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특수자료

특수자료

단행본

근대를 다시 읽는다, 1

대등서명
한국 근대 인식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하여
발행사항
서울: 역사비평사, 2011
형태사항
590 p.: 삽도; 24cm
ISBN
9788976965233(1)
청구기호
911.06 윤93ㄱ
서지주기
찾아보기: p.586-590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4388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438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인식' 대 '재인식', 낡은 대립을 넘어서

<해방전후사의 인식> 제6권이 나온지 17년. 그 사이의 변화는 '인식'류의 민족주의나 민중주의 관점을 '낡은 것'으로 만들어버렸다. 이러한 고민 속에서 2006년 2월 출간된 <해방전후사의 재인식>역시 한국 학계와 사회를 냉전적인 진영 논리로 채색했을뿐, 새로운 시각과 전망을 심어주지는 못했다.

<근대를 다시 읽는다>는 이 같은 고민에서 출발한다. 현실의 변화를 따라잡기 못하는 역사학의 '서술'과 '지체'애 대해 다시 고민해보고, 개발지상주의와 국가주의로 요약되는 '근대주의'와 제국주의의 쌍생아로서의 '민족의의'의 낡은 진영 대립을 지양하는 새로운 역사를 쓰자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인식'과 '재인식'은 전혀 상반되는 역사인식을 보여주는 듯하지만, 양자 사이에는 공통점도 있고 차이점도 있다는 점에 문제의식을 두었다. 이를 1) 민족주의와 애국주의의 문제, 2) 근대와 탈근대의 문제, 3) 역사적 실증주의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뒤엉켜 있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별하여 정치적으로 윤색된 대립을 지양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1권에는 한국의 식민경험 및 국민형성과 관련한 논문을 모았고, 2권에는 문화 연구, 담론 비판, 하위주체 연구와 관련한 방법론적 문제의식이 두드러진 논문을 수록했다. 20세기 한국의 근대를 보는 새로운 시선을 '식민지 근대', '대일협력', '국민국가의 형성과 균열'이라는 세 가지 문제의식으로 나누어 보았다(1권). 그리고 '문화연구', '근대 담론 비판', '하위주체와 기억의 재현'이라는 방법적 시도를 행한 글들도 아울러 수록했다(2권).
목차
머리말 ㅡ 한국 근대 인식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하여 1. '인식' 대 '재인식' ㅡ 낡은 진영 대립을 넘어서 2. 차이와 반복 ㅡ 대립의 논리적 한계 3. 한국 근대에 대한 새로운 시선 4. 무엇을 하고자 하는가 ?? 낡은 근대, 젊은 비판 식민지 경험과 국민국가 형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 탈근대 역사학은 가능한가 5. 인문학의 근대를 넘어 1부 식민지 근대라는 문제의식 ㅡ 모든 근대는 식민지 근대이다 1부를 묶으며 / 윤해동 식민지인식의 ‘회색지대’ / 윤해동 29 1. 문제제기 ㅡ 왜 회색지대인가 29 2. 저항과 협력의 변증법 ㅡ 식민지적 공공성의 의미 32 3. 근대화와 규율권력 43 4. 결론에 대신하여 한국 의례담론의 형성 / 장석만 55 1. 문제제기 ㅡ 우리에게 의례란 무엇인가 55 2. 유교 허례허식 비판 58 진보적이지 못한 보수성 60 자연스런 감정을 억압하는 것 61 내면의 진정성에 어긋나는 허위와 가식 63 그 밖의 이유 ㅡ 비경제성과 사대주의 65 3. 개신교의 반反의례성 담론 67 4. 문명적 의례의 필요성 70 5. 결론 73 조회의 내력 / 오성철 77 1. 서론 77 2. 일본 근대교육과 조회 82 조회의 탄생 82 국가적 행사에 관한 의식 88 파시즘의 전개와 학교 규율 90 3. 식민지 조선 교육과 조회 95 조회의 도입 95 황국신민화 정책과 학교 규율 104 4. 일본 교육과 식민지 조선 교육의 연속성 108 5. 결론을 대신하여 113 식민지의 우울 / 이타가키 류타 117 1. 들어가는 말 117 2. 일기와 그 배경 120 S씨의 궤적 120 일기의 특징 121 3. 농촌의 우울과 ‘민족’ 123 4. ‘일본’은 어디에 있는가 130 ‘일본’이라는 존재 130 행정과의 거리 133 5. ‘중견인물’이 된다는 것 136 6. 맺음말 138 ------------------------------ 2부 ‘친일’의 논리 ㅡ ‘협력’은 사상이다 2부를 묶으며 / 윤대석 식민지 국민문학론 / 윤대석 149 1. ‘국민문학’ 논의의 수위 149 2. 차이와 반복(0) ㅡ 뒤틀림(ひねくれ) 152 3. 반복과 차이(1) ㅡ 김사량 157 4. 반복과 차이(2) ㅡ 최재서?김종한 163 5. 반복과 차이(3) ㅡ 이석훈 166 6. 반복과 차이(4) ㅡ 식민지 본국인 작가 170 7. 모순과 균열의 봉합 175 여자 스파이단의 신화와 ‘좋은 일본인’ 되기 / 권명아 181 1. 스파이 담론, ‘좋은 일본인 되기’의 엔진 181 2. 여자 스파이단의 신화 ㅡ ‘대동아’의 신체와 여성 184 3. 국민방첩과 스파이 담론 ㅡ 잠재된 적과 현실의 가상화 190 4. 스파이 담론과 ‘좋은 일본인 되기’ ㅡ 가상의 현실화 196 5. 좋은 일본인 되기 ㅡ 좋은 일본인으로 죽거나 나쁜 일본인으로 죽거나 204 조선인 내선일체론자의 전향과 동화의 논리 / 이승엽 209 1. 머리말 209 2. 정세 인식과 전망 211 조선독립의 가능성 211 조선 민족운동에 대한 인식 212 국제정세에 대한 인식 213 3. 자기부정과 제국으로의 동화 215 자기부정의 출발점 ㅡ ‘조선적(朝鮮籍)의 개인’ 215 자기부정 ㅡ 역사 전통과 조선인 사회의 부정 217 제국으로의 동화 219 4. ‘평행제휴론’과의 대립 및 내선평등의 촉구 224 ‘평행제휴론’과의 대립 224 내선평등의 촉구 228 호적법 개정문제 ㅡ 내선일체 실현의 최종단계 232 5. 맺음말 234 해방을 전후한 주체 형성의 기도 / 홍종욱 237 1. 들어가며 237 2. 1930년대 중반 ― 식민지하 주체형성의 곤란 238 사회운동의 쇠퇴와 ‘비식민지화’ 238 조선연구?반제민족통일전선의 아포리아 241 사회성격논쟁과 식민지 문제 243 3. 전시기 ― 주체형성 기도로서의 전향 245 중일전쟁과 대량 전향 245 ‘협화적 내선일체론’이라는 기투 247 굴절된 ‘공동전선’으로서의 전향 249 4. 해방 이후 ― 주체의 굴절과 변용 253 해방을 전후한 연속과 단절 253 냉전체제의 형성과 주체의 변용 254 5. 나오며 256 ------------------------------ 3부 ‘대한민국’과 국민만들기 ㅡ 태초에 전쟁이 있었다 3부를 묶으며 / 황병주 여순‘반란’의 재현을 통한 대한민국의 형상화 / 임종명 269 1. 재현(再現), 국가 / 텍스트(text) 269 2. 대한민국 ㅡ 민족 삶의 수호자 278 3. 대한민국 ㅡ 운명의 주재자 284 4. 대한민국 ㅡ 관념과 실천의 조직자 290 5. 균열하는 텍스트 / 충돌하는 대한민국들 297 해방 직후 정회(町會)를 통해본 도시기층사회의 변화 / 김영미 307 1. 머리말 307 2. 일제시기 정회제와 주민생활 309 3. 해방 직후 주민운동과 정회의 변화 316 주민자치와 정회 개조 316 정연합회의 변화와 정회의 정치세력화 320 ‘쌀 요구투쟁’ 324 4. 배급제의 정비와 기층 지배체제의 강화 328 배급제의 정비와 정회 주도세력의 변화 328 동회 개편과 기층 지배체제의 강화 332 5. 맺음말 337 한국전쟁과 사회의식 및 문화의 변화 / 강인철 341 1. 머리말 341 2. 국민 형성 및 통합의 ‘사회적’ 기초들 346 3. 국민 형성 및 통합의 ‘문화적’ 기초 시민종교의 등장 359 시민종교의 전사前史 361 시민종교의 신념체계 368 시민종교의 성인, 성소, 의례 378 4. 한국적 근대의 형성 384 도시에서 전통의 근대적 변용 384 도시의 근대화와 대중적 문화의 발전 395 농촌의 재전통화 408 5. 독자적인 청년문화의 형성과 4?19 416 6. 맺음말 423 한국전쟁과 여성 / 이임하 427 1. 무엇이 문제인가 427 2. 미망인이라는 용어와 전쟁미망인의 범주 429 3. 전쟁미망인의 실태와 국가의 구호대책 430 전쟁미망인의 수 431 전쟁미망인의 생활실태 434 수산장과 모자원의 운영 435 군경유가족 연금정책 437 4. 전쟁미망인에 대한 사회적 규정 440 보호의 대상 ㅡ ‘무력한’ 미망인의 이미지 440 성적 규제의 대상 ㅡ 도덕적 희생양 또는 깨어진 그릇 442 굶어 죽는 한이 있더라도 정조를 지켜라 445 5. 전쟁미망인의 생활 448 상업 449 전통적으로 여성노동으로 간주되었던 노동 및 일용노동 450 농업노동 451 첩 또는 내연의 관계 452 성매매 454 시댁이나 친정에 의탁 456 6. 전쟁과 여성 457 박정희체제의 지배담론과 대중의 국민화 / 황병주 461 1. 근대화의 덫 461 2. 박정희 정권의 지배담론 ㅡ 평등주의적 압력을 중심으로 465 3. 대중정치와 대중동원 475 새마을운동과 농민 476 ‘노동자계급’과 ‘산업전사 / 국민’ 사이에서 487 4. 대중의 국민화와 그 역설 497 박정희 정권기 저항엘리트들의 이중성과 역설 / 김보현 502 1. 머리말 502 2. 또 하나의 민족주의 505 3. 민주주의 회복론 510 4. 성사적(聖事的) 사고와 실천 517 5. 개발주의에 저항한 개발주의 526 5. 맺음말 538 <자료실> 논문이 처음 실린 곳 표 미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