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단행본

한국형 발전모델의 대외관계사

발행사항
고양 : 인간사랑, 2018
형태사항
471 p. ; 표 ; 23 cm
ISBN
9788974183813
청구기호
349.11 김44ㄷ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6543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654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냉전시기까지만 해도 한국의 발전과정을 북한과의 경쟁 프레임으로 설명하는 학술적 공간이 극히 제약되었고, 탈냉전 시기에도 분단 상황의 변화와 남북교류의 진전이 한국형 발전모델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편이었다. 마찬가지로 동아시아 지역 질서 속에서 한국의 외교안보적 자리매김은 어떠했는지, 글로벌 안보 환경의 변화에 반응한 또한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한 한국의 노력이 무엇이었는지를 이해해야만 한국형 발전모델의 퍼즐은 완성될 수 있다. 분단과 지정학적 특수성은 한국적 발전모델을 규준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 중의 하나였기 때문이다.
목차

서문 5

1부 한국형 발전모델과 남북관계사-김병로 17

Ⅰ. 남북관계로 다시 보는 한국형 발전모델 17

Ⅱ. 분단·전쟁과 미국식 발전모델 이식(1945-1960) 24
1. 두 개의 코리아: 남한과 북한의 선택 24
2. 이념적 대항체제로서의 미국식 발전모델 이식 28
3. 발전의 초기조건과 분단비용 34
4. 한국전쟁의 충격 37
5. 적대적 분단체제 형성 41
6. 분단·전쟁 경험을 장착한 한국형 발전 46

Ⅲ. 체제경쟁과 추격발전의 모색(1961-1971) 50
1. 남북군사정권과 체제경쟁 50
2. ‘선건설 후통일’ 53
3. 무력도발과 안보위험 고조 56
4. 반공주의 동원제체 60
5. 일본·중국의 개입과 아시아적 발전모델 63

Ⅳ. 남북대화의 시작과 발전전략의 접변(1972-1987) 70
1. 한반도 버전의 데탕트와 7·4남북공동성명 70
2. 유신체제: 안보위기에 대한 정치군사적 대응 73
3. 새마을운동과 발전전략의 차용 78
4. 군사화와 사회적 동원 84
5. 신군부 등장과 신경쟁체제: 테러와 수해지원 87
6. 냉전기 자본주의 발전성과 92

Ⅴ. 냉전종식과 남북관계의 변화(1988-1997) 97
1. 사회주의권 붕괴, 서울올림픽과 ‘7·7선언’ 97
2. 남북고위급 회담과 남북기본합의서 101
3. 남북교류협력법과 유엔동시가입 105
4. 북한의 ‘서울불바다’ 위협과 북미기본합의문 110
5. 북한의 식량난과 북한붕괴위험, 북한급변사태대비 대량난민 대책 113
6. 대북지원NGO 활동과 시민참여 118
7. 분단국체제와 대한민국 의식의 형성 122

Ⅵ. 남북교류협력과 발전공간의 확장(1998-2007) 129
1. 대북포용정책과 남북정상회담, 6·15공동선언 129
2. 남북교류와 경제협력 증대 134
3. 금강산관광·개성공단과 남북협력 공간의 확장 141
4. 대북지원 논쟁과 ‘남남갈등’ 146
5. 한국형 발전의 삼중주: 남북 정치리더십과 한국적 기업가 정신 154

Ⅶ. 북핵 위기 속의 한국형 발전(2008-2012) 160
1. ‘비핵·개방·3천’과 ‘남북관계정상화’ 160
2. 북한의 2차 핵실험과 안보위기 164

3. 안보불안과 대북인식의 변화 168
4. 한국형 발전과 분단비용, 분단효과 173

Ⅷ. 통일과 지속발전 전망 178
1. 남북관계사로 본 한국형 발전모델의 특징과 평가 178
2. 통일과 남북통합발전 184

2부 한국형 발전모델과 지역안보전략의 역사-전재성 201

Ⅰ. 서론 203

Ⅱ. 전후질서와 한국전쟁, 동북아 냉전질서의 시작 206
1. 분단과 한국 전쟁 전후 한국의 외교, 지역전략 206
2. 제1공화국의 외교전략 216

Ⅲ. 1960년대와 1970년대 냉전의 전개와 한국의 지역외교전략 226
1. 제2공화국의 대외전략 226
2. 박정희 정부의 등장과 제3공화국의 지역 외교전략 229
3. 동아시아 데탕트의 전개와 제4공화국의 지역외교전략 238

Ⅳ. 1980년대 신냉전과 냉전의 종식: 제5공화국과 제6공화국의 한국 지역외교전략 252
1. 1980년대 신냉전과 5공화국의 외교전략 252
2. 동아시아 냉전의 종식과 제6공화국의 북방정책 261

Ⅴ. 탈냉전기 동아시아 정세의 변화와 한국의 지역외교전략 277
1. 북핵 문제의 발발과 김영삼 정부의 외교전략 277
2. 9·11 테러의 발발, 반테러의 시대와 한국의 외교전략 변화 281

Ⅵ. 미중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지역외교전략 300
1. 2008년 경제위기와 중국의 부상 300
2. 오바마 행정부의 등장과 미중 관계 변화 305
3. 이명박 행정부의 지역외교전략 313

3부 한국형 발전모델과 글로벌 안보전략의 역사-박인휘 331

Ⅰ. 현대 정부수립, 글로벌 냉전질서 그리고 국가이익 333
1. 머리말 333
2. 냉전의 시작과 전후(戰後)의 안보 개념 335
3. 한국의 안보와 국제정치환경 343
4. 글로벌 냉전질서-한국적 반응의 연결 방식 351

Ⅱ. 냉전기 글로벌 반공질서와 한국의 안보: 동맹에 대한 박정희의 인식 360
1. 머리말 360
2. 한국과 미국의 ‘동맹’적 접점: 글로벌 안보질서의 영향 363
3. 박정희의 외교전략과 한미관계 370
4. 한미동맹: ‘동맹 vs 자주’의 딜레마 377
5. 맺음말 380

Ⅲ. 글로벌 안보담론 트랜드와 한국의 안보 383
1. 머리말 383
2. 안보 개념과 한반도적 특징 386
3. 글로벌 안보환경과 한국의 안보이익 395
4. 북한문제: 안보와 위협의 결합 402
5. 맺음말 407

Ⅳ. 탈냉전과 글로벌 안보의 국외자: 북핵과 분단구조의 재생산 410
1. 머리말: 왜 한반도는 아직도 냉전인가? 410
2. 북핵문제의 현황과 딜레마 412
3. 북한과 미국 사이의 갈등구조 420
4. 북한의 생존과 핵개발 427
5. 맺음말 435

Ⅴ. G2시대 한국형 발전모델과 국가안보전략적 고민 438
1. 머리말 438
2. 글로벌 안보환경의 변화 441
3. G2 시대와 한반도 안보 위기 448
4. 한국형 발전모델과 국가안보전략 454
5. 맺음말 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