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특수자료

특수자료

기증도서

한국전쟁: 불가피한 선택이었나

개인저자
김계동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명인문화사, 2014
형태사항
xv, 521 p. :. 삽화, 지도, 초상 ;. 23 cm
ISBN
9788992803724
청구기호
392.1911 김14ㅎ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G0016473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001647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1950년 6월 25일에 시작되어 1953년 7월 27일에 휴전이 된 한국전쟁은 북한의 남침에 의하여 시작되었지만, 며칠 만에 미국과 유엔이 참전함에 따라 국제전으로 확대되었다. 그리고 냉전이라는 당시 상황으로 한국전쟁은 냉전의 이데올로기 전쟁이기도 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이 6년 동안 지속되었다는 점에서, 동아시아 끝의 작은 반도에서 일어난 한국전쟁이 3년 넘게 계속되었다는 점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과 교훈을 남겨주고 있다. 한국전쟁에 참여한 국가와 인물들이 선택한 정책적 결정들은 불가피한 것들이었는가? 그들은 무엇을 위하여 그렇게 처절한 전쟁을 3년 넘게 계속했는가? 이 책의 주요 목적은 복합전의 모습을 보이는 한국전쟁을 시작하고 개입한 국가들은 왜 그리고 어떻게 그들의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해 나갔는지에 대한 해답을 얻는 것이다.
이 책은 그동안 간과되었던 두 가지 점에 주안점을 두고 한국전쟁을 분석하고 있다. 첫째, 전쟁의 발발 및 수행과정에서 선택된 결정들이 평화, 희생규모 최소화 및 조기종결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들이었는지, 불가피한 것들이었는지를 규명한다. 특히 전쟁의 확전론과 제한전론의 논쟁을 중점적으로 파헤치고 있다. 둘째, 그 동안의 미국문서에 의한 미국의 전쟁정책만을 서방 및 유엔의 정책으로 다루는 편협성에서 벗어나 영국 및 영연방 국가들의 문서도 활용하여 전시동맹 내에서 어떠한 견해차이가 있었고 이 차이가 전쟁의 성격을 어떻게 규제하고 변화시켰는지를 밝힌다.
특히 전쟁 수행과정에서 동맹국들 간의 심각한 정책적 견해차이가 확전과 제한전의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는 점을 심층분석한다. 따라서 이 책은 국제 분쟁이 발생할 경우 동맹이 어떻게 형성되며, 이익과 정책적 편차가 나는 와중에 동맹관계가 어떻게 유지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책에서 중점적으로 다룰 쟁점들은 아래와 같다.

● 전쟁의 기원: 피할 수 없는 전쟁이었나?
● 전쟁의 국제화: 유엔, 미국 및 서방진영의 개입은 불가피했나?
● 전쟁의 조기종결 가능성: 전쟁 초기 영국과 인도의 평화중재를 미국은 왜 거부했는가?
● 미국의 확전 모색: 38선 이북 진격은 법적, 전략적으로 바람직했는가?
● 세계전쟁 수준으로의 확대: 중국은 왜 개입했으며, 이는 억지될 수 없었는가?
● 휴전협상의 지연: 2년의 휴전협상 기간을 줄일 수 없었는가? 포로송환 문제는 조기 해결이 불가능했는가?
● 이승만의 선택: 휴전반대의 진정한 의도는 무엇이었으며, 무엇을 얻었는가?

편견을 가지거나 한쪽의 문서만 가지고 역사를 해석하게 되면 역사적 사실을 제대로 들여다 볼 수 없다. 따라서 이 책은 미국뿐만 아니라 영국 및 공산권을 비롯한 다양한 국가들의 비밀해제된 문서, 전기, 서적, 논문들을 총체적으로 분석하여 그 동안 밝혀지지 않은 내용과 의미를 새롭게 조명하였다. 따라서 한국전쟁을 연구하고 수학하는 학자와 학생들에게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며, 한국전쟁에 관심을 갖고 있는 일반인들에게는 중립적이며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서문
1장 서론

제1부 한국전쟁의 기원: 불가피한 전쟁이었나?
2장 북한의 선택과 소련·중국의 지원
북한의 개전 요인: 김일성과 박헌영의 경쟁과 대립
소련과 중국의 역할과 지원정책
김일성의 전쟁 계획, 스탈린과 마오쩌둥의 승인
3장 전쟁억지의 실패: 남한의 북진론과 미국의 방관
북진을 계획하는 이승만의 의도와 미국의 견제
전쟁발발 정보 무시와 전쟁억지의 실패
한국전쟁 발발 직전의 위기

제2부 국제전으로의 확대
4장 미국과 유엔의 참전
한국전쟁 이전 미국의 한반도 개입 계획
미국, 한국전을 스탈린의 전쟁으로 인식
미국의 참전 결정, 서방의 의지와 능력 과시
서방진영 주도의 유엔 집단안보체제 결성
미국의 본격적 참전 - 지상군 파견
5장 영국의 참전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의 국내정치
영국의 안보이익의 가치가 낮은 한국전쟁
지상군 파견에 대한 영국의 소극적 입장
미국의 압력과 영국의 지상군 파견 결정
미국 압력에 의한 영국 지상군의 ‘,조기’-파견 결정

제3부 평화 또는 확전의 선택
6장 전쟁의 조기 종결을 위한 평화 중재
평화와 전쟁의 동상이몽: 영국과 미국의 입장 차이
인도의 끈질긴 평화중재 시도
평화중재의 완전한 실패
7장 회복을 위한 확전: 38선 이북 진격과 북한점령정책
인천상륙작전과 전세의 역전
개전 이후의 38선: 분단선 의미의 상실
미국의 한반도 무력통일 선택: 38선 이북 진격 결정
중국의 경고와 유엔의 북진 결의안
북한점령 이후 유엔에 의한 통치계획

제4부 중국의 참전과 새로운 전쟁
8장 유엔군 진격과 중국의 ‘,항미원조전쟁(抗美援朝戰爭)’
참전을 위한 중국의 군사 태세
최후 승리를 위한 유엔군의 총공세
중국군의 참전 결정 과정: 중국과 소련의 견제와 협력
새로운 적, 새로운 전쟁
9장 영국의 전쟁 국지화 모색과 미국의 총공세 실패
중국군의 공격중단과 영국의 정치적 해결 모색
영국의 완충지대안과 미국의 월경추격권 제의
중국 참전에 대한 미국과 영국의 시각 차이
최후 승리를 위한 미국의 총공세 추진

제5부 위기 속의 내분: 영국 · 미국의 정책적 갈등
10장 유화론과 강경론의 대립: 영·미정상회담
트루먼의 ‘,원자탄 사용’언급의 세계적파장
영국과 미국의 패전 대비책
영·미 정상회담: 갈등의 정점
정상회담, 갈등의 해소보다는 갈등의 확인
11장 중국 침략자 규정에 대한 입장 차이
정전 거부한 중국에 대한 침략자 결의안 추진
영국·서방진영의 침략자 규정안 반대
영국, 침략자 규정은 찬성하지만 제재는 반대
미국과 영국의 타협안: 선 침략자 규정 후 제재

제6부 현상회복전략: 정치적 종결 모색
12장 전선의 교착과 정치협상 모색
유엔군의 38선 이북 재진격 논의
38선 회복과 전선의 교착
정치협상을 위한 군사전략
13장 평화협상의 걸림돌 제거: 맥아더의 해임
맥아더의 월권행위
서방진영의 유화주의에 대한 맥아더의 비판
호전주의자 제거와 평화협상 모색

제7부 휴전협상과정: 머나 먼 평화의 길
14장 갈등으로 시작된 휴전협상: 협상의 장기화 조짐
휴전협상의 시작: 회의장소와 안건 채택
휴전선 결정 논쟁: 38선에 대한 공방
휴전 감시체제 또는 경고성명 선택의 중요성
경고성명 문구에 대한 영국과 미국의 마찰
15장 회담장의 끝없는 논쟁: 포로교환 문제
포로의 전체 송환, 아니면 자발적 송환?
‘자발적 송환’의 기정사실화
포로송환 방식에 대한 끝없는 논쟁
협상의 우위를 점하기 위한 군사적 압박
최종 타결 모색과 스탈린 사망

제8부 갈등 속의 휴전, 새로운 안보의 시작
16장 휴전협상의 새로운 걸림돌: 이승만
부산정치파동과 미국의 이승만 제거 계획
이승만의 휴전반대 저항
미국, 이승만 제거의 칼을 뽑다: 에버레디 작전 수립
미국, 이승만의 손 들어 주다: 상호방위조약 수용
이승만의 포로석방: 미국의 강경론 부상
17장 휴전협정체결과 한미동맹결성
미국과 이승만의 최후 담판
휴전협정체결과 전쟁재발방지경고
미국의 새로운 개입: 한미 상호방위조약 체결
휴전 이후 한반도와 동북아에 대한 미국의 정책대안
18장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