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특수자료

특수자료

단행본

(한국 외교) 어제와 오늘

개인저자
김창훈 지음
발행사항
파주 : 한국학술정보, 2008
형태사항
514 p.; 24 cm
ISBN
9788953407381
청구기호
349.11 김816ㅇ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1042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104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이 책은 정권별로 주요 문제와 사건을 알기 쉽게 종합적으로 정리했다. 따라서 이 책을 통해 외교 관계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물론이고, 정치가나 공무원, 그리고 학생이나 일반 국민들도 한국 외교가 건국 이후 지금까지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를 쉽게 이해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또 내일의 우리 외교의 방향과 대(對)북한 정책을 논의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역사가들은 흔히 “과거는 현재의 어머니이고, 미래는 오늘의 아들이다”라고 말한다. 이 책이 건국 후 지금까지 한국 외교의 발전 과정을 바르게 이해하고, 나아가 내일의 외교 방향을 설정하는 데 하나의 중요한 길잡이가 될 수 있을 것이다.그리고 이 책에서 다룬 외교의 성공 사례는 앞으로 우리 외교의 발전을 위한 좋은 선례가 되고, 실패한 사례의 분석은 같은 종류의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한 산 교훈이 되었으면 하는 목적에서 이 책은 기획되었다.
목차

책을 내면서

제1장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역사적 배경
1. 광복운동 19
2. 한국 독립에 관한 국제적 약정 22
3. 국토의 분단 27
4. 모스크바 협정 33
5. 미.소 공동위원회 35
6. 한국 문제의 유엔 이관 40
7.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출현 44

제2장이승만 정부의 외교 (1948~1960)
1. 정부 승인 획득 외교 51
2. 안보 외교의 시작 54
3. 한국전쟁 59
4. 정전협정 66
5. 제네바 정치회담 73
6. 이승만 정부의 통일 정책 76
7. 한.일 회담의 시작과 평화선 선포 80

제3장허정 과도정부와 장면 내각의 외교 (1960~1961)
1. 대미(對美) 안보와 유엔 외교의 강화 88
2. 대일(對日) 외교의 강화 91

제4장박정희 정부의 외교 (1961~1979)
1. 정통성 확보 외교 98
2. 한.일 국교정상화 100
3. 한국군의 월남 파병 104
4. 동(東)베를린 북한 공작단 사건 113
5. 닉슨 독트린(Nixon Doctrine) 116
6. ‘7.4 남북공동성명’ 120
7. ‘6.23 선언’과 평화통일 3대 원칙 124
8. 대(對)공산권 외교의 시작 128
9. 아프리카 세력의 등장과 외교의 다변화 131
10. 김대중 납치 사건 134
11. ‘리마’ 비동맹 전체외상회의 138
12. 판문점 도끼 만행과 마약밀수 사건 142
13. 유엔총회에서의 한국문제 토의 지양 148
14. 박동선 사건 152
15. 경제 발전과 국위 선양 156

제5장전두환 정부의 외교 (1980~1988)
1. 미국과의 우호관계 증진 166
2. 문세광 사건과 한?일 관계 개선 169
3. 공산권 진출 174
4. 대(對)비동맹국 외교의 강화 177
5. 전두환 정부의 통일 정책 180
6. KAL기 격추 사건 182
7. ‘아웅산 묘소’ 폭파 사건 186

제6장노태우 정부의 외교 (1988~1993)
1. 북방외교 196
2. ‘7.7 선언’ 200
3. KAL기 폭파 사건?서울올림픽?평양 축전 203
4. 미국의 통상 압력 211
5. 남북대화의 재개 216
6. 한.러시아 관계 발전 220
7. 한반도 비핵화선언 225
8. 남.북한의 유엔 동시 가입 228
9. 대(對)아.태지역 외교 강화와 APEC 235
10. 중국과의 국교 수립 240

제7장김영삼 정부의 외교 (1993~1998)
1. 북한의 핵 문제 252
2. 경부고속전철의 차종 결정 260
3. 김일성 사망 이후의 남?북 관계 267
4.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참여 271
5. ‘우루과이 라운드(UR)’ 타결과 세계무역기구 출범 273
6.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피선 279
7. 국민소득 1만 달러 시대 283
8. 한?미 행정협정(SOFA)의 개정 문제 286
9. 새 재외동포 정책 290
10.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295
11. ‘월드컵(World Cup) 축구대회’의 한?일 공동 유치 303
12.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308
13. 한반도 4자회담 313
14. 황장엽 북한 노동당 비서의 망명 316
15. 환경 외교 320
16. 김영삼 정부의 통일 정책 324
17.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요청 328

제8장김대중 정부의 외교 (1998~2003)
1. 통화 위기의 극복 337
2. 김대중 정부의 대북 정책 342
3. 평화체제 구축 노력 349
4. 주변 4대 강국과의 외교 강화 352
5. 소 떼 북송과 금강산 관광 364
6. 북한 미사일 실험발사 유예와 ‘페리 보고서’ 369
7. 남북정상회담과 6?15 공동선언 373
8. 김대중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 380
9. 제3차 아시아?유럽 정상회의 385
10. 한.미 정상회담 389
11.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 서명 395
12. 남.북한 철도와 도로 연결 401
13. 북한의 핵개발 문제 407

제9장노무현 정부의 외교 (2003~2008)
1. 국군의 이라크 파병 418
2. 2005 부산 APEC 회의 424
3. 반기문 장관의 유엔 사무총장 취임 428
4. 북한의 탄도미사일 실험발사와 핵 실험 433
5. 제19차 남북장관급회담 441
6. 아시아 횡단철도망 건설을 위한 정부간 협정 445
7.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현황과 한?미 FTA 타결 452
8. 전시(戰時)작전통제권 전환 문제 458
9. 한.중 수교 15주년 465
10. 2007년 남북정상회담 470
11. 지구 온난화와 환경 외교 477
12. 북한의 인권 문제 484
13. 베이징(北京) 6자회담 490

제10장외교통상부의 조직
1. 외교통상부 발전 연혁과 기구 503
2. 외교관계 수립과 재외공관 현황 504
3. 정원 및 예산 505

맺음말
부록: Ⅰ. 참고문헌/511Ⅱ. 외교통상부 조직표/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