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헌정사: 1948-1987
The constitutional history of Korea
- 개인저자
- 서희경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도서출판 포럼, 2020
- 형태사항
- 1280 p. : 삽화 ; 24 cm
- ISBN
- 9791197053306
- 청구기호
- 362.1109 서98ㅎ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지금 이용 불가 (1) | ||||
1자료실 | 00019867 | 대출중 | 2024.04.15 |
- 등록번호
- 0001986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중
- 2024.04.15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목차
서론
제1부 제1공화국의 헌정사:
한국형 대통령제의 기원(1948-1960)
제1장 한국형 대통령제 원형 형성:
‘준(準)내각제적 대통령제’의 제도 설계와 운영
I. 서론
II. 대통령제의 운영을 둘러싼 ‘대통령-국회’의 대립
1. 국무총리 임명권을 둘러싼 정치투쟁
1) 국무총리 임명의 제도 설계와 이윤영 임명안 부결
2) 초당주의와 정당주의, 국무총리 임명안을 둘러싼 갈등
3) 이범석 국무총리 임명 동의안 가결의 헌정사적 의미
2. 국무위원 임명권을 둘러싼 정치대립
1) 국회의 국무위원 선임권에 대한 논쟁
2) 국무위원 인선의 특징과 조각에 대한 제 정파의 견해
3. ‘국회-대통령’의 지위 논쟁
1) 사면법안 제출 절차에 대한 국회의 비판
2) 유엔파견 정부대표의 정치적 지위에 관한 논쟁
3) 부서(副署) 논쟁의 귀결
III.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책임소재 논쟁
1. 여순사건과 국회의 반격: 시국수습대책위원회 구성과 내각개조안
2. 이승만 대통령의 재반격: 11•5 내각개조안 반대 회견
3. 헌법에 대한 좌절감: 내각제 개헌론의 대두
IV. 소결
제2장 1952년 발췌개헌: 권위주의적 직선 대통령제 확립
I. 서론
II. 1950년 대통령제에 대한 비토: 도전과 실패
1. 내각제 개헌안 제출의 정치적 배경과 이승만의 대응
2. 내각제 개헌안 논쟁: ‘책임정치론’ 대 ‘헌법수호론’
3. 내각제 헌법개정안에 관한 국회 본회의의 논의
4. 내각제 개헌안 부결 요인
III. 1952년 개헌: 권위주의적 대통령 직선제 확립
1. 국회의 내각제 개헌안 제안의 배경과 자유당 창당
2. 정부의 대통령 직선제 개헌안 제출과 부결
3. 내각제 개헌안과 대통령 직선제 개헌안의 충돌:
5.26 부산정치파동, 대통령과 국회의 정전(政戰)
4. 발췌개헌안 통과
IV. 소결
제3장 1954년 사사오입 개헌:
순수 대통령제의 확립과 대통령 권력의 종신화
I. 서론
II. 1954년 5.20 총선: 개헌 도구로서의 선거와 여당
III. 자유당의 개헌안 제안과 쟁점:
순수 대통령제와 부통령의 권력승계제
IV. 자유당의 개헌안 쟁점: 대통령의 중임 제한 폐지 논쟁
V. 개헌안 표결: 부결된 개헌안을 가결로 수정
VI. 소결
제4장 ‘이승만 이후’의 헌정 구상:
자유당과 민주당의 개헌 추진과 실패(1956-1960)
I. 서론
II. 1956년 이후 자유당과 민주당의 개헌논의
1. 1956년 정•부통령 선거의 의미: 선거혁명과 제도의 역설
2. 1956년 자유당의 절충형 정부형태 논의와 대통령의 반대
3. 1957년 자유당과 민주당의 개헌 논의와 좌절
III. 1958년 총선거와 개헌:
‘헌법적 제도변경’에서 ‘법률적 제도변경’으로의 전환
IV. 1959-1960년 자유당과 민주당 구파의 합의 개헌 시도와 실패
V. 소결
제2부 제2공화국의 헌정사:
한국형 내각제의 기원(1960-1961)
제5장 1960년 6월 개헌:
제1공화국의 붕괴와 내각제 개헌 논쟁
I. 서론
II. 제1공화국의 붕괴:
4.19, 4.26 반독재혁명과 내각제 개헌의 부상
III. 1960년 내각제 개헌(1단계): 각 정당의 입장과 개헌안 작성
1. 1960년 내각제 개헌에 대한 정당의 입장과 개헌안기초위원회 구성
2. 허정 과도정부의 출범과 내각제 개헌안 제안:
「헌법개정안제안이유서」의 대통령제 비판과 4‧19 인식
IV. 1960년 내각제 개헌(제2단계):
부정선거 관련 의원의 제적에 따른 개헌의 위기
V. 1960년 내각제 개헌(제3단계):
국회 내 개헌안 논쟁 – 혁명과 법의 충돌
1. 내각제의 <제도 대 조건>의 대립: 「개헌안제안이유설명서」를 중심으로
2. 4.19의 정치적 의미에 대한 논쟁: <혁명 대 법률>의 대립
3. 내각제 하 대통령 선출방법과 양당제 논쟁
4. 반혁명세력 처벌문제: <소급입법 대 법의 지배>의 충돌
VI. 소결
제6장 1960년 11월 개헌과 혁명입법 논쟁
I. 서론
II. 제2공화국의 반혁명세력 처벌을 둘러싼 논쟁:
7.29 총선의 ‘대표성’(representativeness) 문제
III. 반민주행위자에 대한 10.8 선고 공판:
‘실정법 대 특별법’, ‘의거 대 혁명’의 대립
IV. 혁명입법을 위한 개헌: 혁명입법의 위헌성에 관한 논쟁
1. 1960년 11월 혁명입법을 위한 개헌
2. 혁명입법의 위헌성에 관한 논쟁
V. 2공화국의 내각제 정부는 왜 실패했는가?: 개헌과 혁명입법과 관련하여
1. 내각제 조건의 취약성과 인식의 안이함
2. 정당정치의 불안정성: 정치적 타협의 취약성
3. 다수의 전제: ‘자유’에 의한 ‘자유’의 파괴
VI. 소결
제3부 제3‧제4공화국의 헌정사:
대통령제로의 회귀와 장기집권체제(1961-1972)
제7장 1962년 개헌:
군사정부의 수립과 권위주의적 대통령제로의 회귀
I. 서론
II. 5.16 군사쿠데타와 헌정 쟁점
1. 5.16 비상사태 하에서의 헌정 인식과 대응
1) 5.16 군사쿠데타의 발발과 혁명공약 제1조 ‘반공’
2) 쿠데타에 대한 윤보선 대통령의 헌정 인식과 대응:
대통령직 유지와 계엄령 추인 문제
3) 군사쿠데타 저지를 둘러싼 대립:
안보우선론 대 헌법수호론, 국군통수권 문제
4) 대통령의 국군통수권 행사: 대통령의 군 출동 저지 친서 전달
5) 장면 총리의 도피와 헌정 비상사태 문제, 내각 총사퇴
2. 쿠데타에 대한 책임 공방, 리더십 부재와 정치질서 선택
3. 미국의 5.16 쿠데타 수용
III. 국가재건최고회의의 설립과 국가재건비상조치법 공포
IV. 박정희의 8.12성명과 헌법심의위원회 헌법안 작성
1. 박정희의 8.12정권이양 계획과 중앙정보부의 실행
2. 국가재건최고회의 헌법심의위원회의 헌법 개정 작업
1) 제1단계: 헌법심의위원회 구성과 헌법 쟁점 논의
(1) 헌법심의위원회 구성과 헌법 심의 절차 논의
(2) 제1단계 헌법쟁점 1: 12항목 채택, 대통령제와 국회제도
(3) 제1단계 헌법쟁점 2: 언론과 헌법심의위원회의 헌법제‧개정 논의
(4) 제1단계 헌법쟁점 3: 기본권, 헌법재판소, 경제조항, 공청사항 등
(5) 공청회 및 좌담회 개최
2) 제2단계: 헌법심의위원회 전문위원의 헌법요강안 심의 및 작성
(1) 전문위원의 헌법요강 준비와 헌법심의위원회 회의 공개 문제
(2) 제2분과 헌법요강안 심의: 기본권, 법원 구성, 헌법재판소 등
(3) 제3분과 헌법요강안 심의: 권력구조, 국회, 정부 등
(4) 제4분과 헌법요강안 심의: 경제, 재정 등
(5) 제1분과 헌법요강안 심의: 헌법전문, 총칙 등
(6) 공청회 결과와 헌법심의위원회 전문위원 심의 결과 비교
3) 제3단계: 헌법심의위원회 심의위원의 헌법안 최종채택과 조문화 작업
4) 제4단계: 국가재건최고회의의 헌법안 최종 확정 및 국민투표
V. 소결
제8장. 1969년 개헌: 대통령 3선개헌
I. 서론
II. 개헌 추진 과정의 핵심 쟁점
1. 1967년 양대 선거와 개헌 추진 징후
2. 개헌 논의의 공론화(1969.1-1969.3)와 개헌 찬반 논의
3. 공화당의 항명사건과 개헌 반대론자의 제명 조치
4. 개헌론 재개(1969.04 –1969.07)
III. 박정희 대통령의 7.25 특별담화와 개헌안 심의
1. 박정희 대통령의 7.25 특별담화: 개헌과 신임연계론
2. 공화당의 7.29 개헌 논의와 개헌 발의
3. 3선 연임 헌법개정안 수정과 국회 발의
4. 국회의 3선개헌안 심의: 대통령의 ‘3기 재임’에 관한 찬반 논의
IV. 소결
제9장 1972년 개헌: 유신체제의 형성
I. 서론
II. 유신헌법 변경의 정치적 배경과 개헌 논의
1. 1971년 대통령 선거와 개헌논의
2. 1971년 10‧2 항명파동과 4인체제의 이원집정부제 구상
3. 국가비상사태 선언과 국가보위특별조치법안 위헌 논쟁
4. 1972년의 국회 공전 상황의 지속
III. 10월 유신과 유신헌법
1. 10월 유신 선포와 유신헌법 개정 개요
2. 유신헌법 제1단계 작업(1971.04–1971.12): 박정희 대통령의 유신헌법 구상
3. 유신헌법 제2단계 작업(1972.05-1972.10): 실무자와 실무 작업
4. 유신헌법 제3단계 작업(1972.10.20-1972.11)과 유신헌법안의 특징
IV. 유신헌법 반대와 긴급조치, 미국의 입장
V. 소결
제4부 제5공화국과 민주화 이행기의 헌정사:
신군부체제에서 민주정부로의 이행(1978-1987)
제10장 1980년 개헌: 권위주의적 단임 대통령제의 형성
I. 서론
II. 제5공화국 헌법 개정의 정치적 배경
1. ‘정치발전’ 대 ‘민주회복’ 논쟁: 김영삼 총재의 유신 반대 연설
2. 10대 총선 후 공화당의 상황과 박정희 대통령의 대국회관
3. 박정희 대통령의 서거와 ‘정치일정’ 논의
1) 박정희 대통령의 서거와 헌법 <제48조> 이행
2) 최규하 과도정부의 정치일정 문제와 김종필 대선후보 철회
III. 제5공화국 헌법 개정 과정과 논의
1. 국회와 정부의 개헌 과정(1979.11.26–1980.05.16)
1) 국회의 헌법개정심의특별위원회 활동과 여야 개헌시안 제출
2) 정부와 국회, 이원화된 개헌의 정당성 문제
3) 정부 헌법개정심의위원회와 국회 헌법개정심의특별위원회의 활동
2. 5‧17 비상계엄 선포 후 정부의 개헌 과정(1980.05.17.-1980.10.25)
1) 신군부의 등장과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발족
2) 정부 헌법개정심의위원회와 헌법개정요강작성소위원회의 활동
3) 최규하 대통령의 하야와 7년 단임 대통령제로의 수정
4) 전두환 신군부 집권의 요인과 헌법개정안 완료
IV. 소결
제11장 1987년 민주화와 대통령 직선제 개헌
I. 서론
II. 헌법개정 논의(제1단계): 2‧12 총선 후 촉발된 개헌 논의
1. 개헌을 향한 진전: 1985년 2‧12총선
2. 호헌과 개헌의 대립: 5공화국 헌법의 정통성 문제와 개헌 투쟁
3. 신민당의 정‧부통령 직선제 개헌안과 민정당의 내각제 개헌안
4. 합의개헌 논의의 교착과 미국의 메세지
III. 헌법개정 논의(제2단계): 6‧29선언과 국회 헌특위 추진
1. 4.13호헌조치에서 6.29대통령직선제 선언으로
2. 8인정치회담에 의한 개헌 논의
1) 개헌논의를 위한 민정당‧민주당의 8인정치회담 구성
2) 민정당과 민주당의 개헌협상(1987.08.03-08.31)
3. 국회 헌특위의 활동과 대통령중심•직선제 개헌안 의결
1) 국회 헌특위의 활동과 헌법 부칙 논의
2) 국회 본회의 개헌안 발의 제안 및 논의
IV. 소결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