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연구원발간물

연구원발간물

단행본

한반도 통일과 동아시아 평화 번영

발행사항
서울: 형설출판사, 2015
형태사항
195p. : 23cm
ISBN
9788947276153
청구기호
340.911 배73ㅎ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6255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625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머리말

1945년 8월 15일, 한반도는 광복을 맞이하였지만, 이내 남북으로 분단되었다. 이후, 한반도는 한국전쟁의 시련을 겪어야 했고, 섬아닌 섬 ‘인공의 섬’이 되었다.
분단시대의 한국 국민들은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라는 노래를 부르며 통일을 갈망하였지만, IMF 경제위기 이후, 적지 않은 국민들이 통일비용에 대한 오해 때문에 남북통일을 두려워하고 회피하였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출범이후, 통일문제에 대한 논의가 활성화되면서 통일 지향의 불씨가 점화되기 시작하였다. 한반도 통일 지향의 작은 불씨는 박근혜 대통령의 ‘통일 대박론’ 주창으로 한층 크게 타오르기 시작하였다.
한민족과 한국은 이제 타오르기 시작한 통일의 불씨가 국내는 물론, 해외 한민족사회, 국제사회에 통일공감대를 확산시켜야 하는 역사의 전환기적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 다시 말해, 한민족과 한국은 ‘통일과 선진강대국(GK)’의 노래를 부르며 한반도 통일을 이룩하고 선진강대국으로 도약해야 하는 중요한 역사의 전환기적 상황 앞에 놓인 것이다.
이 책은 이와 같은 시대정신을 바탕으로 최근 점화된 한반도 통일의 불씨의 의의를 되새기고, 한반도 통일에 대한 공감대가 국내외에 확산되도록 하는데 기여하기 위해서 집필되었다.
필자의 한사람으로서 이 책이 국내외 통일공감대의 확산에 유효하게 기여했으면 한다. 또한 한반도 통일과 경제비전 및 사회발전, 한반도 통일과 동아시아 평화·번영의 편익, 한반도 통일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식과 입장 등을 이해하는데 유익하게 활용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리고 이 책을 집필하는 과정에서 도움을 준 국내외 전문가들, 특히 설문에 응해 준 해외 전문가들에게 감사를 드리며, 나아가 이 책이 단행본으로 출간될 수 있도록 협조해 준 통일부 통일기반조성과의 황승희 과장 및 노일준 주무관을 비롯하여 형설출판사의 박미경 상무와 박수지씨 등에게도 감사를 드린다.

배정호
목차

서 장 한반도 통일의 가치와 비전 / 9
1. 한반도 통일의 가치와 비전 / 10
2. 동아시아 평화·번영에 기여하는 선진강대국(GK)으로의 도약, 발전 / 11

I 부 한반도 통일과 경제?사회 비전

제1장 한반도 통일과 경제비전 / 17
1. 한국경제의 현황과 특징 / 18
2. 한반도 통일의 경제적 편익 / 24
3. 한반도 통일의 경제비전 / 34

제2장 한반도 통일과 사회발전 / 39
1. 한국사회의 갈등 현황과 특징 / 41
2. 통일과 사회갈등 / 46
3. 한반도 통일과 사회발전 비전 / 55

II 부 한반도 통일과 동아시아 평화?번영

제3장 동아시아 평화와 한반도 통일 / 71
1. 동아시아 전략환경의 특징 / 72
2. 한반도 분단의 지속과 동아시아 안보환경의 악화 / 82
3. 한반도 통일과 동아시아 안보와 평화 / 89

제4장 한반도 통일과 동아시아 경제발전 / 95
1. 동북아 경제 현황과 한반도 / 96
2. 한반도 통일과 동북아 교역의 변화 / 99
3. 한반도 통일과 동북아 경제 비전 ?투자, 소비, 자원, 노동 및 물류 / 104
4. 한반도 통일과 동북아 경제 통합 / 111

제5장 독일통일의 비전과 EU / 115
1. 독일통일과 독일의 발전(국내적 차원) / 116
2. 독일통일과 EU(유럽지역 차원) / 137
3. 독일통일과 EU의 미래 / 150

III 부 한반도 통일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식

제6장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 4국의 인식 / 155
1. 미국 / 156
2. 중국 / 161
3. 일본 / 164
4. 러시아 / 168

제7장 한반도 통일에 대한 동남아 국가들의 인식 / 175
1. 한반도 통일과 동남아 국가들과의 관계 / 176
2. 한반도 통일에 대한 동남아 국가들의 인식 / 179

저자 소개
저자 김용호
연세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연구위원, 중앙일보 통일전문기자 등을 역임했다. 현재 통일연구원 연구위원과 한국정치학회, 한국언론학회, 북한연구학회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대북한외교론' 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작가의 다른 작품
저자 박상봉
·현직 : 독일통일정보연구소 대표
·학력사항: 연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 독일 베를린자유대(FUB) 경영학 석사 / 강원대 사학 박사
·주요경력 : 미래한국 이사 겸 편집위원 / 명지대 객원교수 / 통일교육원장
·주요저서 및 논문
- 「트로이한트와 한반도 통일」, 혜화, 1994.
- 「남북경제통합론」, 나남출판사, 2004.
- 「한반도 통일과 동아시아 평화 번영」, 형설출판사, 2015(공저).
- 「통일 패러다임과 북한 재건」, NDI, 2016.
작가의 다른 작품
저자 배정호
제20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정무직 차관급)
● 학력사항
- 경북고 졸업, 연세대 졸업
- 일본 동경대학 정치학 석사, 박사(Ph.D)
● 주요 경력
- 통일연구원 국제관계연구센터 소장/ 통일정책연구센터 소장
- 한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 비영리 사단법인 GK전략연구원 이사장
● 주요저서
「일본의 국가전략과 안보전략」 나남, 2006
「연방제와 평화협정」 형설출판사, 2016(편저)
「한반도 통일과 동아시아 평화 · 번영」 형설출판사, 2015(공저)
「중국의 대외전략과 한국의 전략적 교훈」 통일연구원, 2013(공저)
...
작가의 다른 작품

알라딘에서 제공한 저자 정보입니다.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