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특수자료

특수자료

단행본

다문화 사회, 한국

발행사항
파주:,나남,,2009
형태사항
393p.; 23cm
ISBN
9788930083874
청구기호
331.5 김68ㄷ
서지주기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1622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162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단일민족국가의 허상 속에 가려진 외국인들의 삶을 조명하다

얼마 전 한국계 혼혈인 미식축구 선수 하인즈워드가 슈퍼볼 대회에서 MVP에 차지하며 미국 미식축구계를 평정한 일이 있었다. 한국인 어머니와 주한미군이었던 흑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그의 특이한 출생배경은 미국에서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최근에는 케냐 출신 흑인 아버지와 백인 문화인류학자였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버락 오바마가 미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엄밀히 말하면 흑백혼혈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크게 이슈화되었다. 그런데 하인즈 워드와 버락 오바마의 이러한 성공은 개인적 차원의 인간 승리인 동시에 미국이라는 다문화사회의 승리라고 할 수 있다. “과연 한국에서였다면 하인즈워드와 버락 오바마가 성공할 수 있었을까?”하는 문제의식과 함께 그동안 그늘에 가려져 있던 혼혈인과 다문화가정에 대한 언론의 관심이 폭주하였다.
통계에 따르면 2007년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인구가 백만명을 돌파하였다고 한다. 특히 결혼을 통해 한국에 이주한 여성들을 통해 태어난 2세, 3세들은 하나의 가족 안에서 다인종, 다민족을 경험하게 된다.
이 책은 외국인 인구 백만 시대에 아직도 ‘단일민족국가’임을 자랑스러워하는 한국의 모순을 짚어내고, 다문화사회로 가기 위한 적절한 패러다임과 정책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외국인근로자,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가정 자녀 문제 등 현재 한국사회에서 첨예한 갈등을 빚어내고 있는 사회적 이슈들을 반영했다는 점에서 시의성을 갖는다.
이 책은 구체적으로 서울에 위치하는 외국인마을을 조사하고, 이들을 대하는 서울시민의 다문화 인식과 태도를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외국인들이 한국에서 살아가면서 겪는 어려움과 다양한 경험들과 그들의 요구를 분석하고 한국의 다문화 지원 현황을 조사한다. 특히, 결혼이주여성과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경험하고 있는 한국사회의 문제점과 아울러 제공되어야 할 사회적 서비스와 시급히 시정되어야 할 법과 제도에 대해서도 제언한다.

다양한 문화의 색이 공존하는 무지개빛 한국으로

이 책은 다출신국.다인종사회로 이행하고 있는 한국사회가 지향해야 할 패러다임으로 ‘다문화주의’를 제안하고 있다. ‘다문화주의’는 외국인과 이민자들을 보다 존중하면서 주류사회와 외국인(이민자)들 간의 보다 대등한 관계와 사회 전체의 소통과 교류에 초점을 두는 모형이다. 즉 다양한 인종이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수평적 공존을 이루는 무지개 연합의 사회로, 이 책에서 지향하는 궁극적인 목표라고 할 수 있다.
필자들의 소속도 사회복지학, 국제학, 한국학으로 다양한 이 책은 ‘다문화주의’를 다학문적 차원에서 의미 있는 화두를 제시하고 있다. 사회복지학의 관점에서는 우리 사회의 마이너리티라고 할 수 있는 외국인들을 위한 다양한 관심과 지원체계를 형성해야 할 것이고, 경제학의 관점에서는 외국인인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경제발전을 위한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사회학의 관점에서는 외국인들의 사회화 문제와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적절한 다문화모형을 탐구해야 할 것이고, 정치학과 법학의 관점에서는 외국인들을 위한 적절한 정책과 법안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언어학과 교육학의 관점에서는 외국인들을 위한 쉽고 재미있는 한국어교육 교재와 커리큘럼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즉, 이 책은 다문화주의에 대한 다양한 분야의 관심과 지원을 촉구하면서 다문화주의가 우리 사회에서 차지하는 의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세계화와 다문화
1. 세계화 시대의 자본과 인구의 이동 연구
2. 외국인집중거주지역 연구
3. 한국의 다문화사회 및 다출신국·다인종 사회 연구

제3장 다문화사회의 패러다임
1. 다문화사회 모형
2. 다문화사회의 단계별 접근

제4장 외국인과 더불어 살아가기
1. 한국인의 태도
2. 외국인마을
3. 외국인마을에서 한국인의 태도

제5장 한국인과 더불어 살아가기
1. 결혼이주여성
2. 다문화가정자녀

제6장 한국의 다문화 지원 체계
1. 법과 제도
2. 다문화 지원 현황

제7장 해외사례
1. 캐나다
2. 호주
3. 미국
4. 일본
5. 체코

제8장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