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연구원발간물

연구원발간물

단행본

북·중·러 접경지대와 동북아 소지역협력

Subregion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 focusing on the North Korea-China-Russia border areas

발행사항
서울 :,이조,,2018
형태사항
255 p. : 삽화, 도표 ; 23 cm
ISBN
9791187607069
청구기호
349.1 신43ㅂ
서지주기
참고문헌(p. 245-249)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657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657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동북아 지역의 정치적 안정과 한반도의 평화,
그리고 소지역협력의 함의는 무엇인가?


21세기 현재 동아시아라는 지리적 공간에서 벌어지고 있는 정치적 변동은 매우 심대하다. 전통적으로 존재했던 기존 지역질서가 느슨해지면서 새로운 질서를 형성할 수 있는 힘의 상관관계에서 변동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탈냉전 이후 아시아 지역, 특히 동아시아 지역은 일본을 필두로 한 빠른 경제성장으로 주목 받기 시작하였으며, 중국의 부상과 북한의 위협을 비롯한 지역상의 안보적 도전들이 미국의 아시아 피보팅 정책으로 연결되는 상황 속에서 더욱 큰 관심을 받아왔다.
미중 경쟁으로 불안정해지고 있는 동아시아의 지역정치 지형에 북한 및 한반도 문제는 커다란 변수로 떠오르고 있으며, 2018년 평창 올림픽 이후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은 한반도 평화정착과 동아시아 지역협력 촉진을 통한 국면전환을 예고하고 있다. 특히 동북아시아 정세변화와 관련하여 북한과 중국 그리고 러시아의 접경지대를 둘러싼 협력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가고 있다. 이 책은 북·중·러 접경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소지역협력의 기제와 특징을 파악하고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해봄으로써 향후 동북아 지역의 정치적 안정을 도모하고 한반도의 평화를 추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소지역협력의 이론적 및 실천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시도이다.


저자 소개


이 름 신 범 식 Shin, Beom Shik
학 력 러시아 모스크바국제관계대학교(MGIMO) 정치학 박사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사, 석사
소 속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중앙아시아센터장
논 저 『유라시아의 도전과 국제관계』, 『중국의 부상과 중앙아시아』, “Russia’s Network State Strategy: Construction of Energy Pipeline Network”, “Concept, Reality and Limits of ‘Strategic Partnership’ in Russia-China Relations”, “The International Politics of Climate Change and Prospect of U.S.-China Relations”, “Global Network Politics of Russia’s Oil and Gas Pipeline network Construction toward Northeast Asia”
이메일 sbsrus@snu.ac.kr
----------------------------------
이 름 김 예 지 Kim, Yejie
학 력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외교학전공 석사
연세대학교 사회학/정치외교학 학사
논 저 “제도적 행위이론을 통한 동북아지역 다자협력의 제도화 과정 분석: 두만강 개발계획의 사례연구”(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싱가포르의 네트워크 외교 전략: IMS-G의 사례”, 『제3세대 중견국 외교론』
----------------------------------
이 름 이 종 민 Lee, Jongmin
학 력 서울대 경제학과 박사과정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석사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학사
논 저 “Economic Growth, Campaign Pledges and Election Outcomes", 『비교경제연구』
----------------------------------
이 름 이 금 강 Lee, Kum Kang
학 력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외교학전공 석사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학사
논 저 “탈소비에트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지역 협력”(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 름 최 현 정 Choi, HyeunJung
학 력 동경대학 공공정책대학원 석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협력 석사과정
연세대학교 동아시아 국제학부 학사
----------------------------------
이 름 박 상 연 Park, Sangyeon
소 속 육군사관학교 군사사학 조교수
학 력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외교학전공 석사
서울대학교 영어교육/외교학 학사
논 저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 부두 사용권 협상전략 비교”, 『중소연구』 “젼바오섬 사건은 중국의 의도적 선제공격이었는가? : 위기관리 전략 구사의 한계에 대한 조직이론적 해석“, 『군사』
목차

머리말 4

서장 북·중·러 접경지대와 동북아 소지역협력 : 이론과 현실
신 범 식 ┃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I. 책을 시작하며 11
II. 동아시아 지역주의와 소지역 협력 13
Ⅲ. 북 · 중 · 러 소지역협력과 동북아 지역정치 26
IV. 맺음말 37
V. 책의 구성 39

제1장 두만강 개발계획을 통해 본 동북아 소지역협력의 제도화 과정
김 예 지 ┃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석사

I. 서론 53
II. 제도적 행위이론의 적용 57
Ⅲ. 두만강개발계획의 제도화 과정 64
IV. 결론 83

제2장 북한의 체제 이행 전망과 경제 특구 :
경제 특구 전략의 북한 적용 가능성 분석을 중심으로
이 종 민 ┃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박사과정

I. 서론 99
II. 과거 체제 이행 경험으로부터의 교훈 :
중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106
Ⅲ. 경제 특구 전략의 북한 적용 가능성 : 이론적 접근 115
IV. 결론 130

제3장 나진-선봉경제무역지대를 바라보는 북한의 입장:
<『경제연구』>를 중심으로
이 금 강 ┃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석사

I. 서론 139
II. 북한 문헌 연구와 『경제연구』 140
Ⅲ. 『경제연구』 속 나선지대의 게재 시점과 그 의미 148
IV. 『경제연구』 속 나선지대의 운영에 대한 북한의 고민 158
Ⅴ. 결어 170

제4 장 러시아 자루비노항 개발을 중심으로 본 중국과
러시아의 입장과 동북아시아 지역협력의 전망
최 현 정 ┃ 동경대 공공정책대학원 석사

I. 서론 184
Ⅱ. 자루비노항 소개 및 개발 현황 185
Ⅲ. 자루비노항 개발을 둘러싼 중 · 러 의 입장과 의도 189
Ⅳ. 자루비노항 개발의 추가적인 기대효과 200
Ⅴ. 자루비노항 개발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 204

제5장 중국과 러시아의 나진항 부두사용권협상전략 비교
박 상 연 ┃ 육군사관학교 군사사학 조교수

Ⅰ. 문제제기 213
II. 협상이론과 이론적 틀 218
Ⅲ. 나진항을 둘러싼 중국과 러시아의 협상 과정 226
IV. 결론 243

색인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