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기증도서서울대학교통일학연구총서 30

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

개인저자
정근식 강성현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형태사항
292p. :. 삽도 ;. 24 cm
총서사항
서울대학교통일학연구총서
ISBN
9788952118134
청구기호
911.0723 정17ㅂ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G0016303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001630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한국전쟁 사진과 우리의 전쟁기억, 그에 대한 역사사회학적 접근
이 책은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의 지원으로 만들어진 통일학연구총서 30번째 결과물로서 한국전쟁의 사진자료, 특히 한국전쟁 참전 미군사진부대의 사진기록들을 중심으로 한 조사연구와 역사사회학적 접근을 통해 한국전쟁에 대한 기억과 이미지들을 새로운 관점에서 조명하고 있다. 저자는 한국전쟁의 기억이 어떻게 구성되었고 변화되었으며 국내외적 정치 환경이 그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한국전쟁의 스틸사진과 사진집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 책에 실린 사진들은 주로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에 소장된 자료로서 저자들이 현지에서 수집, 조사한 것이다.
이 책은 총 다섯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 전쟁기억과 사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2장에서 실제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미 육군통신대 사진부대의 조직과 사진활동을 기록했다. 3장에서 한국전쟁 초기 미군 사진병의 아군, 적군, 민간인에 대한 시선을 그들의 시각을 통해 분석하고, 4장에서는 미군이 촬영한 한국전쟁 사진에서 재현되는 두 가지 측면, 즉 ‘우리’에 대한 원조와 재건의 시각과 파괴와 학살이라는 사각(死角)을 분석했다. 마지막 5장에서 그동안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 중국에서 출간된 다양한 한국전쟁 사진집의 시각을 분석하고 어떠한 변화가 발생했는지 다루고 있다.
전쟁사진은 서로 적대하고 있는 상황에서 생산된 것이므로 어느 한쪽의 시각만을 보여 주기 때문에 다양한 자료들을 통한 보완이 필요하다. 저자는 탈냉전이 진행되었음에도 여전히 중국이나 북한에 소장된 사진들에 대한 접근이 제한적이거나 불가능한 현실을 지적하고, 향후 동아시아의 평화와 공생 발전하는 미래를 위해 한국 사회 내부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전체를 시야에 넣고 서로의 전쟁기억 재생산장치들을 비교, 검토하는 작업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 책은 한국전쟁의 기억과 이미지를 새롭게 바라보고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평가되며 앞으로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후속연구들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머리말

1장 사진과 전쟁기억
1 주기적으로 되살아나는 전쟁기억의 현재 •1
2 전쟁사진과 기억의 정치 •3
3 한국전쟁 사진과 전쟁사진가 •6
4 사진 자료의 출처와 연구 방법 •11

제2장 미 육군통신대 사진부대와 사진병의 활동
1 GHQ-FEC 사진부와 71통신대 A중대 사진대의 조직 •20
2 전쟁사진 활동과 군 전쟁사진가의 시각 •28
1) 턴불 병장 •29
2) 행콕 일병과 댄젤 상병 •36
3) 윈즐로 중위 •44
3 167통신사진중대의 조직과 활동 •51
I 주제+사진이야기 ① 정훈국 사진대의 활동과 시각 •67

제3장 전쟁 초기 미군 사진병의 시각과 시선
1 우리: 오합지졸과 용맹함의 대비 •73
1) 참전과 전진(1950년 7월 초·중순) •73
2) ‘작전상 파괴’와 ‘기나긴 후퇴’: 미군의 지연전(7월 말) •89
3) 일진일퇴의 총력전: 낙동강 방어전선(8월) •98
4) 전쟁 스펙터클의 절정과 승리의 기록: 인천상륙과 서울수복(9월 말~10월) •111
2 적: 잔악한 ‘전범’과 ‘전쟁포로’ •123
1) 적의 잔학행위와 전쟁범죄 •123
2) 전쟁포로 •140
3 민간인: 국민과 비국민의 경계에서 •148
1) 민간인과 포로 •148
2) ‘자유피란민’과 ‘불순분자’ •154
3) 애국자와 ‘부역자(附逆者)’ •161
I 주제+사진이야기 ② 38선과 분단의 재현 •166

제4장 시각화된 구원, 사각화된 파괴·학살
1 시각: 반공인도주의의 구원과 재건 신화의 재현 •181
1)‘성공적인’ 서울 소개 •182
2) 구호와 보건위생, 그리고 재건 •190
2 사각: 아군의 파괴와 학살 •206
1) ‘무차별 대량폭격’과 민간 피해 •206
2) 민간인 학살: 보도연맹원, 정치범, 부역혐의자 학살 •213
I 주제+사진이야기 ③ 총보다 많은 카메라 •232

제5장 한국전쟁 사진의 집성과 시각의 변화
1 ‘우리가 본’ 한국전쟁 •245
2 ‘그들이 본’ 한국전쟁 •256
1) 미군 사진병의 시각 •256
2) 외국의 민간 전쟁사진가의 시각 •261
3) 중국의 시각 •268
4) 북한의 시각 •274
3 이분법을 넘어설 수 있는가 •276

나오며 •281

참고문헌/ 찾아보기/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