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연구원발간물

연구원발간물

연구원발간물KINU 연구총서 2018-22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국가기구와 국가성

발행사항
서울 : 통일연구원, 2018
형태사항
304 p. ; 23 cm
총서사항
KINU 연구총서
ISBN
9788984799417
청구기호
000 연구18-22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G0017052대출가능-
지금 이용 불가 (1)
1자료실G0017053대출중2025.03.19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001705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지금 이용 불가 (1)
  • 등록번호
    G001705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중
    2025.03.19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이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김정은 시대 북한 국가기구 내 기관 및 부처별 기능과 구조 분석이다. 특히 기존에 다루어지지 않았던 내각 소속 모든 기관들을 다룬다. 또 다른 하나는, 기관별 기능과 구조 분석을 통한 김정은 시대 국가체계 모형화 및 국가성(stateness) 평가이다. 이 연구에서 국가성 진단의 3대 질적 분석요소는 국민동의(citizenship agreement)의 실현, 행정효율성(administrative effectiveness) 달성, 폭력에 대한 독점(monopoly on violence) 수준이다. Ⅱ장은 김정은 시대 국가기구의 위상과 역할이다. 1. 국가기구 성격과 운영원리: 당 지도 下 집행 및 집중제와 인민민주주의독재, 2. 주권기관: 당을 대리하는 국무위원회 지도 下 국민동의 수렴, 3. 국무위원회 및 행정기관: 국가주권 최고정책지도 및 경제행정 책임, 4. 사법, 공안, 군정 기관: 폭력독점으로 공권력 집행 기관으로 구성된다. Ⅲ장은 내각의 체계와 특징이다. 1. 국가 경제행정 관리 체계와 흐름, 2. 김정은 집권 후 경제행정 노선변화 흐름, 3. 내각의 편제 및 경제기구 부처별 기능, 4. 내각 지휘부의 역할과 조직문화로 구성된다. Ⅳ장은 내각 경제기구의 기능과 구조이다. 1. 기능단위 경제부처: 경제행정지도 6개 기관, 2. 광공업 부문 13개 경제부처, 3. 식의주 부문 7개 경제부처, 4. 유통‧운송 부문 4개 부처로 구성된다. Ⅴ장은 내각 비경제기구의 기능과 구조이다. 1. 내각 비경제기구의 분류 및 기능, 2. 과학기술: 국가과학기술위원회와 국가과학원, 3. 교육: 국가교육위원회 및 보통‧고등 교육성, 4. 인민‧국토 관리: 노동, 보건, 체육, 체신, 국토환경보호 부처, 5. 문화예술: 문화성, 6. 대남 ․ 대외: 조평통과 외무성으로 구성된다. Ⅵ장은 김정은 시대 국가체계 및 국가성 평가이다. 1. 김정은 시대국가과제: 2020년 목표 6대 과제 진단, 2. 국가기구 체계: 국무위원회지도 下 중앙집권과 상호견제, 3. 국가성 개념과 평가틀, 4. 국민동의 및 폭력독점 평가, 5. 행정효율성 평가, 6. 총평: 김정일 시대와의 비교로 구성된다. 결론에서는 본문의 요약정리와 함께 향후과제 등을 제시한다. 활용방안과 기여 측면에서, 이 연구는 김정은 시대 북한 국가기구의 체계 및 조직과 기능을 분석한 기초연구로 북한 ․ 통일 연구 및 정책 마련에 학술적 ․ 정책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또한 통일 전후 남북교류 및 체제통합 관련 각종 연구와 사업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의 각 정부부처에서 남북교류협력 로드맵을 짜는 과정에서, 해당 부처들의 카운트파트너에 대한 가이드북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향후 남북교류협력 사업의 활성화를 대비하는 기초연구로 기능할 것이다.
목차
요 약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2. 연구 방법과 범위 Ⅱ. 김정은 시대 국가기구의 위상과 역할 1. 국가기구 성격과 운영원리: 당 지도 下 집행 및 집중제와 인민민주주의독재 2. 주권기관: 당을 대리하는 국무위원회 지도 下 국민동의 수렴 3. 국무위원회 및 행정기관: 국가주권 최고정책지도 및 경제행정 책임 4. 사법, 공안, 군정 기관: 폭력독점으로 공권력 집행 기관 Ⅲ. 내각의 체계와 특징 1. 국가 경제행정 관리체계와 흐름 2. 김정은 집권 후 경제행정 노선변화 흐름 3. 내각의 편제 및 경제부처별 분류와 기능 4. 내각 지휘부의 역할과 조직문화 Ⅳ. 내각 경제기구의 기능과 구조 1. 기능단위 경제부처: 경제행정지도 6개 기관 2. 광공업 부문 13개 경제부처 3. 식의주 부문 7개 경제부처 4. 유통‧운송 부문 4개 부처 Ⅴ. 내각 비경제기구의 기능과 구조 1. 내각 비경제기구의 분류 및 기능 2. 과학기술: 국가과학기술위원회와 국가과학원 3. 교육: 국가교육위원회 및 보통 ‧ 고등 교육성 4. 인민 ‧ 국토 관리: 노동, 보건, 체육, 체신, 국토환경보호 부처 5. 문화예술: 문화성 6. 대남 ․ 대외: 조평통과 외무성 Ⅵ. 김정은 시대 국가체계 및 국가성 평가 1. 김정은 시대 국가과제: 2020년 목표 6대 과제 진단 2. 국가기구 체계: 국무위원회 지도 下 중앙집권과 상호견제 3. 국가성 개념과 평가틀 4. 국민동의 및 폭력독점 평가 5. 행정효율성 평가 6. 총평: 김정일 시대와의 비교 Ⅶ. 결론: 요약정리 및 향후과제 참고문헌
미리보기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국가기구와 국가성PDF

첨부
번호제목유형
1김정은 시대 북한의 국가기구와 국가성PDF6.7 MB
  • 1김정은 시대 북한의 국가기구와 국가성PDF6.7 MB
저자 소개
저자 박영자
2004년 성균관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고, 숙명여자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북한 체제를 연구했습니다. 현재 국책 연구 기관 통일 연구원 연구 위원, 통일부?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등의 자문 위원으로 활동 중입니다. 쓴 책으로는 《북한 녀자 2017》, 《북한 주민의 임파워먼트 2015》 등이 있습니다.
작가의 다른 작품

알라딘에서 제공한 저자 정보입니다.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