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특수자료

특수자료

단행본

북한의 정치와 사회

발행사항
진주 : 경상대학교출판부, 2018
형태사항
335 p. : 삽화 ; 23 cm
ISBN
9788962571578
청구기호
309.1111 박17ㅂ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7529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752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이 책은 기존에 출간된 『북한의 정치와 사회 & 통일』(2006)과 『북한의 이해와 통일』(2011)을 토대로, 오늘날 변화된 북한사회 현실을 고찰하여 개정.증보한 책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오늘날의 북한 사회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문제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그것은 먼저 ‘주체사상’과 ‘자력갱생’에 입각한 정치·경제 환경의 이면, 특히 그동안의 심각한 식량난과 외화 부족 등이 중첩되어 탈북자들이 속출된 배경을 살펴보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북핵 문제’인데, 오늘날의 북한 정치와 외교 등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보고 있다.

이 책은 총 4부로 구성됐다. 1부 ‘북한 연구 방법론’ 편에서는 북한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북한 연구에 관한 이론적 시각과 방법론적 접근법을 제시한다. 2부 ‘북한 정치’ 편에서는 북한 사회를 본질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구조적이고 체계적인 연구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한다. 3부 ‘북한 사회’ 편에서는 북한만의 독특한 사회계층 구조와 북한 주민의 가치관과 생활, 인권 문제 등을 다루고 있으며, 북한의 교육과 문학, 예술 등도 소개하고 있다. 마지막 4부 ‘사회주의 국가의 변화와 북한 사회의 전망’ 편에서는 러시아와 동구권, 중국과 베트남 등의 사회주의 국가들이 어떻게 민주주의 체제로 변화했는지 그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앞으로 북한 사회가 어떻게 변화할지를 모색하고 있다.

저자는 책을 마무리하면서 독자들, 특히 젊은이들에게 “북한 문제야말로 이제는 젊은이들의 선택이 아닌 필수적 연구 대상이며, 더욱이 통일 문제는 우리 젊은이들의 미래를 밝혀 주고 보장해 주는 값어치 있는 투자 분야”라고 북한 문제의 중요성에 대해 말하고 있다.
목차

제1부 북한연구 방법론
제1장 북한연구 방법론
제1절 북한연구 이론 및 방법
제2절 북한연구의 과제

제2장 북한에 대한 인식
제1절 북한연구의 관점
제2절 북한에 대한 선행 인식 노력
제3절 북한 인식을 위한 새로운 접근

제2부 북한 정치
제3장 북한의 정치
제1절 북한정권의 형성
제2절 북한의 권력구조와 정부 형태
제3절 북한의 통치이념
제4절 북한의 권력 세습과 김정은 체제

제4장 북한의 대외정책과 대외관계
제1절 북한의 대외정책
제2절 북한 대외정책의 변천 과정
제3절 북한의 대외관계

제5장 북한의 군사
제1절 북한군의 기능과 조직
제2절 북한의 군사정책
제3절 북한의 군사력

제6장 북한의 경제
제1절 북한의 경제체제와 경제정책
제2절 거시경제 현황
제3절 북한 주요 경제 부문별 현황
제4절 북한의 경제난과 경제회복 변화 정책 및 전망

제3부 북한사회
제7장 북한의 사회계층 구조와 북한 주민의 가치관
제1절 북한의 사회계층 구조
제2절 북한 주민의 가치관
제3절 북한의 사회계층 구조

제8장 북한의 주민생활과 인권
제1절 북한의 주민생활
제2절 북한 주민의 일탈과 사회통제
제3절 북한의 인권

제9장 북한의 교육
제1절 교육정책과 교육제도
제2절 교육과정과 방법
제3절 학교생활

제10장 북한의 문학과 예술
제1절 북한의 문예정책
제2절 북한의 문학과 예술 분야별 실태

제4부 사회주의 국가의 변화와 북한사회의 전망
제11장 사회주의 국가의 변화 사례
제1절 사회주의 국가의 변화 개요
제2절 구소련의 변화 사례
제3절 동구권 국가들의 변화 사례
제4절 중국의 변화 사례
제5절 베트남의 변화 사례
제6절 종합 평가

제12장 북한사회의 변화 전망
제1절 북한사회 현재와 변화 제약 요인
제2절 북한사회의 전망과 변화 방향
제3절 대한민국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