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연구원발간물

연구원발간물

단행본

평양의 시간은 서울의 시간과 함께 흐른다: 한국인 유일의 단독 방북 취재

발행사항
서울 :,타커스,,2018
형태사항
315 p. : 천연색삽화, 지도 ; 23 cm
ISBN
9788998658540
청구기호
309.1111 진813ㅍ
일반주기
권말부록: 남북 간 주요 합의문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6625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662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 일일(一日) 일만기(一萬器), 선주후면(先酒後麵)의 옥류관 주방 최초 공개
◆ 려명거리 73층 아파트(살림집) 내부 최초 공개
◆ 주체사상탑 전망대에서 찍은 평양 시내 야경 최초 공개
◆ 단동-평양 국제여객열차에서 찍은 평안도 평야지대와 추수 장면 최초 공개
◆ 실제 평양지도 최초 공개
◆ JTBC <뉴스룸> <이규연의 스포트라이트>, SBS <블랙하우스> 등 수많은 방송에 출연해 최신 북한 소식을 전함
◆ 2018년 7월 4일 평양에서 실시간 이메일로 보내온 에필로그 삽입

두껍지 않은 책이면서도 던져주는 고민은 참으로 두껍다.
_손석희(JTBC 보도부문 사장)

한국인으로 유일하게 단독 방북 취재에 성공한
언론인 진천규가 담아낸 평양의 현재 모습
택시와 휴대폰을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옥류관 냉면과 피자를 동시에 즐기는 평양 시민들의 모습 최초 공개.
평안도의 드넓은 평야부터 대동강과 모란봉공원,
살구꽃이 만개한 개선문거리, 려명거리 73층 살림집까지
역사와 문화를 따라 평양의 속살을 느낀다!


2010년 5.24 조치 이후, 한국인으로는 유일하게 단독 방북 취재에 성공해 북한의 변화상과 현재 모습을 알린 언론인 진천규의 《평양의 시간은 서울의 시간과 함께 흐른다》가 출간되었다.
최근 몇 달 사이 남북관계가 급진전하며 놀라운 변화들이 일어나고 있지만, 지난 10여 년간 남과 북은 지구상에서 접근하기가 가장 어려운 곳이었다. 2010년 이명박 정부가 대북제재 조치를 발표하면서 남북교역이 전면 중단되고 우리 국민의 방북은 물론이고 언론인의 방북 취재도 일절 금지되었다. 이후 2016년 박근혜 정부가 개성공단을 폐쇄하면서 남북관계는 완전한 암흑기에 들어갔다. 2017년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고 나서도 극소수의 공식행사 취재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한민국 여권 소지자로는 유일하게 방북 취재에 성공해 북한의 변화상을 알린 이가 있다. 자칭, 타칭 ‘통일기자’ 진천규가 그이다.
저자는 1988년 〈한겨레신문〉 창간 기자로 입사해 판문점에 출입하며 북한 취재와 인연을 맺었다. 지금까지 여섯 차례의 방북 취재 과정에서 남북관계의 결정적인 장면들을 카메라에 담아냈다. 특히 2000년 평양 정상회담 당시 6.15 공동선언 현장에서 단독으로 찍은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진이 잘 알려져 있다. 이로부터 17년 뒤인 2017년 10월, 한국인으로서 유일하게 방북 취재에 성공했다. 북한과 미국이 “핵무력 건설”, “화염과 분노(fire and fury)”, “로켓맨(rocketman)”, “완전 파괴” 등의 말 폭탄을 주고받으며 곧 전쟁이 일어날 것 같은 일촉즉발의 상황에서 저자는 방북 길에 오른 것이다. 그리고 2018년 7월 현재까지 총 네 차례에 걸쳐 평양, 원산, 마식령스키장, 묘향산, 남포, 서해갑문 등을 취재했다.
《평양의 시간은 서울의 시간과 함께 흐른다》는 그 취재 내용을 담은 책으로, 지난 10여 년간 베일에 감춰져 있던 평양의 변화상을 최초로 공개한다. 이 책에는 한창 추수 중인 평안도의 농촌 풍경부터 73층 초고층 아파트가 들어선 평양 려명거리의 화려한 야경까지 급속한 변화가 진행 중인 ‘평양의 현재’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평양은 통화 중
휴대폰과 택시의 일상화

저자는 17년 만에 다시 찾은 평양의 첫인상을 ‘놀라움’이라는 한마디로 압축해 표현한다. 전쟁 준비로 모든 인적.물적 자원이 동원되었을 것이라는 일부의 주장과는 판이한 평온이 흐르고 있었기 때문이다. 최근 저자가 찍은 사진과 동영상이 여러 매체에 방송되면서 알려졌듯이, 평양 거리에서 휴대폰을 들고 통화하거나 사진을 찍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고, 학교와 도서관 등에서는 IT 기기와 프로그램을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도로에 차량의 수가 많이 늘어났는데, 특히 택시의 수가 눈에 띄게 많다.
평양 시내에만 6,000대 이상의 택시가 운행 중이고, 택시 회사도 5~6개가 된다고 한다. 옥류관 앞에는 항상 10여 대의 택시가 손님을 기다리고 있고, 외국인이나 고위 간부들만 택시를 탈 것이라는 우리의 생각과 달리 일반 시민들이 주로 이용한다고 한다. 이런 풍경은 저자가 최근에 사진을 공개하기 전까지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것들이다.

“택시는 주로 누가 이용하나요?” 택시를 타고 가면서 평소 궁금했던 것들을 운전원에게 물었다.
“지하철이나 버스 정류장이 없는 뒷골목까지 가려고 하는 사람들이 주로 이용합니다.”
허무할 정도로 당연한 답변이 돌아왔다. 우리가 버스나 지하철보다 비싼 비용을 치르고 택시를 타는 이유도 바로 그것이 아닌가? 여러 번 갈아타지 않고 목적지까지 빨리 갈 수 있는 편리함. 평양에서도 특수한 신분의 당 간부들만 택시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빠르고 편리하게 이동하려는 사람들이 택시를 이용하고 있었다. 특히 북녘에는 개인 소유의 자동차가 없으니 대중교통 중에서도 택시를 이용하려는 사람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148~149쪽

나는 지금 평양 중구역 대동강 옆에 위치한 평양호텔 5층 방에서 이 글을 쓰고 있다. 에필로그를 서울에 있는 출판사로 보내면 그동안 진행해오던 책이 마감된다. 이 책은 평양에서 서울에 있는 출판사와 이메일로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마무리했다. ‘평양의 시간은 서울의 시간과 함께 흐른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실감하게 된다. ―290쪽


선주후면(先酒後麵)의 평양냉면부터
대동강맥주 황금색의 비밀까지

일반인들이 가장 관심을 가질 만한 부분은 <5부 맛과 먹방의 세계는 남북이 따로 없다_냉면에서 피자까지>이다. 옥류관의 냉면과 ‘이딸리아료리전문식당’의 피자와 스파게티를 동시에 즐기고, 퇴근 후에 맥주집에서 대동강맥주를 마시며 하루의 피로를 풀고, 마트와 백화점에서 다양한 먹거리를 소비하는 평양 시민들의 다채로운 모습이 책 속에 담겨 있다.
특히 지금까지 언론에 단 한 번도 공개되지 않은 옥류관?청류관의 주방 모습과 옥류관 지배인에게 직접 들은 평양냉면의 비밀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옥류관에서는 하루에 만 그릇(일만기, 一萬器)의 냉면이 나가고, 술과 함께 면을 즐기면 더 맛있기에 술을 먼저 권한다는 선주후면(先酒後麵) 등의 이야기가 흥미롭다. 평양의 음식문화를 소개하는 ‘청류관, 평양 4대 음식을 요리한다’, ‘대동강맥주, 황금색의 비밀을 풀다’ 등의 생생한 정보도 담겨 있다.
또 저자는 평양에서 콩나물무침, 두부, 계란 프라이를 먹고 50년 전 어린 시절에 먹었던 맛을 기억해낼 수 있었다고 한다. 유전자를 변형한 GMO 콩을 사용하고 닭을 대량 집단 사육하는 우리의 시스템에서는 더 이상 맛볼 수 없는 재료 본연의 맛이라고 평한다.

고기쟁반국수를 시키면 ‘평양주’라는 술 한 잔이 함께 나온다. 양은 우리 식으로 소주 세 잔 정도이다. 술을 먼저 한 모금 마시고 국수를 즐기는데, 이를 선주후면(先酒後麵)이라고 한다. 즐겁게 한잔하면서 먹어야 국수가 맛있다고 한다. 점심식사에 누구에게나 술(소주)을 먼저 마시도록 내놓다니 놀라웠다. 물론 술은 원하지 않으면 마시지 않아도 된다. 냉면 사리는 원하면 추가로 가져다준다. ―179쪽

대동강맥주는 2016년 8월 평양에서 맥주 축제를 열어 시민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당연하게 모든 재료를 북한산으로 사용하는데 양강도, 자강도와 평안북도에서 생산한 보리와 홉을 사용하고, 쌀을 섞는다는 점이 색다르다. 맥주의 종류가 다양한데, 원액스, 보리와 쌀의 함량, 알코올 도수에 따라 각 번호로 구분한다. ―197~198쪽


철거민에게 입주 1순위 자격을!
려명거리 73층 아파트의 삶

2017년 완공된 려명거리의 초고층 아파트에서 생활하고 있는 주민들의 집을 방문해 집안 모습과 가족들의 생활상을 취재한 내용도 눈에 띈다. 이 아파트들은 근처에 근무하는 주민에게 우선적으로 배정되고, 재개발 이전에 살던 사람들, 즉 철거민들에게 1순위로 입주자격을 준다고 한다.
저자가 방문한 집에는 대개 침대, 가스레인지, 냉장고, 전기밥솥 등이 갖춰져 있어 우리 가정집과 비슷한 생활양식을 누리고 있었다. 미리 연락하고 찾아갔지만 일부러 없던 물건을 갖다 놓거나 화려하게 꾸며놓았다는 느낌은 받지 못했고, 외부인이 방문한다고 하니 깨끗하게 청소하고 나름대로 정리정돈을 해놓은 정도로 보였다고 한다. 외지인에게 려명거리 살림집을 공개한 것은 이번이 최초라고 한다.

우리가 가장 궁금해하는 것은 대개 아파트 평수이다. 아파트를 단순한 주거의 개념보다는 재산 증식의 수단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곳 사람들은 평수에 대한 개념이 없다. 평양에서는 집의 크기를 평수가 아니라 방의 개수로 계산한다고 한다. 방 2개짜리 집, 3개짜리 집, 4개짜리 집 등으로 집의 크기를 짐작하는 것이다. (…) 방의 개수는 집주인의 권력관계나 사회적 지위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부양가족의 숫자로 결정한다고 한다. ―258쪽

눈에 띄는 점은, 재개발하기 이전에 그 지역에 살던 사람들, 즉 철거민에게 아파트 입주 1순위 자격을 준다는 것이다. 여기 사람들은 ‘철거 맞았다’라는 표현을 쓰는데, 기존 집이 철거된 사람들은 새 아파트가 지어지면 그곳에 1순위로 입주하게 된다. 려명거리에 있는 아파트의 한 달 주택 사용료는 240원으로, 우리 돈으로 환산하면 2,700원 정도이다. 거의 무료라고 할 정도로 저렴한 비용이다. 고층 아파트여서인지 엘리베이터 관리자가 따로 있다. ―259쪽


평양과 서울의 시간은 함께 흐른다

2018년 4.27 판문점회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북과 남의 시간부터 먼저 통일하자”고 했고, 이에 따라 30분 차이가 나던 평양의 시간이 서울의 시간과 함께 흐르게 되었다. 이것이 가장 빨리, 손쉽게 할 수 있는 정치적 통일이라면 문화적 통일, 물리적 통일은 훨씬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다.
저자는 이를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남북이 서로에 대해 아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가 1988년 <한겨레신문> 기자로 판문점을 출입할 때부터 평양 상주 특파원을 꿈꾸었던 것도, 2017년 북미관계가 악화일로를 걷던 당시 방북 취재를 결심하고 추진했던 것도 바로 그 이유 때문이다. 그리고 이 책에서 소개하는 내용들은 그 의도를 충실하게 따른 것이다.

내가 방북 취재를 할 당시는 북한을 둘러싼 국제정세가 화산보다 뜨겁게 끓는 상태였다. 폭발을 목전에 두고 연기를 내뿜는 화산처럼 변해가는 한반도에서 기자인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북쪽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고, 보여주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44쪽

어린 시절에 받은 반공 교육이 어찌나 철저했던지, 기자인 내가 북한 기자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중에도 무심코 내 생각과 말을 스스로 검열하곤 했다. 이 사실이 큰 충격이었고, 이때부터 나는 평양 상주 특파원이 되겠다는 꿈을 갖기 시작했다. 누군가에 의해 한정된 정보 혹은 왜곡된 정보만 주입받아온 결과가 무섭고 끔찍하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내가 먼저 그것을 깨뜨리고, 많은 사람들이 북녘을 있는 그대로 보고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를 알려주어야 한다는 사명감을 갖게 되었다. ―46쪽

사람 사는 모습은 어디나 같다

저자는 이번 방북 취재 기간 동안 평양 시민들 사이에 섞여서 자유롭게 대화를 주고받으며 취재했고, 촬영한 사진과 영상은 어떠한 검열도 받지 않았다고 한다. 모란봉 공원에서 만난 시민들과 유쾌한 농담을 주고받은 에피소드, 자신들의 사진을 삭제해달라고 요구하는 당돌한 여학생들에게 곤혹을 치른 일화 등은 서로 말이 통하는 사이이기에 가능했던 것들이다.
저자는 남과 북의 사람 사는 모습은 다르지 않다고 여러 차례 강조한다. 실제로 남과 북은 수천 년간 같은 역사와 문화를 공유하고 같은 말과 글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아닌가? 70여 년간 멀어지기만 했던 거리를 좁히기 위해서는 누구라도 먼저 이렇게 마음을 열고 다가가야 하지 않겠는가? 이 책이 우리의 닫혔던 마음을 열고, 열었던 심장을 녹이는 역할을 하리라 기대한다.

그동안 세상에 공개된 북녘에 관한 책과 사진은 대개 외국 기자가 취재한 것이다. 그들은 말이 통하지 않기에 어쩔 수 없이 ‘관찰자’의 입장에서 접근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나는 그런 한계를 깨고 싶었다. 사람들 사이에 섞여서 그들의 겉모습뿐만 아니라 감정과 생각까지 담아내고 싶다는 생각으로 취재에 임했다. 서로 말이 통하는 만큼 자유롭게 대화를 나누며 사진을 찍고 동영상도 촬영했다. 눈인사와 농담을 주고받고, 때로는 어깨를 부딪치기도 하며 그들 속에서 함께했고, 그 모습을 이 책에 담아냈다. ―8쪽
목차

프롤로그

1부 소슬한 풍경_가을 들녘에서 평양역까지
세 번째 길
열차엔 ‘a safe journey’라는 영문 인사말이
지평선이 보이는 평야에는 벼가 무르익어가고
평양역으로
“기필코 방북을 원합니다!”
평양 상주 특파원의 꿈은 1988년부터
・카메라 시선 ― 평양의 봄 : 개선문 앞 칠성문거리
・카메라 시선 ― 평양은 ‘열공’ 중 : 인민대학습당

2부 사람 사는 모습은 어디나 같다_평양역에서 대동강으로
평양역에서 대동강으로
대동강 산책
을밀대에 서면
모란봉공원의 황진이
・카메라 시선 ― 평양의 아침 : 대동강 주변 출근길 풍경

3부 내 얼굴 찍지 마세요!_아이들은 어디에서나 똑같다
아이들은 어디에서나 똑같다
“우리 찍은 사진, 모두 삭제해주세요!”
우리와 다른 교육 시스템
・카메라 시선 ― 평양의 학생들 : 소학교부터 초급․고급중학교까지

4부 평양은 통화 중_택시와 휴대폰은 어떻게 진화하는가
“평양에서도 이메일이 되나요?”
평양의 교통수단
택시는 일반 시민이 이용하는 것
평양 시민들 사이에 섞여서 취재할 수 있었던 이유
・카메라 시선 ― 상업 간판의 등장 : 평양의 광고와 간판

5부 입맛과 먹방의 세계는 남북이 따로 없다_냉면에서 피자까지
평양냉면의 비밀을 찾아서
선주후면(先酒後麵)의 옥류관 냉면
일일(一日) 일만기(一萬器) 옥류관 주방 최초 공개
청류관, 평양 4대 음식을 요리한다
대동강맥주, 황금색의 비밀을 풀다
이딸리아료리전문식당부터 별무리차집까지
재료 본연의 맛을 찾다
잔치상과 잔치음식
・카메라 시선 ― 평양의 상징 : 대형 조형물들

6부 여기 더 좋은 물건 있어요_백화점과 스타일
“요즘 재미 좋나?”
하이힐과 스커트
・카메라 시선 ― 언제나 은총을 내리시는 하느님 아버지…… : 봉수교회

7부 철거민에게 입주 1순위 자격을―려명거리 73층 아파트의 삶
초고층 아파트 시대를 열다
려명거리 고층 아파트의 살림집에 들어가다
“항상 조심하라”
・카메라 시선 ― 더 나은 여가를 찾아서 : 볼링부터 스케이트까지

8부 역사의 순간, 변화의 중심에 선 젊은이들_미래를 꿈꾸고 계획할 수 있는 사회
평화가 소중하다
・카메라 시선 ― 인민을 위하여 복무함 !: 정치구호와 선전문구

에필로그
부록 ― 남북 간 주요 합의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