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9
Ⅱ. 북한 주민의식 변화 15
1. 들어가며 17
2. 기대할 것 없는 당국 대신 시장으로: 경제의식 변화 18
3. 집단보다 개인 우선: 사회의식 변화 23
4. 김정은에 대한 무원(無願): 정치의식 변화 27
5. 향후 전망 30
Ⅲ. 북한 장마당 세대의 등장 33
1. 들어가며 35
2. 청년세대는 트렌드에 민감해 36
3. 청년세대는 외부정보에 민감해 43
4. 청년세대는 변화와 자유를 좋아해 46
5. 향후 전망 49
Ⅳ. 북한 내 외부정보 유입 및 사회 통제 51
1. 들어가며 53
2. 북한에서 외부정보는 어떻게 유통되고 있는가? 54
3. 외부정보는 은밀하게 들어와야 57
4. 외부정보는 철저하게 통제해야 62
5. 향후 전망 65
Ⅴ. 북한 사회격차 확대 및 불평등 심화 67
1. 들어가며 69
2. 부익부 빈익빈의 심화: 빈부 격차 및 불평등 70
3. 꼰대와 MZ: 세대 차이 77
4. 평양은 별천지: 지역 격차 81
5. 향후 전망 87
Ⅵ. 북한 법의 사회적 위상 변화 및 규율 통치 89
1. 들어가며 91
2. 법치주의가 사라진 사회 92
3. 부정부패가 만연한 사회 95
4. 향후 전망 101
Ⅶ. 결론 103
참고문헌 109
본 보고서에서는 북한의 경제, 사회 실태 및 변화 그리고 주민들의 인식 변화를 보다 쉽게 풀어서 제시함으로써 기존 통일부 인식보고서를 보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북한 경제․사회의 핵심 변화를 4가지 주제로 선정해 심층분석함으로써 각 이슈가 북한에 미칠 영향 등 함의를 집중적으로 고찰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