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9
ChapterⅠ
서 론 13
ChapterⅡ
미중전략경쟁과 국제질서변화 21
1.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새로운 전략환경의 등장 23
2. 미중 전략경쟁이 유럽, 중동, 인도에 미치는 영향 32
ChapterⅢ
유럽의 국제질서변화 인식과 대응 43
1. 유럽의 지역정세 현황 및 국제질서변화 인식 45
2. 유럽의 대외정책 기조 60
3. 유럽의 각 현안별 대응 66
ChapterⅣ
중동의 국제질서변화 인식과 대응 71
1. 중동의 지역정세 현황 및 국제질서변화 인식 73
2. 중동의 대외정책 기조: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의 사례 84
3. 중동의 각 현안별 대응 92
ChapterⅤ
인도의 국제질서변화 인식과 대응 101
1. 인도의 지역정세 현황 및 국제질서변화 인식 103
2. 인도의 대외정책 기조 112
3. 인도의 각 현안별 대응 123
ChapterⅥ
결론: 한반도에 대한 영향과 한국의 대응방안 135
참고문헌 152
최근 발간자료 안내 161
본 보고서는 2010년대 이후 미중 전략경쟁과 국제질서변화 속에서
유럽, 중동, 인도에서의 한국의 통일외교환경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하 러-우 전쟁)과 2024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등 급변하는 국제정세는 단순히 한반도 주변국
과의 관계를 넘어 다양한 지역과 국가들과의 협력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이 ‘글로벌 중추국가’로서 국제사회에 기여하며 통일을 위한
외교환경을 정확히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러-우 전쟁은 북대서양 조약 기구(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NATO, 나토)와 러시아의 대립을 심화시키고, 이는
유럽의 안보와 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중동에서는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과 이란의 국제적 역할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이는
에너지 공급망과 해상수송로의 안정을 위협하고 있다. 인도는 미국과
중국의 갈등 속에서 비동맹 정책을 유지하며 전략적 중요성을 키워
가고 있다.
특히 러-우 전쟁과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은 국제 정치와 경제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한국의 통일외교 전략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러-우 전쟁은 에너지 및 식량 공급망의 불안정을 초래했고,
전 세계적으로 경제적 불확실성을 높였다. 중동의 분쟁은 국제사회의
에너지 시장과 안보에 큰 위협이 되고 있으며, 이는 한국의 경제와 안보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보고서는 한국이 통일외교를 추진함에 있어 유럽, 중동, 인도와 같은
지역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이들 지역에서 평화와 번영을 위한 통일외교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언한다. 이를 통해 한국은 국제
사회에서 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며, 한반도의 평화적
통일을 위한 국제적 지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