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1자료실 | G0016752 | 대출가능 | - | |
1자료실 | G001675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G001675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 등록번호
- G001675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책 소개
이 연구에서는 경제난 이후 시장 확대와 김정은 체제의 출범이라는 상황 속에서 북한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나타난 변화를 생활공간과 공간경험이라는 프리즘을 통해 살펴보았다. 서로 다른 측면에서 최근의 변화를 잘 보여줄 것이라고 판단되는 두 도시, 북한의 수도이자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중심지이고 국제적 관문도시인 평양시와 양강도의 도청소재지이자 중국과의 변경무역의 중심지인 혜산시로 관찰범위를 좁혔다.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생활공간을 집, 일터, 학교, 놀이공간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공간에서 평양시와 혜산시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탐색하였다. 또한, 변화의 공통적 특징을 시장화와 공간 분화,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 젠더화된 공간,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상상의 공간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최근 북한주민의 삶의 공간에 나타난 변화를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탈중심화·탈국가화된 다양한 공간의 출현·확대·분화라고 할 수 있다.
주제어: 북한 사회, 평양, 혜산, 일상생활, 공간 분화, 사적 공간, 젠더화된 공간, 상상의 공간
목차
요 약
Ⅰ. 서론
1. 연구 목적 및 내용
2. 분석틀 및 연구 방법
Ⅱ. 평양 주민의 삶의 공간
1. 평양시의 지역적 특성과 지역 정체성
2. 집
3. 일터
4. 학교
5. 놀이공간
Ⅲ. 혜산 주민의 삶의 공간
1. 혜산시의 지역적 특성과 지역 정체성
2. 집
3. 일터
4. 학교
5. 놀이공간
Ⅳ. 공간경험의 변화
1. 시장화와 공간 분화, 시공간 압축
2.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
3. 젠더화된 공간
4.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상상의 공간
Ⅴ. 요약 및 결론
1. 요약
2. 결론
참고문헌
최근 발간자료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