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연속적 교육형식의 모색
볼르노는 이 책을 통하여 실존철학의 성과들을 교육과 교육학 안으로 이끌었다. 볼르노의 실존철학에 근거한 교육학의 이해는 이 분야 최초의 작업이자 동시에 독보적인 성과로 꼽힌다. 기존의 교육학적 이해 안에서 배제되어 있던 실존철학이 이 책을 통하여 교육학 안으로 매개되었으며, 오늘날 교육철학 분야에서 실존주의를 논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책이 되었다.
볼르노는 이 책에서 교육에 대한 기존의 두 가지 근본적인 견해를 '수공업적 교육이해'와 '유기체적 교육이해'로 파악하고, 이들을 연속적인 교육이해로 규정하였다. 이에 비해 실존철학에서는 삶의 과정을 근본적으로 비연속적인 과정으로 파악한다.
이 책의 서론에서는 이러한 연속적 교육이해에 대한 비연속적 교육이해의 가능성을 제안하고 있다. 다음으로 그는 위기, 각성, 충고, 상담, 만남 등의 개념을 통해 실존철학에서 중요하게 파악된 삶의 현상들과 비연속적인 삶의 과정들이 어떻게 교육학 안에서 의미 있게 이해될 수 있는지를 밝히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개념들에 관한 고찰을 따라가면서 실존철학, 즉 본질적으로 삶에 주어져 있는 비연속적인 형식들이 삶과 교육에서 갖는 근본적이고도 중요한 의미들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