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단행본

한국인의 평화사상. Ⅱ: 유영모에서 김대중까지

발행사항
고양 :,인간사랑,,2018
형태사항
433 p. ; 23 cm
ISBN
9788974183875
청구기호
151 서45ㅎ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p. 412~433)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G001696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001696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오늘날 평화 연구는 어느 특정 분야에 있는 일부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다. 학제적 혹은 융복합적 연구를 통해서만 실질적인 개관이 가능한 학문이다. (…) 무엇보다 폭력으로 인한 상처를 어루만지고 아픔이 더 큰 사회적 약자의 편을 더 들어야 하는 참여 학문이다. 이 책이 제목 그대로 한국인의 평화 ‘사상’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그 사상 속에서 생생한 정치사회적 맥락이 읽히고, 평화를 이루고자 했던 선구자들의 피와 땀이 느껴지며, 평화야말로 인류가 성취해야 할 최후의 과제라는 사실이 실감나게 와 닿는다.
<머리말> 중에서

[저자약력]

필자 소개(차례순)

이찬수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HK연구교수

박재순
씨사상연구소 소장

전호근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김대식
함석헌평화연구소 부소장

박일영
가톨릭대학교 명예교수

한시준
단국대학교 사학과 교수

김태우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학과 교수

김형수
『문익환 평전』 작가

이경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객원연구원

서보혁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방민호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김학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HK교수
목차

간행사 - 임경훈ㆍ7
머리말 - 이찬수 ㆍ10

1부 생명공동체의 비전과 실천 ㆍ15

1장 유영모의 평화사상 - 박재순 ㆍ17
2장 장일순의 평화사상 - 전호근 ㆍ57
3장 함석헌의 평화사상 - 김대식 ㆍ89
4장 김수환 추기경의 평화사상 - 박일영 ㆍ 123
5장 백범 김구와 세계 평화 - 한시준 ㆍ 149

2부 통일평화의 다른 한 길 ㆍ179

6장 조봉암의 평화사상 - 김태우 ㆍ181
7장 문익환의 평화사상 - 김형수 ㆍ215
8장 윤이상의 음악과 평화사상 - 이경분 ㆍ 249
9장 리영희의 반전반핵 평화사상 - 서보혁 ㆍ279
10장 박완서의 『목마른 계절』로 보는 6·25전쟁의 성찰 - 방민호 ㆍ 317
11장 김대중의 통일·평화사상 - 김학재 ㆍ 367

맺음말 - 서보혁 ㆍ 400

필자 소개ㆍ408
참고문헌 ㆍ 412
찾아보기 ㆍ 427

저자 소개
저자 이찬수
일본의 사상과 문화, 동아시아의 종교와 평화 연구자. 서강대학교 화학과를 거쳐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일본의 철학자 니시타니 케이지와 독일의 신학자 칼 라너의 사상을 비교하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강남대 교수,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HK연구교수, (일본)코세이 가쿠린 객원교수, (일본)중앙학술연구소 객원연구원, (일본)난잔대학 객원연구원, 성공회대 대우교수, 보훈교육연구원장 등을 지냈다.
『일본정신』, 『불교와 그리스도교 깊이에서 만나다: 교토학파와 그리스도교』, 『다르지만 조화한다』, 『평화와 평화들』, 『사회는 왜 아픈가』,...
작가의 다른 작품
저자 서보혁
앞에는 들과 낙동강이, 뒤에는 산이 자리한 경북 안동의 한 마을에서 태어나 자랐다. 권위주의 시대를 마감하고 민주주의 시대를 준비하던 1980년대 중반에 서울에서 대학을 다녔다. 1987년 민주화의 여파는 노동운동과 통일운동의 활성화로 이어졌고 이는 북한·통일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되었다. 1990년대 후반에 뒤늦게 대학원에 진학해 북한·통일 문제를 공부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 정책 변화와 북한과 미국의 관계를 연구해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북한 연구가 어려운 여건에서 한국정치연구회 선후배들과 함께 한 북한 원서 탐...
작가의 다른 작품

알라딘에서 제공한 저자 정보입니다.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