구축’이라는 주제로 진행한 토대기초연구의 두 번째 성과물이다(첫 번째 성과물은 2013년 출간된 <사회주의 도시와 북한: 도시사연구방법>이다).
북한도시사연구팀은 도시사 연구의 핵심 쟁점을 ‘공간성’에 두고 있으며, 도시 공간 안에 펼쳐지는 수많은 연구 소재와 주제를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함흥과 평성이라는 두 도시의 물리적 환경과 구조를 분석하고 정치적 공간 지배와 물질경제적 공간 분화를 반영하며, 도시 구성원들의 일상의 삶과 연계된 다양한 상호작용을 공간 이론적으로 해석함으로써 도시 공간 내 ‘공간·일상·정치’의 여러 측면을 탐구하고 분석한다. 그리고 동일한 맥락에 있는 사회주의 도시들의 도시사적 경험을 북한 도시와 비교하고 고찰한다.

북한의 함흥은 긴 도시 역사와 넓은 시 면적만큼이나 연구 소재가 풍부한 도시이다. 도시 공간 속에는 사회주의 도시로서의 ‘이상’과 저발전 근대화의 요구를 안고 있는 북한 도시의 ‘현실’이 고스란히 투영되어 있고, 북한 산업화·공업화의 대표 도시로서 함흥 생애사는 북한 전체 산업의 성장과 좌절의 맥락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북한 내 어느 도시보다도 사회주의적 계획이 조밀하게 구현된 도시이며, 거리 형성과 건축물의 조형에서도 제2도시의 면모를 왕성히 보여준다. 최근 함흥은 경제난의 깊은 침체에서 벗어나 재건설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므로 도시 구성원들의 공간적 상호작용방식과 그 결과 역시 다양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함흥과 달리 북한의 평성은 도시사 연구의 관심과 흥미를 끌기에 충분한 매력을 보여준다. 평성은 비교적 도시 역사가 짧고 규모가 작으나 시 안의 공간 구성이 단조롭고 공간 구성원의 계층별·직업별 분포 역시 명료한 편이다. 이에 평성 연구에서는 1990년대 ‘경제난 이후’라는 도시 공간의 시간성과, 평성 도시 공간의 변화를 일으키는 주체적 역동성에 주목했다. 연구자에 따라서 평성의 도시 잠재력을 높게 전망하기도 하고, 평양 위성도시로서 한계성을 지적하기도 하는 등 견해를 달리했지만 이 또한 평성 도시사 연구가 발견한 결과물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연구 대상의 도시에 직접 가볼 수 없을 뿐 아니라 자료 수집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나 북한도시사연구팀의 연구자들은 두 도시에 관한 다양한 유형과 형태의 자료들을 접했고 함흥과 평성 출신의 탈북자 인터뷰를 진행했다. 구술자들의 구술을 통해 두 도시를 상상하고 손에 잡힐 듯 가깝게 느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흐릿한 도시의 모습 앞에 주제와 소재를 탐색하고 방법론적 적용을 다각도로 검토했다. 작은 결과이지만 이 책을 통해 사회공간이론과 도시사적 방법론을 북한 연구와 접목시키고자 한 연구자들의 노력이 독자들에게 충분히 전달되리라 생각한다.
목차

제1부 함흥과 평성, 그리고 북한의 도시공간구조
제1장 북한 주요 도시의 공간 구조와 다이어그램
1. 사회주의 도시 및 도시 공간의 이해
2. 북한 주요 도시에서 나타나는 상징 공간의 특징
3. 북한에서 상징 공간의 의미

제2장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북한의 평성과 함흥의 도시공간구조
1. 서론
2. 도시공간구조와 북한 도시의 특성
3.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북한 평성과 함흥의 도시공간구조 분석
4. 결론

제2부 함흥과 평성의 도시 정치와 일상생활
제3장 함흥 도시 공간의 지배 구조와 탈주체의 삶
1. 서론
2. 도시 역사와 공간 전략
3. 지배 구조의 층위: 행정구역 개편과 공간기능의 분화
4. 정치경제적 층위: 공간별 연계와 위계
5. 주체의 층위: 도시 주민의 삶과 일상
6. 결론

제4장 북한의 아파트 건설 역사와 도시 정치: 통치와 욕망의 공간적 변주
1. 서론
2. 아파트 건설의 역사와 정치 경제
3. 2000년대 아파트 건설 시장의 실태
4. 평양 아파트 건설 이권을 둘러싼 권력기관의 경쟁
5. 아파트 부실시공 실태
6. 지방 도시의 아파트건설동맹
7. 평성의 사례를 통해 본 아파트 건설 입지
8. 아파트를 통한 공간의 계층적 분화
9. 기득권과 아웃사이더: 구별 짓기와 공간 분화

제5장 북한 평성의 공간적 변화와 도시성 탐구: ‘하차시장’ 생활 경험을 중심으로
1. 서론
2. 공간 전략과 도시 구성
3. 하차시장의 형성과 도시 공간의 분화
4. 생활양식과 도시성의 변화
5. 결론

제3부 소비에트 도시들의 경험
제6장 1920년대 소비에트 러시아의 사회주의 건축 실험: 구성주의 건축가 모이세이 긴즈부르크와 ‘코뮌의 집’
1. 유토피아적 상상과 코뮌의 집
2. 구성주의와 긴즈부르크
3. 구성주의 건축가들의 쇠퇴와 그 궤적
4. 결론

제7장 사회주의 도시의 ‘농촌적’ 요소들: 소련 도시화의 몇 가지 특징에 대하여
1. 서론
2. 도시의 인구 규모와 밀도
3. 소련 도시의 발전 유형
4. 혼종성과 다양성
5. 결론

제8장 통일 이후 구동독 공업 도시들의 도시 특성과 도시 성장: 라이프치히와 할레를 중심으로
1. 서론
2. 체제 전환과 도시 성장의 관계
3. 구동독의 도시 사례 분석 및 시사점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