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연구원발간물

연구원발간물

단행본

북한 핵위기와 북·미 관계

대등서명
North Korea - US relations under Kim Jong Il
발행사항
서울 :,연경문화사,,2016
형태사항
286 p. ; 23 cm
ISBN
9788982981821
청구기호
349.9 P226n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54-286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6803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680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이 책은 국가안보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를 자랑하는 영국 King's College London의 교수인 라몬 파르도(Ramon pacheco pardor)가 2014년에 발간한 책이다. 저자는 학습이론과 방대한 1차 자료에 입각하여 학문적인 차원에서 북한 핵문제를 고찰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클린턴이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한 이후부터 김정일이 사망한 순간까지 북한의 대미 외교정책을 분석하고 있다. 클린턴이 취임한 직후 북한의 첫 번째 핵위기가 시작되었다. 2차 핵위기는 조지 W. 부시(George W. Bush) 대통령 시기에 발생했다. 반면에 오바마는 대통령 임기 시작 시점부터 사실상 핵무기 보유 국가인 북한을 상대해야 했던 최초의 미국 대통령이다.
이 기간 동안 중국은 지구상에서 두 번째로 강한 경제대국으로 부상했으며 동아시아 지역 정치에서 중심적인 행위자로 급부상했다. 이와 동시에 일본, 러시아, 대한민국 모두 동북아 국제관계에 보다 적극적으로 관여했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미국의 세 차례에 걸친 행정부 기간 동안 동북아에서 힘의 역학이 변화하고 있던 시기에 북한의 대미정책이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검토해 볼 것이며, 1990년대 초반 이후 북한 대미정책의 주요 동인들을 조명할 것이다. 더불어 정책 측면에서의 주요 연속성과 변화를 설명할 것이며, 자국의 목표 달성을 위해 북한 지도부가 사용하고자 노력했던 수단들을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북한의 대미행태가 어떻게 그리고 왜 변했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이러한 북한의 변화는 미국의 정책변화, 동북아시아 주변 국가들의 정책변화, 국제체제의 역동성에 근거하고 있다.
목차

역자 서문

제1장 서문
1. 약소국이 강대국과 협상하기
2. 국제관계에서의 학습
3. 북한 사례
4. 방법론과 책의 구성

제2장 북한과 클린턴 행정부
1. 냉전 당시의 북한과 미국
2. 클린턴 행정부 출범과 1차 북한 핵위기(1993. 1~1994. 10)
3. 북·미제네바합의 시점부터 클린턴 행정부 말기까지(1994. 10~2001. 1)

제3장 1차 핵실험 이전의 북한과 부시 행정부
1. 북한과 부시 행정부 초기(2001. 1~2002. 9)
2. 2차 북한 핵위기 시작(2002. 10~2003. 3)
3. 6자 회담의 시작(2003. 4~2005. 9)

제4장 1차 핵실험 이후의 북한과 부시 행정부
1. 2005년 9.19 공동성명 발표부터 1차 핵실험까지(2005. 10~2006. 10)
2. 6자 회담 9.19 공동성명 이행협정 추구(2006. 10~2007. 2)
3. 2.13 합의 시점부터 북한의 테러지원국 명단 삭제 시점까지(2007. 3~2009. 1)

제5장 핵 보유 북한과 오바마 행정부
1. 오바마 행정부 초기와 2차 북한 핵실험(2009. 1~2009. 5)
2. 2차 핵실험 시점부터 연평도 포격 시점까지(2009. 5~2010. 11)
3. 연평도 포격사건 이후부터 김정일 사망 시점까지(2010. 12~2011. 12)

제6장 결론
1. 북·미 협상 : 외교관계 정상화를 위한 학습 과정
2. 김정은 시대의 북한 : 북·미 외교관계 정상화를 추구할까?

Bibliogra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