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기증도서

오감도의 탄생

개인저자
권영민 지음
발행사항
파주 : 태학사, 2014
형태사항
368 p. ;. 23 cm
ISBN
9788959666508
청구기호
811.609 권64ㅇ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G0016022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001602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오감도>는 새로운 세계를 꿈꾸는 자의 주문이자 기도이다!

<오감도>가 발표된 지 80년. 그리고 한국 문단에 늘 숙제처럼 남아 있던 미완의 <오감도>는 더 이상 한 편의 시가 아니다. 인습과 제도와 가치에 대항하는 시인 이상의 저항이자 창조적 도전이다.

<오감도>, 그 완성의 길
한국 현대시에서 가장 난해한 시로 꼽히는 『오감도』. 『오감도』는 기존의 시적 정서나 진술 방식을 뒤엎고 사물에 대한 직접적이고 감각적인 접근법을 택했다. 그 결과 끊임없이 발전해가는 기술 문명의 정체를 포착하며 기괴하고도 거대한 하나의 상상도를 만들어냈다. 그리고 물리학과 기하학과 같은 현대 과학과 맞물려 자신만의 시적 공간을 창조했다. 이상의 삶과 세계가 『오감도』에 모두 담겨 있다.
1934년 7월부터 <조선중앙일보>에 연재가 시작된 『오감도』는 띄어쓰기를 거부한 특이한 언어 표현과 난해한 시구의 배열, 시각적 기호와 도형의 대담한 삽입 등으로 문단의 화제작이 되었다. 그러나 그 실험적인 구상과 문제의식에도 불구하고 『오감도』는 문단과 독자에게 외면당한다. 결국 『오감도』는 연재가 중단되었고, 이상은 이 과정에서 큰 상실감과 좌절을 느꼈다고 한다. 이상은 오감도를 발표하기 전에 『조감도』와 『삼차각설계도』, 『건축무한육면각체』라는 세 편의 연작시를 일본 건축지 『조선과건축(朝鮮と建築)』지에 일본어로 발표한 적이 있다. 이 세 편의 연작시 형식은 『오감도』에서도 그대로 이어졌기 때문에 이상 시의 형식적 특징으로 자리 잡게 된 셈이라 말할 수 있다.
『오감도』에서는 수학이나 물리학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작품에 그대로 활용하였으며, 근대 과학에서의 기하학의 발전이나 상대성이론의 등장에 관한 특이한 상념을 상상력에 기초하여 새로이 형상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상의 작품들은 대개 수학적 도식이나 물리학적 개념이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태양과 광선, 과학과 시간 등에 관한 새로운 지식을 동원하여 인간의 존재에 관한 다양한 상념을 해체시켜 기표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상의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문학적 재능 외에 기하학, 원자론, 상대성이론 등에서 끌어온 다양한 시적 모티프에 대한 정확한 해석이 필수이다.
이상의 이러한 시적 상상력과 언어 능력은 개인적 실험으로만 그치지 않고 새로운 모더니즘 문학의 특이한 기법적 고안과 방향, 그리고 인식을 보여준다. 특히 여러 시에서 보이는 다양한 패러디 방식에 의한 구성, 몽타주 기법에 의한 시상의 전개, 비약과 생략에 의한 시상의 변주, 띄어쓰기의 의도적 무시 등 당대 시단에서 보기 드문 새로운 시적 실험을 실천한다는 점이 눈에 띈다. 실제로 『오감도』에서는 ‘보는 시’라는 새로운 공간적 형태를 실험하기 위해 언어와 문자의 모든 가능성을 동원하고 있다. 이상은 ‘타이포그래피’의 다양한 기법을 시 구성에 활용함으로써 신문 인쇄에서 볼 수 있는 일관된 활자의 크기와 그 규칙적 배열의 틀을 깨뜨린다. 그는 시에 동원되는 활자의 크기와 모양을 자기방식대로 바꾸고 그 배열에 띄어쓰기를 무시함으로써 특유의 시각성을 부여하고 있다.
1936년 2월 『가톨닉청년』지에 발표한 연작시 『역단』과, 10월 4일부터 9일까지 「조선일보」에 연재한 『위독』을 관심 있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두 연작시의 제목은 다르지만 그 형식과 주제, 언어 표현과 기법 등이 모두 『오감도』와 그대로 일치한다. 이러한 특징은 『역단』이 『오감도』를 완결하기 위한 후속 작업이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암시한다. 두 작품의 발표가 예사롭지 않게 느껴지는 이유가 여기 있다. 즉 1934년에 발표한 미완의 연작시 『오감도』는 1936년 『역단』과 『위독』을 통해 그 연작의 완성에 도달한 셈이다.
목차

머리말

1장 『오감도』를 어떻게 볼 것인가?
1. 연작시 『오감도』 11
2. 이상과 『오감도』 15
3. 『오감도』의 의미

2장. 『오감도』를 위한 전주(前奏)
1. 『조선과건축』의 일본어 시 29
2. 기하학적 상상력과 현대 문명의 인식 33
3. 연작시 『조감도』 41
4. 연작시 『삼차각설계도』 69
5. 연작시 『건축무한육면각체』 101
6. 일본어 시 뒤집어보기 134

3장. 연작시 『오감도』 다시 보기
1. 시제1호 139
2. 시제2호 147
3. 시제3호
4. 시제4호 161
5. 시제5호 173
6. 시제6호 184
7. 시제7호 195
8. 시제8호 해부 203
9. 시제9호 총구 208
10. 시제10호 나비 212
11. 시제11호 217
12. 시제12호 221
13. 시제13호 225
14. 시제14호 228
15. 시제15호 232

4장. 『오감도』, 그 완성의 길
1. 『오감도』 혹은 이상의 운명 245
2. 이상과 구인회 시대 255
3. 연작시 『역단』 260
4. 연작시 『위독』 271
5. 『오감도』 연작의 완성, 혹은 새로운 과제

5장. 『오감도』의 문학적 성격
1. 이상 문학과 한국적 모더니즘 297
2. 『오감도』와 연작으로서의 형식 303
3. ‘보는 시(visual poetry)’의 발견 309
4. 텍스트의 물질성 혹은 타이포그래피적 상상력 314
5. 메타언어와 패러디의 시학 319
6. 주체의 인식과 시 정신의 전환

부록 327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