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특수자료

특수자료

단행본

소명으로서의 정치

대등서명
Politik als Beruf
판사항
개정 1판
발행사항
서울 :,후마니타스,,2021
형태사항
200 p. ; 21 cm
총서사항
정치+철학
ISBN
9788964373675 9788964373033 (세트)
청구기호
340.1 W375p
일반주기
색인 수록 원저자명: Max Weber 해제: 최장집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8866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886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자신이 제공하려는 것에 비해
세상이 너무나 어리석고 비열해 보일지라도
이에 좌절하지 않을 자신이 있는 사람,
그리고 그 어떤 상황에 대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라고 말할 확신을 가진 사람,
이런 사람만이 정치에 대한 ‘소명’을 가지고 있다.”

누가 정치인이 되어야 하는가

이 책이 중요한 것은 정치란 무엇이고, 정치가란 어떤 존재인지를 이해하는 데 있어 고전 중의 고전이며, 이 책만큼 직접적으로 이야기하는 책이 없기 때문이다. 평생토록 베버는 학자이면서 동시에 정치가가 될 수 있는가의 문제를 끊임없이 탐색했고, 또 고민했다. 정치적 사실 내지 진실을 객관적으로 규명하는 학자로서의 역할과, 정치에 뛰어들어 자신이 옳다고 믿는 가치와 대의를 실현하고자 하는 정치인의 역할은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는 55세에 이 책을 썼으며, 이듬해 사망해 이 책은 사실상 그의 마지막 작품이 되었다.
베버가 텍스트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것은 정치를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이든 간에 그것이 진지한 것이라면, 정치 자체는 항상 책임의 도덕에 기초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소명으로서의 정치』는 정치인이 가져야 할 정치 도덕에 대해서 말하고 있는 것만은 아니다. 그것은 그 이상을 말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텍스트로부터 정치를 이해하는 방법과 아울러 이성적인 정치적 판단이 어떤 것인가에 대해 배우게 되기 때문이다.
베버는 신념 윤리와 책임 윤리를 구분함으로써, 두 개의 대립적이고 양립할 수 없을 것 같은 명제가 동시에 가능할 수 있다는 이율배반적 구조가 정치 행위의 본질적인 측면이라고 말한다. 이를 통해 그는 인간적 현실이 얼마나 복합적이고 다원적인 것인가, 그리고 얼마나 이중적이고 모호한 것인가를 동시에 일깨운다. 그러므로 우리는 정치 행위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균형적 판단, 절제, 나아가서는 겸허함에 있음을 깨닫게 된다.
오늘날 베버를 읽는다는 것은 한국 사회에서 정치와 권력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기여할 수 있는 커다란 지적 자원과 만나는 일이 아닐 수 없다.

“내 강의는 여러분들을 여러모로 실망시키게 될 것이다” ― 소명으로서의 정치란

이 책은 1919년 뮌헨의 한 진보적 학생 단체인 ‘자유학생연맹’의 초청에 의한 강연문이다. 당시는 독일 현대사에서 가장 혼란한 위기의 시대였다. 패전으로 인한 독일제국의 붕괴, 그리고 새로운 공화국의 건설, 급진 생디칼리스트와 공산주의자들이 주도했던 혁명적 봉기가 주요 도시에서 발생했다.
베버에게 강연을 요청했던 학생들은 이런 정세에서 자신들이 어떻게 개입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 듣고 싶어 했다. 그러나 베버는 강연의 첫 문장을 이렇게 시작한다. “여러분의 요청으로 이 강의를 하게 되었지만, 틀림없이 내 강의는 여러분들을 여러모로 실망시키게 될 것이다.” 그리고 강의를 마칠 때쯤 이렇게 말한다. “친애하는 청중 여러분, 10년 후에 이 문제에 대해 우리 다시 한번 이야기하자. 여러 정황으로 미루어 볼 때, 그때는 이미 반동의 시대에 접어들었을 거라는 두려운 생각을, 나는 갖지 않을 수 없다. 나 자신을 포함해 우리 가운데 많은 사람이 바라고 희망했던 것들 가운데 실현된 것은 거의 없을 것이다. 아마 ‘전혀 아무것도’ 실현되지 못했다고 말할 수는 없을 테지만, 누가 봐도 거의 성취된 것이 없을 것이다. …… 이 밤이 서서히 물러갈 때, 이 봄날의 꽃이 자신들을 위해 화사하게 피었다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은 얼마나 살아남게 될까? 내적으로는 어떤 마음 상태가 되어 있을까? 비분강개해 있을까, 아니면 속물근성에 빠져 세상사와 자신의 직업을 그냥 그대로 무덤덤하게 받아들이고 있을까?”
그러나 이내 이렇게 말하는데, 이 부분이야말로 ‘소명으로서의 정치’에 대한 것이다. “정치란 열정과 균형적 현실 감각, 둘 다를 가지고 단단한 널빤지를 강하게 그리고 서서히 구멍 뚫는 작업이다. 만약 이 세상에서 불가능한 것을 이루고자 몇 번이고 되풀이해 노력하는 사람들이 없었다면, 아마 가능한 것마저도 성취하지 못했으리라는 말은 전적으로 옳다. 모든 역사적 경험에 의해 증명된 사실이기도 하다.” “자신이 제공하려는 것에 비해 세상이 너무나 어리석고 비열해 보일지라도 이에 좌절하지 않을 자신이 있는 사람, 그리고 그 어떤 상황에 대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라고 말할 확신을 가진 사람, 이런 사람만이 정치에 대한 ‘소명’을 가지고 있다.”

베버에 대한 오해와 외면

기예르모 오도넬
“[베버가] 생각 끝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보는 것, 그의 마음이 작동하는 방식을 보는 것은 매우 유익하다. ……그는 나의 지적 권력 모델이다.”

후안 린츠
“보통 나는 어떤 주제에 대한 연구를 시작할 때마다, 베버가 그 주제에 대해 베버가 말한 것이 있는지부터 검토한다.”

게이브리얼 알몬드
“베버는 학문적인 면에서는 물론이고 도덕적인 면에서도 내게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헤라르도 뭉크, 리처드 스나이더, 『그들은 어떻게 최고의 정치학자가 되었나』 전 3권, 정치학 강독 모임 옮김, 후마니타스, 2012.
베버는 (19세기 중반 이후부터 20세기 초까지) 문화・예술・철학・과학뿐만 아니라 역사와 사회과학이 최고로 흥성했던 시기의 기라성 같은 대학자들 사이에서도 특별한 지위를 갖는 사람으로 평가받고 있다. 정치철학자 셸던 월린은 “조직의 세계와 창의적 개인 간의 고뇌에 찬 긴장을 베버만큼 명료하게 드러낸 사람은 없다.”라고 하면서 그를 “가장 위대한 사회학자”라고 말했다. 이렇게 사상가들의 존경과 경외심을 한 몸에 받는 베버지만, 한국에서만큼은 좌우파를 막론하고 제대로 이해되거나 평가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보통 베버는 결과만 좋으면 된다는 식의 책임 윤리가, 권력 정치가, 나치즘이나 파시즘에 논리적 기반을 제공한 정치학자라는 오명을 갖는다. 그러나 베버에 대해, 그가 신념 윤리를 폄하하고 책임 윤리만을 강조했다는 기존의 해석과는 달리, 베버는 신념 윤리 없이 책임 윤리만을 가진 정치가를 최악의 정치인으로 보았다. 베버는 강한 신념에 기반을 둔 책임 윤리를 말한다. 이 책의 제목이 『소명으로서의 정치』인 것도 이 때문이다. 신념 윤리와 책임 윤리라는 두 가지 깊은 심연 속에서 고민하기를 바라는 것이 베버의 진정한 의도다. 그는 또한 권력 정치가를 경멸했다. 내적 자긍심 없이 권력의 추구 그 자체를 즐기는 정치가는 정치의 비극성 앞에서 공허한 삶을 살다 좌절할 운명을 걷게 될 것이라 말했다. 그는 빌헬름 2세를 권력 정치가의 대표적 사례로 꼽았으며 ‘죽을 때까지 비판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진보파들 또한 베버를 읽지 않았다.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맹목적으로 베버를 배척했고 베버로부터 배우려 하지 않았다. 때로는 베버의 ‘가치중립’ 또는 ‘가치판단으로부터 자유’와 같은 주장을 공격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최장집 교수는 해제에서 “근본적으로 가치중립은 연구자가 지닐 수 있는 문화적・종교적・이념적 그리고 어떤 종류의 희망적 사고의 영향도 배제하고, 도덕적인 문제를 사실과 뒤섞지 않으며 사실 그 자체에 접근하고 탐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말은 연구 주제의 선정, 이론과 방법론의 선택에 있어서까지 연구자의 가치나 감정을 배제할 수 있다거나, 연구자의 연구 목적과 의도 자체가 중립적이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그보다는 사회현상이나 사실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 지적 힘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훨씬 베버의 생각에 가깝다.”라고 썼다. 그리고 “베버가 니체와 같은 가치 상대주의에 빠지지 않을 수 있었던 것은, 사실성에 대한 그의 강조, 경험적 지식에 대한 그의 열정 덕분”이라는 그의 평가 또한 생각해 볼 만하다.
베버는 대중 투표제적 지도자 민주주의를 대안으로 주장했는데, 이는 권위주의 내지는 파시즘을 옹호하는 것으로 이해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 역시 잘못된 이해이다. 대중 투표제란 그간 한국에서는 ‘국민 투표제적’으로 잘못 번역되어 온 plebiscitarian의 새로운 번역이다. 이는 헌법 제・개정이나 국가적 중대 사안에 대한 국민투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보통선거권이 아직 실현되지 않았던 당시로서는 여러 형태의 제한 투표제를 반대하면서 대중의 직접 투표에 의해 리더십이 선출되어야 한다고 말한 것이다.
베버는 민주주의를 법적・합리적 정당성이 아니라 카리스마적 정당성에 기초한 지배 형태로 분류한다. 따라서 현대의 통치 체제로서 민주주의는 대중 투표제를 가장 핵심적인 요소로 하는 것이고, 대중의 투표를 조직하기 위한 정당 조직을 핵심으로 하는 지도자 민주주의를 강조했다. 베버는 지도자가 있는 민주주의의 중요성을 분명하게 말한다. 지도자가 없는 민주주의에서는 대중 권력이 커지는 것이 아니라 도당들의 지배 내지 관료의 지배가 실현된다는 것이다. 베버에게 지도자와 이를 따르는 추종자 집단은 모든 정치의 본질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좋은 지도자 내지 유능한 리더십 없는 정치는 그에게 상상할 수 없는 일이었다. 이 점에서 그는 자유주의의 소극적 정치관을 넘어선다.
당시로서는 꽤 과격한 주장이었던 대중 투표제적 지도자 민주주의를 이야기한 것은, 당시 독일 정치의 문제(첫째, 의회의 무력함, 둘째, 전문적인 행정 관료의 강함, 셋째, 독일 정당의 특성으로서 세계관을 달리하는 이념 정당들의 존재)에 대한 그의 비판적 평가 때문이다. 그는 독일 정치의 운명이 정당성을 잃은 융커(귀족), 통치력을 못 갖춘 부르주아라는 조건 때문에 프롤레타리아나 인민이 불행해지는 것으로 귀결되리라고 봤다. 따라서 이 비관적 상황을 개척할 대안적 리더십을 가진 인물이 대통령 직선제를 통해 지도자가 되지 못한다면 10년 후쯤에는 ‘반동이 도래할 것’이라고 예견했다. 실제로 그가 강의를 마친 지 12년 만에 나치가 집권했다. 이 점에서 그는 나치즘을 옹호한 사람이 아니라 반동의 도래를 피하기 위해 독일의 정치인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말하려 했다고 할 수 있다.

개정의 방향 ― 『소명으로서의 정치』를 잘 읽을 수 있도록

베버는 많은 사람들이 읽었다고들 하지만 실제로는 잘 읽혔다고 말하기 어렵다. 사실 베버의 글은 악문으로 유명하다. 독일에서도 선생들은 학생들에게 영문 번역본을 읽도록 권할 정도라고 한다. 그뿐만 아니라 베버의 글은 읽는 사람에 따라 정반대로 이해할 수 있을 만큼 복합적이다. 그러나 2020년 영문판에서 폴 라우터(Paul Reitter)와 채드 웰몬(Chad Wellmon)은, 베버의 수업은 당시 500명 이상이 수강 신청을 할 정도로 대중적인 강의였고, 하루 저녁 강의가 이렇게 책이 되고 지금까지도 읽힌다는 것은 이 책이 소수 학자들만 읽을 수 있는 어렵기만 한 책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보여 준다고 했다. 이들은 베버가 말하려고 했던 것을 오해 없이 읽을 수 있도록 복잡 미묘한 내용을 명료하게 다시 번역해 2020년에 영문판(Max Weber, Charisma and Disenchantment: The Vocation Lectures, Paul Reitter and Chad Wellmon eds., New York Review of Books, 2020)을 출간했다.
이번 한글판은 그 문제의식과 성과를 받아들여 내용을 좀 더 명료하게 하고, 학자들이 주로 이해할 만한 어려운 표현들을 가능한 한 쉽게 바꾸어서 한국의 독자들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개정했다. 베버가 어떤 상황에서 그 말을 했는지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문단 중간 중간에 첨언을 했으며, 역주 또한 충실하게 달아 주었다. 또한 원래 텍스트는 장별 구분이 되어 있지 않았으나, 새로운 번역본에서는 내용에 맞게 세 개의 장(국가, 정당, 정치가)으로 나누고, 장별 내용도 소제목으로 구분해 이해하기 쉽게 했다. 최장집 교수가 쓴, 이 책의 해제에서는 베버의 정치철학에 대한 기존 국내외 논의를 충분히 섭렵하면서, 한국 정치에서 베버를 이해하는 데 고려해야 할 중요한 주제를 깊이 다루려고 했다.
『소명으로서의 정치』를 읽으면서 좌절했던 많은 분들에게 추천한다.

총서 소개

정치+철학 총서는 근현대를 아우르는 다양한 정치철학의 고전을 발굴해, 그 저자들의 정치철학이 어떻게 당대의 시대적 배경과 호흡하면서 탄생했고, 그들의 철학 체계 안에서 어떤 위상을 차지하는지를 입체적으로 조명하려는 의도로 기획되었다. 고전에 대한 재발굴과 재조명 작업을 통해 철학자에 대한 입체적 시각을 열어 주고, 정치와 정치적인 것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에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
_간행위원을 대표해 조현진

간행위원
김영욱(서울대, 프랑스 계몽주의)
이상명(숭실대, 서양철학)
조현진(재능대, 서양철학)
홍우람(서강대, 서양철학)

1. 장-자크 루소, 『사회계약론』, 김영욱 옮김
2. 알렉산더 해밀턴, 제임스 매디슨, 존 제이, 『페더럴리스트』, 박찬표 옮김
3. 막스 베버, 『소명으로서의 정치』, 박상훈 옮김, 최장집 해제

근간(제목은 출판사 사정에 따라 바뀔 수 있습니다
존 스튜어트 밀, 『자유론』, 김은미 옮김
토머스 홉스, 『리바이어던』, 조현진 옮김
장 자크 루소, 『사회계약론 초고 외』, 이충훈 옮김
목차

서론. 무엇에 대해 말하려 하나 9

1장. 국가 11
1. 정치란 무엇인가 11
2. 권위: 지배의 정당화 15
3. 행정: 지배의 조직화 19
4. 직업으로서의 정치 24
5. 직업으로서의 관료 34
6. 정치 주변의 직업 집단들 43

2장. 정당 59
1. 명사 정당 체제 59
2. 지도자와 머신이 주도하는 정당 체제 65
3. 영국의 정당 체제: 코커스 시스템 69
4. 미국의 정당 체제: 엽관 체제와 보스 76
5. 독일의 정당 체제: 관료 지배 83
6. 전망: 어떻게 할 것인가 87

3장. 정치가 92
1. 정치가에게 필요한 자질 92
2. 대의와 신념 그리고 도덕 97
3. 신념 윤리와 책임 윤리 105
4. 정치의 윤리적 문제가 갖는 독특함 110
5. 혁명적 상황에서의 정치 윤리 115

결론. 비관적 인간 현실 속의 정치가 122

해제. 정치가는 누구인가 125
1. 왜 베버인가 125
2. 생애와 배경 132
3. 소명의 의미 143
4. 정치적 현실주의 147
5. 대중 투표제적 지도자 민주주의 1: 개념과 배경 154
6. 대중 투표제적 지도자 민주주의 2: 비교의 맥락 161
7. 대중 투표제적 지도자 민주주의 3: 정당 머신과 민주주의 168
8. 대중 투표제적 지도자 민주주의 4: 왜 리더십이 중요한가 174
9. 정치적 윤리 1: 신념 윤리와 책임 윤리 181
10. 정치적 윤리 2: 책임의 도덕성 187
11. 정치적 윤리 3: 급진주의와 정치 윤리 191
12. 결론: 정치적 이성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