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단행본서울대통일평화연구원 통일학연구 13

북한국제화 2017

Internationalization of North Korea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형태사항
112 p. ; 23 cm
ISBN
9788996801344
청구기호
349.115 박34ㅂ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G0014555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001455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북한국제화 2017>은 북한의 3차 핵실험과 뒤이은 공세적인 위협으로 인해 남북관계의 미래에 대한 우려와 관심이 커지고 있는 시점에서 북한문제를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를 탐구한 연구서이다. 2013년도에 새로 출범한 박근혜 정부가 임기 중 어떤 정책적 지향과 전략적 목표를 갖고 대북정책을 가다듬어야 할지에 대한 조언이 담겨있다. 이 책은 당면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대북정책의 중장기 비전을 “북한국제화”라는 말로 개념화하고 냉철하고도 실사구시적인 입장에서 구체적인 정책 목표와 수단들을 강구하며, 이를 바탕으로 주변국들과의 협력도 주도적으로 모색해 나가야 함을 강조한다. 이는 전환기적인 한반도와 동북아 정세를 슬기롭게 헤쳐나가기 위한 시대적 요청이기도 하다.
<북한국제화 2017>은 이러한 시대적 과제를 해결해 나가기 위해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의 연구진이 준비한 중기 비전보고서다. 북한 핵문제와 인권문제, 평화협정문제, 한반도 주변국의 리더십 교체와 동북아 지역정세 변화, 대북경제협력과 인도적 지원을 비롯한 대북관여 방향 등을 핵심 하위과제로 선정하고 다섯 차례에 걸친 통일정책포럼을 개최하여 학계와 전직 고위 정책당국자, 현장 활동가들의 다양한 경험과 의견을 청취한 내용이 바탕을 이룬다.
이 보고서는 무엇보다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새롭게 설정하고 발상을 전환하여 접근할 것을 제안한다. 북핵문제가 아니라 북한문제이며, 북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21세기 국제환경 속에서 북한 스스로 바람직한 결단을 내릴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할 것을 주문한다. 북한의 당사자성, 독자성, 정책결정의 책임성을 인정하면서 동시에 국제사회가 바라는 방향으로의 전환을 끊임없이 요구하고 강제하는 상호적 개입작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 과정에서 정부 차원의 정책뿐 아니라 다양한 비정부적 행위자들과 비정치적 영역들에서의 문제해결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대한민국 정부는 문제해결의 선도자(first-mover)가 되어야 한다.
북한문제로 인한 한반도 정세의 불확실성이 증폭되면 될수록 냉철하고도 실사구시적인 접근은 그만큼 더 긴요해진다. <북한국제화 2017>은 이를 위한 디딤돌이 될 것이다.
목차
<북한국제화 2017>을 제안하며 1. 북한국제화 2017: 비전과 기조 2. 북한국제화와 한반도.동북아의 대안적 아키텍처 3. 북한국제화와 스마트(SMART) 대북경제정책 4. 북한국제화와 핵문제 및 평화협정 5. 북한국제화와 인권 및 대북인도지원 6. 요약 및 박근혜 정부에 대한 제언
저자 소개
저자 박명규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 명예교수이자 광주과학기술원(GIST) 초빙석학교수이다. 한국 사회사를 전공, 근현대 사회변동을 연구했고 테크놀로지의 문명사적 영향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쏟고 있다.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장, 통일평화연구원장을 역임했고 하버드대, 버클리대, 베를린대에서 방문학자로 지냈다. 저서로 《국민, 인민, 시민》(2009), 《남북경계선의 사회학》(2012), 《커넥트 파워》(2019, 공저), 《사회적 가치와 사회혁신》(2020, 공저) 등이 있다.
작가의 다른 작품
저자 전재성
EAI 국가안보연구센터 소장이자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현재 통일부/외교부/국방부/육군/해군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2021),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장,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부원장직을 맡은 바 있다. 일본 게이오 대학교 방문교수를 2년 간 역임한 바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국제정치이론, 국제관계사, 동아시아 안보론, 한국외교정책 등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사, 석사를 거쳐,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Northwestern University에서 국제정치이론으로 국제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
작가의 다른 작품
저자 김병연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 후 옥스퍼드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국 에섹스대학, 서강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장을 맡고 있다. 연구 관심분야는 체제이행과 응용계량경제학이며 주로 구사회주의 국가들과 북한을 대상으로 연구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Unveiling the North Korean Econom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등이 있다. 영국경제사학회 T. S. Ashton Prize, 한국경제학회 청람상, ...
작가의 다른 작품

알라딘에서 제공한 저자 정보입니다.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