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연구원발간물

연구원발간물

단행본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시리즈 5

(글로컬 시대의) 한국영화와 도시공간. 1

발행사항
서울 : 박이정, 2018
형태사항
181 p. : 삽화
ISBN
9791158483890
청구기호
688.0911 현222ㅎ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6984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698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공간은 오랫동안 주관적 지각이나 공간 자체의 성질에 의해 이해되거나 혹은 단순히 거리나 면적으로 측정 가능한 것으로만 여겨져 왔다. 그러나 20세기 후기자본주의가 공간의 확장과 재개발을 통해 자본의 축적을 꾀하자 공간이 지닌 의미나 가치의 중요성에 변화가 생겼고, 그와 함께 공간에 대한 일대 사유의 전환 역시 이루어졌다. 단순히 지리적.물리적으로 이해되어왔던 공간이 앙리 르페브르(Henri Lefebvre) 등과 같은 학자에 의해 사회적 관계의 생산물로 그 개념이 확장되면서, 몸을 지탱시키거나 감싸고 있는 것으로만 여겨졌던 공간은 이제 인간의 모든 활동들을 담아내는 사회화된 공간, 서로 다양하고 중층적이며 상호침투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공간으로 이해되었다. 더욱이 정치적.경제적 생산과 재생산에 끊임없이 이용되면서 공간들은 다양한 권력관계들이 생산.강화되는 관계적인 것의 총체로 파악되었다. 이렇듯 총체적인 관계성에 중심을 둔 공간개념은 그간 형태.기능.구조만으로는 파악이 어려웠던 사회적 관계를 총체적이며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현대영화연구소의 집필자들은 이러한 공간의 사회적 의미에 주목하고 ‘공간’이라는 관점으로 한국영화를 조명해 나갔다. 지금까지 한국영화는 대부분 시간성에 기대어 연대기적으로 서술되어 왔고 설사 공간과 관련된 연구라 할지라도 대부분 개별 영화작품이나 짧은 시기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오랫동안 변화를 거듭하며 발전해온 한국영화를 총체적이며 중층적으로 파악하는 데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이에 집필자들은 한국영화와 공간, 특히 도시공간의 관계 및 변화 양상을 새로운 영화세대가 등장한 1980년대부터 천만관객 영화를 달성한 2000년대까지 약 30여 년에 걸쳐 각각 10년 단위로 분석해 나갔다. 쿠데타를 통한 신군부의 정권탈취와 이에 저항하는 민주화운동이 일어났던 1980~1987년, 그 이후부터 IMF 외환위기를 맞이한 1987~1997년 그리고 IMF 이후부터 금융위기 직전인 1997~2007년으로 나누어 각 시기 별로 정치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 공간의 변화와 그에 따른 체제, 제도, 일상, 대중적 집단의식과 가치 등의 변화가 도시공간에 어떤 균열을 가했는지 그리고 도시공간을 어떻게 재편 또는 봉합 해왔는지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공간에 내부화 된 지배, 배제, 억압, 연대, 저항, 갈등과 같은 힘의 긴장 관계가 한국영화의 재현의 공간, 생산의 공간, 관람의 공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공간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통해 한국영화의 총체적이고 중층적인 서술을 꾀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총 3권으로 구성될 시리즈 중 1권인 이 책은 공간의 전형적인 속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시기인 1980년부터 1987년까지를 대상으로 당시 균열과 불균형으로 얼룩진 영화공간과 도시공간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1권에 이어 2권, 『글로컬 시대의 한국영화와 도시공간 II(1987~1997)』과 3권, 『글로컬 시대의 한국영화와 도시공간 III(1997~2007)』도 곧 출간될 예정이다.
목차

1980년대 한국영화에서의 생산의 공간(1980~1987)_정태수
1. 가려진 비극, 축제의 열풍
2. 공간의 생산과 균열
3. 균열된 공간의 생산과 한국영화

1980년대 초중반 한국영화의 도시 공간 분석_한영현
1. 1980년대 통치 패러다임과 한국영화의 변화
2. 도시=권력의 상징 이미지들
3. 신화적 도시 공간의 내파(內破), 하위 주체들의 삶
4. ‘성’과 ‘자본’으로 채워진 도시 공간
5. 도시의 공간적 사유와 1980년대 한국영화의 위상

1980년대 이장호 감독의 영화에 재현된 터전의 상실과 혼성적 공간_장우진
1. 1980년대의 터전에 대한 위기감
2. 터전의 상실과 주체의 위기감
3. 영화에 재현된 혼성적 공간
4. 상실의 주체가 보여주는 생존력

해외 로케이션 영화의 글로컬 알레고리, 1980∼1987_정찬철
1. 해외 로케이션 영화의 기획과 제작, 1980∼1987
2. ‘올현지로케’ 영화의 글로컬 알레고리
3. 혼혈아 로미오의 정신분열: [상한 갈대]
4. 젊은 디아스포라 주체의 죽음: [깊고 푸른 밤]
5. 민족적 정체성으로의 귀환: [몽마르트 언덕의 상투]

1980~1987, 한국 독립영화의 생산과 재현 공간_정민아
1. 1980-1987년 정치적, 사회적 균열의 공간
2. 1980-1987 한국영화 정책의 특징
3. 독립영화 제작과 대안 상영 공간
4. 독립영화의 재현 공간

1980년대 초반, 소극장 등장과 그 배경_한상언
1. 영화에서 텔레비전으로
2. 공연법 개정과 소극장의 족출
3. 지역별 소극장의 특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