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단행본한국문학전집 29

혈의 누: 이인직 소설선

개인저자
이인직 [지음]; 권영민 책임 편집
발행사항
서울: 문학과지성사, 2007
형태사항
463 p.; 21 cm
총서사항
한국문학전집
ISBN
9788932017754 9788932015521(세트)
청구기호
813.6 문29
서지주기
참고문헌: p. 460-461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2502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250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흔히 신소설은 당대적 현실의 소설적 구현과 새로운 서사적 요소로서의 일상적인 개인의 발견에 눈뜬 작품으로 정의된다. 이때 근대적 신소설의 효시로 이인직이란 이름과 그가 만세보에 연재했던 작품 '혈의 누'가 맨 처음 거론된다.

이인직의 대표작 '혈의 누', '귀의 성', '은세계'가 수록하고, 한국 근대 소설의 형성 과정에서 '혈의 누'가 차지하는 위상, 만세보 연재 당시 독특한 표기 방식에 감춰진 이야기, 상업적인 목적의 단행본으로 간행되면서 드러나는 매체의 속성에 따른 텍스트와 문체의 변화 등을 작품 해설에서 자세히 밝혔다.

텍스트 확정과 작품 해설을 맡은 서울대 국문과 권영민 교수는, '혈의 누'나 '은세계'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과 사건, 공간적 배경 등 구체적 요소들을 분석하면서 이인직의 작품들이 겉으로는 문명개화의 이상을 강조하는 듯 보이나 기실 철저하게 일본적 식민주의 담론을 소설화하고 있다고 말한다.

문학과지성사 한국문학전집의 스물아홉 번째 책으로 출간되었다. 한국문학전집은 작가별로 편차를 두어 목록을 기획한다. 작가의 대표작을 중심으로 구성하되 대표작으로 인정되는 작품들과 숨겨진 수작들도 다양하게 실었다. 또한 작품의 원본을 토대로 연재본과 다른 판본과의 대조로 오류를 수정했다.

각 작가의 전공자들인 책임 편집자들이 충실한 낱말 풀이와 해설, 주석을 통해 작품에 대한 길잡이를 제공한다. 맞춤법과 띄어쓰기의 변환 작업에는 가급적 현대어 표기를 적용시켰고, 저작권 관련 사항도 정식 계약을 체결하여 진행했다.
목차
일러두기 혈血의 淚 귀鬼의 성聲 은세계銀世界 주 작품 해설 이인직과 신소설의 시대 / 권영민 작가 연보 참고 문헌 기획의 말
저자 소개
저자 이인직
호는 국초(菊初). 1862년 경기도 음죽군 거문리에서 태어났다. 1900년 대한제국 정부의 관비 유학생으로 선발되어 일본 동경정치학교에 입학한 후 일본 여성과 결혼하고, 1930년 미야코 신문 견습생으로 근무하며 일본어 소설 '과부의 꿈'을 발표했다. 1904년 러일전쟁이 일어나자 일본 육군성 소속 한국어 통역으로 발탁되어 종군했다.

친일단체 일진회의 기관지 국민신보의 발간을 주도하고, 만세보 주필로 활동하면서 1906년 만세보에 '혈의 누', '귀의 성'을 연재했다. 이듬해 재정난에 빠진 만세보를 인수하여 대한신문으로 개제하고...
작가의 다른 작품
저자 권영민
충남 보령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하버드대학교 객원교수, 도쿄대학교 한국문학 객원교수,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교 한국문학 겸임교수 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자 중국 산둥대학교 석좌교수, 대한민국예술원 종신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로 『한국현대문학사 1,2』, 『서사 양식과 담론의 근대성』, 『정지용 시 126편 다시 읽기』, 『문학사와 문학 비평』, 『오감도의 탄생』, 『한국계급문학운동연구』, 『이상 연구』,...
작가의 다른 작품

알라딘에서 제공한 저자 정보입니다.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