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단행본

단행본

단행본

마음의 사회학

개인저자
김홍중 지음
발행사항
파주 문학동네 2009
형태사항
503p 23cm
ISBN
9788954609715
청구기호
304 김95ㅁ
키워드
마음, 사회학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6164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616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살아남은 자의 슬픔’으로 괴로워하던 80년대 지식인은 다 어디로 갔는가?
웰-빙을 위해 수단을 가리지 않는 삶의 피상성과 천박성을 있는 그대로 긍정하는 몰염치!
‘뻔뻔하고 당당한 속물’들이 주류가 된 시대!
무엇이 우리의 마음을 움직이는가?

김수영의 시와 홍상수의 영화, ‘언니네 이발관’의 노래와 하루키의 『1Q84』를
종횡무진 넘나드는 한 사회학자의 통렬한 상상력!


“결국 사회학이 탐구해야 하는 최종 영역은 그 사회의 마음이다.”

한국의 ‘지젝’ 탄생을 예견케 하는 사회학자 김홍중의 첫번째 책이 출간됐다. 이 책은 특이하다. 딱딱한 사회과학서도, 그렇다고 단순한 평론집도 아니다. 80년대 이후, 한국사회가 진정성의 시대에서 속물주의의 시대로 이행하기까지의 과정을 철저히 파헤쳤다는 점에서 이 책은 사회과학서이다. 한편, 이상과 김수영부터 ‘미래파 시인’들의 시를 비롯해 하루키의 소설, 홍상수와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까지 섭렵하는 이 책은, 분명 문학 평론집이자 문화비평서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이 책은 그 모두를 포함하는 사회학적 비평서라고 보는 것이 가장 정확할 것이다.
사회학자이자 문학동네 편집위원인 저자는 사회의 모든 현상과 변화 속에 사람들의 ‘마음’이 내재돼 있다고 보았다. 그 마음은 개인의 마음이 아니라 이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의 고통과 기억이 공유되어 탄생한 것이다.
벤야민과 들뢰즈, 니체 등 지식사회를 뒤흔든 거장들의 사상을 사회학적 프레임 삼아 저자는 김수영과 이상의 시, 하루키의 소설과 홍상수의 영화 등 이 시대의 속살을 보여주는 다양한 문화를 조망했다. 왜 예술인가? 이유는 간단하다. 다양한 문학, 예술 텍스트야말로 사회의 마음을 가장 잘 보여주는 ‘풍경’이자 ‘징후’이기 때문이다.

제1부 ‘마음의 레짐’에서는 80년대 이후 한국 사회의 중요한 규범적 동력이었던 진정성의 구조, 기원, 소멸을 탐색한다. 80년대, ‘살아남은 자의 슬픔’을 이야기하던 지식인들은 차마 자기 자신을 온전히 던지지 못한 시대적 죄책감과 부채 의식에 괴로워했다. 그러나 진정성이 우리 사회의 지배적 주체 형성 기제로서 그 역할을 다하고 97년 이후 신자유주의적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사람들은 ‘뻔뻔한 당당함’을 내세운 스놉(snob)이 됐다. 스놉이 지배하는 ‘스노보크라시(snobocracy)’의 시대가 온 것이다. 그러나 어쩌면 사람들은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도 모른 채 오직 살아남기 위해 스놉이 되어야 한다는 명제를 강박적으로 획득한 것일 수도 있다. 그런 점에서 잘 먹고 잘 살기 위해 도덕감정을 버려가면서까지 스놉이 되어야 한다고 믿게 만드는 이 시대 최후의 이데올로기, 스노비즘의 판타지는 비판적으로 조명돼야 한다.
제2부 ‘마음의 풍경’에서는 ‘문화적 모더니티’를 구성하는 특수한 풍경들을 추출하여 이를 분석한다. 사회학적 의미로서의 ‘풍경’과 파괴함으로써 창조하는 ‘파상력’의 개념을 재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찰성, 멜랑콜리 그리고 카이로스적 시간성을 각각 살핀다. 니체의 영원회귀 사상, 발터 벤야민의 아케이드 프로젝트 등 다양한 문화사회학의 틀이 이해를 돕는다.
제3부 ‘마음의 징후’에서는 이상부터 김수영, 그리고 김민정, 김언, 이민하, 황병승 등 ‘미래파 시인’들의 시, 하루키의 소설 『1Q84』와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 등 다양한 문학, 예술 텍스트를 동원해 사회의 마음을 추론하고, 사회학적 비평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한국의 모더니티는 이상이 「오감도」에서 ‘13인의 아해’가 질주하는 분열적인 풍경을 그렸을 때 처음 획득됐다. 이어 한국의 모더니티는 김수영의 「거대한 뿌리」에서 “전통은 아무리 더러운 전통이라도 좋다”고 언술했을 때 비로소 ‘있는 그대로의 전통’으로 긍정되며, ‘오늘’과 만난다. 그런 의미에서 김수영은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문화사적 의미에서의 다리, ‘교량’과도 같다. 이른바 ‘IMF 세대’로 불리는 97년 세대는 여전히 방황한다. 그들의 방황은 번뜩이는 엽기적 상상력으로 가득한 ‘미래파 시인’들의 시 속에 고스란히 나타난다. 그러나 그런 ‘마음’의 흔들림과 미끄러짐을 보여주고 어루만지는 것 역시 문학과 예술의 힘이다. 사람들이 모여 사는 사회(社會)가 비록 ‘사회(私會)’로 변해갈지언정, 문학과 예술은 늘 마음을 응시하게 하며 낯선 시대와의 화해를 끊임없이 제시하고 있지 않은가.

이 독특한 데뷔작을 통해, 저자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서바이벌 키트’로서의 문학과 예술을 독해하는 법을 일러준다. 진정한 의미의 ‘인간’으로 살아남기 위해서는 문학과 예술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살아남기 위해, 또 살아가기 위해서는 나의 마음과 우리의 마음을 비판적으로 응시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 후에야 비로소 그토록 불분명해 보였던 ‘마음’을 어루만질 수 있고, 그토록 희미해 보였던 행복을 예감할 수 있다.
손담비의 노래, ‘토요일 밤에’에서 전직 대통령의 죽음을 향한 애도를 읽어냈던 그다. 그가 펼쳐 보이는 번뜩이는 상상력과 예리한 통찰력은 분명, 문제적이다.
목차

프롤로그

제1부 마음의 레짐―진정성의 운명

1장 진정성의 기원과 구조
Ⅰ 살아남은 자의 슬픔
Ⅱ 마음의 레짐
Ⅲ 진정성의 기원과 구조
Ⅳ 진정성의 한계
Ⅴ 마음의 사회학

2장 삶의 동물/속물화와 존재의 참을 수 없는 귀여움
Ⅰ 생활의 발견
Ⅱ 자폭(自爆)을 할 줄 아는 속물
Ⅲ 동물+속물
Ⅳ 게임과 유희
Ⅴ 최후의 인간과 수치의 상실
Ⅵ 귀여움의 시대
Ⅶ "인간"의 운명

3장 스노비즘과 윤리
Ⅰ 스노보크라시(snobocracy)
Ⅱ 고전적 스놉의 초상
Ⅲ 욕망의 삼각형
Ⅳ 악의 속물성
Ⅴ 도구적 성찰성
Ⅵ 윤리적 삶

4장 근대문학 종언론의 비판
Ⅰ 위기에서 종언으로
Ⅱ 가라타니의 주요 테제들
Ⅲ 근대문학의 부정성
Ⅳ 근대문학과 주체
Ⅴ 포스트-진정성의 체제

제2부 마음의 풍경―문화적 모더니티

5장 다니엘의 해석학―풍경에 대한 사회학적 사유의 가능성
Ⅰ 왜 풍경인가?
Ⅱ 대상으로서의 풍경
Ⅲ 풍경의 개념화
Ⅳ 다니엘의 해석학

6장 파상력이란 무엇인가?
Ⅰ 파괴적 성격
Ⅱ 파괴, 폐허, 구축
Ⅲ 파상력의 두 기원
Ⅳ 각성의 테크닉
Ⅴ 파상의 전략들
Ⅵ 모더니티와 파상력

7장 멜랑콜리와 모더니티
Ⅰ 토성적인 것
Ⅱ 하이데거의 정조
Ⅲ 토성적 정조의 계보와 그 문화적 함의
Ⅳ 토성적 정조의 의미 구조: 주체, 세계, 전략
Ⅴ 보들레르
Ⅵ 세계감

8장 근대적 성찰성의 풍경과 성찰적 주체의 알레고리
Ⅰ 성찰의 강박
Ⅱ 근대적 성찰성의 해부
Ⅲ 성찰성의 인식풍경
Ⅳ 성찰성의 한계
Ⅴ 인식풍경의 사유

9장 문화적 모더니티의 역사시학
Ⅰ 순간의 역사시학
Ⅱ기시감(deja-vu)
Ⅲ 지나가는 여인
Ⅳ 니체의 영겁회귀
Ⅴ 벤야민의 변증법적 이미지
Ⅵ 기다림

제3부 마음의 징후―사회학적 비평의 가능성

10장 13인의 아해(兒孩)―한국 모더니티의 코러스
Ⅰ 한국 모더니티의 창세기
Ⅱ 은폐-역사성(Crypto­historicity)
Ⅲ 아해(兒孩)의 계보―육당, 춘원, 소월
Ⅳ 「오감도」의 정치적 무의식
Ⅴ 까마귀―한국 모더니티의 토템

11장 유령, 리좀, 그리고 교량(橋梁)―김수영 전통론의 재구성
Ⅰ 전통에 대한 사유의 가능성
Ⅱ 유령-전통
Ⅲ 리좀-전통
Ⅳ 다리
Ⅴ 공통어

12장 실재에의 열정에 대한 열정―미래파의 시와 시학
Ⅰ 미래파의 등장
Ⅱ 미래파의 시학
Ⅲ 미래파와 오타쿠
Ⅳ 실재의 열정에 대한 열정
Ⅴ 시의 종언?

13장 무라카미 하루키, 우리시대의 문학적 지진계
Ⅰ 리스본 대지진
Ⅱ 지진계
Ⅲ 두 개의 달
Ⅳ 리틀 피플(Little people)
Ⅴ 사회(私會)라는 것
<보론: 폭력의 카르마와 폭력의 비판>

14장 행복의 예술, 그 희미한 메시아적 힘
Ⅰ 참을 수 없는 것
Ⅱ 공제의 미학
Ⅲ 행복의 비가(悲歌)
Ⅳ 근대문예의 이념
Ⅴ 희미한 메시아적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