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특수자료

특수자료

기증도서세계정치 22

글로벌 냉전의 지역적 특성

발행사항
서울: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2015
형태사항
317p. :. 22cm
총서사항
세계정치
ISBN
9791185617497
청구기호
349 세14그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G0015637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001563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글로벌 냉전의 지역적 특성

‘냉전’에 관한 연구는 냉전의 종언 이후 오히려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방법론과 내용 면에서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지금까지 냉전은 주로 유럽에서 시작된 미국과 소련의 대립, 그리고 미, 소 갈등의 세계화 과정 차원에서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의 작업들은 미, 소 양국 사이에 존재한 제3세계의 관점, 그리고 글로벌 수준의 냉전이 아닌 지역적 냉전의 차별성을 강조하는 경향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이번 세계정치 22호는 유럽, 동북아, 동남아, 중동,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의 지역적 구분을 토대로 하여, 각 지역에서 형성된 냉전의 특성 및 글로벌 냉전과의 관계를 비교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통해 냉전은 전세계적으로 단일한 현상이 아니었으며, 지역에 따라 기원, 전개, 종언, 결과, 지속의 면에서 서로 달리 전개되었음을 밝힌다.


세계정치 시리즈


〈세계정치〉 시리즈는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가 기획하는 작업이다. 한국의 국제정치학이 과도한 정책지향성을 극복하고, 세계정치의 보편성과 동아시아와 한국의 경험과 관점을 균형 있게 바라보면서 한국 국제정치학의 정체성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글로벌 냉전의 지역적 특성〉은 22번째 책이며 글로벌 냉전을 지역적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한다.
2015년 10월 출간 예정인 <세계정치> 23호는 에너지 국제정치라는 주제로 최근의 긴박한 글로벌 에너지 현안을 점검하고, 향후의 국제적 에너지 지각변동을 논의한다.
목차

서문

제1장 유럽 냉전의 개요 ? ‘탈냉전’의 관점에서
I. 전제와 관점
II. 유럽 냉전체제의 특징
1. 냉전의 ‘중심’, 또는 ‘중요한 일부’?
2. 독일분단
3. 동맹체제
III. ‘평화사’의 관점에서 본 유럽 냉전
1. ‘평화사’의 관점
2. 동방정책과 유럽안보협력회의
3. ‘약자의 위력’: 오스트리아와 핀란드
IV. 1980년대 ‘핵위기’와 평화운동
1. 재무장과 ‘핵위기’
2. 평화운동
V. 유럽 냉전의 해체
1. 1989년 혁명
2. 독일통일
VI. 맺는말: ‘탈냉전’ 유럽, 끝나지 않은 이야기?

제2장 글로벌 냉전과 동북아시아
I. 서론
II. 동북아시아 냉전의 역사적 조건: 냉전 이전의 냉전
III. 동북아시아 냉전의 외적 조건: ‘얄타체제’의 성립과 변용
IV. 동북아시아 냉전의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의 결합: ‘냉전적 분위기’에서 냉전으로
V. 동북아시아 냉전의 구조
VI. 결론

제3장 냉전의 동남아시아적 전개 ? 글로벌 냉전의 개입과 지역 자율성
I. 서론
1. 냉전사 연구의 신조류와 냉전의 동남아시아적 다양성
2. 1960년대 동남아시아 지역기구 설립 재평가의 의의
II. 미국 냉전 전략과 동남아시아 개발구상
1. 전후 미국의 동남아시아 관여
2. 존슨 정권의 동남아시아 개발구상
3. 동남아시아 지역주의에의 영향
III. ASEAN 설립과 지역 자율성
1. 인도네시아 정변과 지역협력의 진전
2. ASEAN 설립과 역내국의 이해관계
3. 냉전체제와의 관련성: 미국 요인
IV. 결론

제4장 중동 냉전의 역사와 지역적 특성
I. 서론
II. 아랍 민족주의의 부흥과 중동 냉전의 고착화(1955-67)
1. 바그다드조약기구의 창설과 냉전의 중동 지역 침투
2. 아이젠하워 독트린과 아랍 냉전 구도의 개시
3. 케네디 행정부의 아랍 민족주의 포섭 실패와 냉전 진영의 고착화
III. 아랍-이스라엘 갈등의 냉전 편입과 중동 평화협상의 한계 (1967-79)
1. 6일 전쟁과 아랍-이스라엘 갈등의 냉전 편입
2. 냉전적 고려와 1970년대 아랍-이스라엘 평화협상의 한계
IV. 정치 이슬람의 도전과 초국가적 지하드의 형성(1979-89)
1. 이란혁명과 정치 이슬람의 확산
2.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과 미국의 무자헤딘 지원
3. 정치 이슬람의 혁명적 변형으로서의 글로벌 지하드의 형성
V. 결론
1. 냉전과 중동 역내 문제의 변형과 방치
2. 냉전 초월적 정치이념의 확산과 중동 국가의 자율성
3. 글로벌 냉전과의 밀접한 연관성

제5장 지역적 맥락에서의 아프리카 냉전 사례
? 1970년대 에티오피아의 사회주의화와 소련의 개입과정을 중심으로
I. 서론
II. 후기식민주의시대 아프리카 냉전의 주요 특징
1. 제국주의의 종언과 아프리카 탈식민화의 배경
2. 아프리카 신생국들의 자유주의 담론과 공산주의 담론의 전략적 활용
III. 에티오피아 혁명의 발호와 소련과의 관계정립 초기과정(1974년)
1. 멩기스투의 군사정권 설립 및 급격한 사회개혁 추진
2. 데르그의 마르크스-레닌주의에 기반한 정치규범 강화
3. 멩기스투 정권의 소련에 대한 구애와 소련의 비판적 판단
IV. 혁명 직후 소련-에티오피아 관계의 변화 시기(1974년-75년)
1. 멩기스투 초기정권의 사면초가적 상황과 소련의 소극적 관계설정
2. 미국을 적대적으로 활용한 멩기스투의 대소련 구애전략
V. 소련-에티오피아 관계강화시기(1975-76)와 아프리카 뿔 지역질서의 붕괴(1977)
1. 소련의 아프리카 뿔 지역에 대한 인식변화
2. 에티오피아의 대소련 이데올로기 협력강화
3. 소련과 소말리아의 관계악화 시작
4. 오가덴 전투와 데탕트 붕괴의 서막
VI. 결론

제6장 라틴아메리카의 ‘뜨거운 냉전’ ? 게릴라전, 내부냉전, 국가폭력의 교착
I. 서론
II. 미국 주도의 반공전선 대(對) 쿠바혁명
III. 라틴아메리카의 군부독재와 국가폭력
IV. 장기내전과 내부냉전의 격화
1. ‘추악한 전쟁’과 ‘콘도르 작전’
2. 장기내전과 제노사이드
V. 민주화 이행기 내부냉전의 잔존과 미국-쿠바 관계의 변화
1. 1980-90년대 내부냉전의 여파
2. 쿠바혁명 체제의 내핍과 미국-쿠바 관계의 전망
VI. 결론

자유주제
제7장 종족, 신가산제, 그리고 아프리카 내전 ? 엘리트-대중 상호관계 이론
I. 서론
II. 엘리트와 대중의 이해관계 분리
III. 종족, 신가산제, 그리고 아프리카 내전
IV. 대중에 대한 종족차별과 라이베리아 내전
V. 엘리트에 대한 종족차별과 라이베리아 내전
VI. 결론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