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연구원발간물

연구원발간물

단행본

음모론의 시대

개인저자
전상진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문학과지성사, 2015
형태사항
246 p. ; 20 cm
ISBN
9788932026732
청구기호
331.1 전51ㅇ
일반주기
색인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9175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917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음모론은 그 사회의 문제를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KAL기 폭파 사건부터 천안함 침몰, 디도스 공격, 서울시 공무원 간첩 조작 사건, 세월호 참사에 이르기까지, 언제부턴가 커다란 사건 · 사고가 일어나면 그 이면에 음모가 도사리고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는 것이 너무나도 흔한 일이 되었다. 심지어는 특정 시기에 어느 인기 연예인의 스캔들이 터진 이유가 첨예한 정치적 이슈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돌리기 위한 것이었다는 음모론까지 존재한다. 어느 사이 음모론은 세계를 해석하는 주요한 설명 틀 가운데 하나로 당당하게 자리 잡은 것으로 보인다.
흔히들 책임 당국이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거나, 공론장이 제대로 된 비판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때 음모론에 의지하는 사람들이 증가한다고 말한다. 그런 면에서 보자면 지금 이렇게 수없이 많은 음모론이 떠돌고 음모론자라는 낙인이 횡행하는 것은 우리 사회가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사회학자 전상진 교수의 첫 책인 『음모론의 시대』는 우리 사회가 왜 음모론으로 들끓게 되었으며, 음모론은 어떤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지, 각각의 정치 세력은 어떤 식으로 음모론을 활용하는지에 대해 흥미진진한 해석을 펼쳐나간다. 또한 어떻게 하면 음모론이 단순한 음모‘놀이’나 손쉬운 책임전가 수단에 머물지 않고, 유의미한 비판이론으로서 기능할 수 있을지 고민해본다(문학과지성사 刊).


‘세속적 신정론’으로서의 음모론

오랫동안 지식인들은 음모론에 빠져든 사람들을 박해 망상과 자기 맹신에 휩싸인 ‘광신자’ 혹은 ‘편집증자’라고 치부해왔다. 그런데 최근 음모론의 영향력이 전 사회 영역으로 확대되고(‘음모론의 주류화’), 터무니없는 것으로 간주되던 몇몇 음모들이 사실이었음이 드러나면서 음모론을 더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해보아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저자는 음모론이 막스 베버가 말한 ‘신정론神正論’(고통, 악, 죽음과 같은 현상을 신의 존재에 의거하여 정당화하려는 믿음 체계)과 동일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한다고 주장한다. 모든 사회에는 기대와 현실 간의 ‘간극’에서 비롯되는 다양한 고통을 설명하기 위한 문화적 장치가 존재하는데, 오랫동안 그 기능을 신정론이 담당해왔다. 우리가 겪는 고통에 나름의 ‘의미’를 부여해줌으로써 고통의 무게를 덜어준다는 것이다. 그런데 근대 사회가 도래하면서 신정론은 어려움에 봉착했다. 종교가 현세적 세계질서의 불공정성을 더는 설명해주지 못하자 사람들은 교회를 떠나기 시작했다. 대신 그들이 찾은 ‘새로운 신정론’은 바로 “현세 내에서의 혁명적 보상”을 약속하는 정치 이데올로기였다. 그리고 그 정치 이데올로기마저 영향력을 상실한 지금,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된 것이 ‘음모론’이다. ‘세속적 신정론’으로서의 음모론은, 세상의 불합리한 문제들과 ‘고통’에 대해 그럴듯한 이유와 책임자를 밝혀줌으로써, 즉 세계를 명료하게 그려줌으로써 우리를 유혹한다.


음모론, 약자의 무기인가 지배의 망치인가

음모론은 흔히 생각하듯 약자들을 위한 것만이 아니다. 음모론은 권력을 지닌 자들에게도 매력적인 정치 전략이 될 수 있다. 지지자 동원에 효과적이고 정적 공격에 유용하며 자신에 대한 비판을 무력화하는 데 용이하기 때문에 특정 정파나 지위와 관계없이 현대 정치의 중요한 전략이자 자원이 된다(집권 세력이 자신들을 반대하는 ‘음모’가 있다고 공식 석상에서 발언하는 것을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음모론은 ‘민주적’이라 할 수 있다. 음모론은 (권력 비판을 위한) 약자의 무기가 될 수도, (권력 유지를 위한) 강자의 망치가 될 수도 있다.
이 책은 음모론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들(리처드 호프스태터의 ‘질병-음모론,’ 찰스 피그던의 ‘정상-음모론,’ 데이비드 코디의 ‘충돌 음모론,’ 칼-하인츠 힐만의 ‘권위적 주장’)과 음모론자의 여러 유형(신념윤리가적 음모론자, 기회주의적 음모론자), 그리고 각각의 세력들이 음모론을 정치 전략으로서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다양한 사례와 함께 보여준다. 또한 음모론을 다루는 학술서들뿐 아니라 움베르트 에코, 돈 드릴로, 임성순의 소설 등을 폭넓게 인용하며 흥미로운 사유를 펼쳐나간다.

음모론은 포위된 시민들의 최후의 도피처일 뿐인가?
비판이론으로서 음모론의 잠재력을 생각한다.


“물론 음모론으로 가고 싶진 않아요. 그러나 투명한 게 없어서 의혹을 제기할 수밖에 없어요.”(박래군 세월호참사국민대책회의 운영위원장)

저자는 사회학자 게오르크 짐멜의 ‘관찰자’와 ‘재판관’이라는 개념 틀을 빌려 스스로의 역할을 특정 음모의 진위 여부를 밝히는 ‘재판관’이 아니라, 다양한 음모론과 그 사회적 의미를 거리를 두고 분석하는 ‘관찰자’임을 분명히 한다.
저자는 음모론의 위험성을 경고한다. 음모론에 빠진 사람들은 너무나도 쉽게 책임을 전가하고 자신의 신념에 부합하지 않는 결과를 부정해버린다. 음모의 세상에는 두 진영만이 존재한다. 적과 아군, 나쁜 놈과 좋은 놈. 그러한 적과 대화나 타협이 가능할 리 없다. 적에게 민주주의적 관용을 적용할 까닭이 없다. 그렇게 민주주의의 근본이 파괴되니 제대로 된 감시와 비판이 이루어질 수 없다. 그러다 보니 정당한 비판까지도 아주 쉽게 음모론으로 낙인찍힌다. 사회의 자기비판과 자기갱신의 능력이 소진된다.
음모론이 권력에 대항할 수 있는 한계는 명확해 보인다. 그러나 저자는 권력자들이 책임을 회피하고 공론장이 비판의 기능을 상실한 오늘날의 상황을 생각할 때 음모론이 비판이론으로서 갖는 잠재력을 무시하는 것은 경솔하다고 말한다. 음모론은 ‘전복적인 힘’은 없을지라도, ‘최소한’ 사회에 질문하기를 멈추지 않는다는 것이다. 저자는 오늘날 음모론의 시대에 넘쳐나는 질문들이 ‘박제화된 비판’에 머무르지 않기 위해서는 (막스 베버가 말한) ‘책임윤리가’의 자세, 책임감과 균형 감각을 회복하려는 노력이 더해져야 한다고 말한다.
목차

서문 5

1장 음모론의 시대 19

모든 고통에는 이유가 있다 19
우리는 왜 음모론을 믿는가? 23
음모론, 편집증적 세계의 관찰법 26
음모론의 정치적 매력 30

2장 음모론이란 무엇인가 33

음모론이란 무엇인가 33
음모론자와 음모론 연구자는 다르다! 35
음모론의 정의 39
음모론에 대한 다양한 설명들 44

3장 음모론자의 동기: 신념이냐 기회주의냐

신념윤리와 음모론 58
음모론자의 유형 67
기회주의적 음모론자 70

4장 착한 사람에게 왜 불행이 닥칠까? 77

고통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77
의미에 대한 욕구 81
음모론, 간극의 상상적 해결책 85

5장 정치적 수단으로서의 음모론 104

신정론의 정치성: 배제와 사회적 폐쇄의 정치 104
행복의 신정론과 고통의 신정론 107
통치의 음모론과 저항의 음모론 113
편집증은 무력한 자의 전유물인가? 124
통치 음모론과 저항 음모론의 차이 134

6장 기득권자를 위한 아웃사이더의 반란 141

통치를 위한 저항 음모론의 활용 141
음모론의 형식 145

7장 정치 전략으로서의 음모론 159

음모론의 세 가지 정치 전략 159
비판 면역 전략 160
희생자 되기와 악마 만들기 165
르상티망과 원흉의 인격화 179

8장 음모론적 정치 스타일의 비용 189

악마적 관점 189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국가범죄 195
책임의 위기 200

9장 올바른 질문에 대한 잘못된 답변 212

어떻게 음모론을 믿지 않을 수 있겠는가? 212
음모론의 잠재력과 한계 215
음모론의 치유책 218
음모의 시대를 살아가는 방편 222

찾아보기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