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연구원발간물

연구원발간물

단행본통일인문학 길 03

민족공통성과 통일의 길

발행사항
[광명] :,경진출판,,2015
형태사항
384 p. : 23 cm
ISBN
9788959964413
청구기호
340.911 건16ㅁ
서지주기
참고문헌(p. 380-381)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5535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553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민족공통성 창출을 통해
새로운 통합 패러다임을 찾는 통일인문학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은 출범 이래 삶과 소통하는 인문정신의 관점에서 통일을 사유함으로써 새로운 통일 패러다임을 정립하고자 노력해 왔다. 그리고 그 방향은 남북 주민들의 마음과 몸에 아로새겨진 적대적인 가치-정서-문화를 극복하는 ‘사람의 통일’을 지향하는 것이었다. 정치경제적 체제통합 이전에 가치-정서-문화적인 차원에서 ‘사람의 통일’이 필요한 이유는 그것이 정치경제적 통합을 떠받치는 바탕이자 통일을 진정한 사회적 통합으로 만드는 근본적인 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일은 상이한 체제에서 살아온 사람들이 소통하고, 분단의 상처를 치유하면서 통합적인 새로운 민족적 공동체를 창출하는 과제가 될 수밖에 없다. 이런 점에서 통일인문학은 ‘사람의 통일’이란 관점에서 소통・치유・통합의 패러다임을 새롭게 정립하려는 통일학이라고 할 수 있다.

남북은 서로 경쟁하면서도 ‘통일’을 해야 한다는 당위성 속에서 서로 대화를 모색해 왔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남북 대화는 ‘소통’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상호 간에 갈등과 대립이 생기면 서로 대화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모든 대화가 상호 간의 갈등과 대립을 완화하는 것은 아니다. 남북 대화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남과 북 모두 다 ‘통일’의 대의를 내세우면서 대화를 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그런 대의에서 만나 이루어지는 남북 대화조차 대화 이후, 오히려 더 강한 상호 적대성을 유발하면서 남북 관계를 극단적인 냉전으로 이끌어 가는 경우를 우리는 많이 보아 왔다. 따라서 문제는 ‘대화’ 그 자체가 아니다.
‘대화’가 곧 ‘소통’을 만들어 내는 것은 아니다. 소통이란 ‘소(疏, 트일 소)+통(通, 통할 통)’, 말 그대로 ‘트여서 통함’을 의미한다. 여기서 ‘통함’이란 언제나 ‘둘’을 전제한다. 만일 둘이 서로 어떤 차이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그들은 ‘하나’이기 때문에 굳이 ‘통’할 필요가 없다. 또한 ‘트임’은 언제나 그 둘 사이를 가로막는 장애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막힘’이 없다면 굳이 둘 사이를 ‘트이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화’가 ‘소통’이 되기 위해서는 가로막힌 것을 뚫고 트이게 하면서 서로를 통하게 만들어 가는 ‘소통의 길’을 찾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책은 전체 4개의 ‘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의 주제에 맞춰 지금까지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에서 연구된 통일인문학의 ‘통합 패러다임’과 관련된 결과물들이 담겨 있다. 이 책의 1부 ‘민족공통성의 이론적 개념화’에서는 주체와 타자의 문제를 철학적으로 분석하면서 기존의 민족동질성 개념의 한계를 넘어 새롭게 제안되는 민족공통성 개념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주로 살펴보고 있다. 특히 여기 실린 글들에서는 우리나라의 전통 사상과 문화에 담겨 있는 ‘통합’과 ‘화합’의 의미를 통해 민족정체성의 추구를 어떤 원형으로의 회귀가 아니라, 새롭게 생성되는 것으로 이해해 보려는 시도가 엿보인다.
이어 2부 ‘민족공통성과 코리언 디아스포라’에서는 앞서 논의한 민족공통성 개념에 근거하여 분단 극복과 통일로 나아가는 과정을 남북관계로만 이해하는 것을 넘어 코리언 디아스포라를 포함한 한민족의 통합 패러다임으로 제시한다. 통일인문학에서는 해외에 흩어져 거주하는 코리언 디아스포라가 갖고 있는 역사적・존재론적 특성을 반영하여 그들이 남북의 적대성을 완화하고 통일의 가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구상하고 있다. 그래서 여기에서는 모든 코리언들의 차이가 서로 존중되고 이해될 수 있는 민족공통성을 창출해 나가는 과정이자, 동시에 민족적 합력을 창출해 나가는 과정으로서 통일한반도의 인문적 비전을 제안하고 있다.
3부 ‘남북통합과 통일학의 모색’에서는 기존의 통일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민족 내부의 차이와 연대에 기반한 새로운 통합 패러다임을 전망하며 통일학의 가능성을 탐구해 본다. 특히 여기에서는 기존의 국가 및 체제 주도의 통일론이 가진 한계에 대한 인문적 성찰을 통해 한민족이 새로운 관계맺음을 통해 함께 만들어 가는 정치・경제공동체로서 통일한반도가 추구할 지향점을 모색하고 있다.
4부 ‘통일의 길’에서는 앞선 논의들을 종합하며 통일한반도가 내포하고 있는 인문학적 방향과 미래지향적 가치를 각각 근대성과 전통의 조화, 통일민속학, 남북 문화통합의 관점에서 조망해 보고 있다. 이러한 시도들은 통일 논의를 경제적・사회과학적 관점에만 한정시키는 기존의 통일담론에 신선한 관점과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에 실린 글들 대부분은 국내・외 학술지나 잡지 등을 통해 발표된 바가 있는 글들이며 그것 중에 한 두 개의 글은 다른 책에 실린 경우도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책으로 전체 논문들을 다시 엮은 것은 ‘소통・치유・통합의 통일인문학’이라는 이론적 틀에서부터 그것의 적용까지 전체적인 틀을 보여 주는 데 없어서는 안 되는 글이며 이 책을 통해서 우리는 통일인문학 전체를 보여 주고자 했다. 아마도 독자들은 이 세 권의 책을 통해서 그동안 ‘통일인문학’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기초하여 진행되어 왔던 연구 성과의 현재적 지점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독자들은 이 세 권의 책을 통해서 통일인문학연구단이 어떻게 소통・치유・통합의 통일인문학이라는 길을 찾아 왔는지를 연대기적으로, 이론추상에서 현실적 적용까지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민족공통성의 이론적 개념화

헤겔 ‘타자’ 개념의 정치철학적 의미: ‘북한이라는 타자’의 존재론적 기반과 그 함축 [박민철]
<만파식적> 설화의 다시읽기를 통한 통합의 의미 탐색 [김종군]
원효(元曉) 화쟁사상(和諍思想)과 그 현대적 의의 [정상봉]
민족공통성 개념에 대한 고찰 [이병수]

|제2부| 민족공통성과 코리언 디아스포라

분단 극복의 민족적 과제와 코리언 디아스포라 [김성민・박영균]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민족공통성 연구방법론 [박영균]
민족정체성 연구의 양적・질적 대립과 해체-소통적 연구방법론 [박영균]

|제3부| 남북통합과 통일학의 모색

민족통일의 토대로서 공정사회 [김기봉]
통일학의 정초를 위한 인문적 비판과 성찰 [김성민・박영균]
남북통일 사상의 ‘하부구조’에 관한 시론: 흡수통일론과 통일 민족경제론을 중심으로 [손석춘]

|제4부| 통일의 길

한(조선)반도 근대성과 민족전통의 변용 [이병수]
민족이데올로기의 검토와 통일민속학 모색 [김 면]
문화통합의 관점에서 본 남북협력사업 평가와 전망 [전영선]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