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1자료실 | G001172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G001172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책 소개
우리는 유럽 역사교과서의 시선을 통해서 우리가 깨닫지 못하고 있지만 동아시아 각국사의 경계를 가로질러 관통하고 있는 보다 큰 동아시아사의 맥락을 드러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 책의 저자들은 특히 각국 역사교과서에서의 동아시아 개념 사용, 동아시아 각국에 대한 서술 분량,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들, 지역사로서의 동아시아사에 대한 인식의 존재 여부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또한 동아시아 내부질서와 역학관계에 대한 미국과 유럽 국가들의 편견과 왜곡을 파악하고 그것을 시정하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같은 분류의 자료
- 독도이슈 60년과 한국의 영토주권: 독도 이벤트데이터(1952~2010년)
- 일본국회 독도관련 기록 모음집 Ⅰ부(1948~1976년)
- 보고서독도논문번역선 Ⅲ
- 독도와 한일관계: 법·역사적 접근
- 한일공문서를 통해 본 독도
검색 페이지에서 더 많은 자료를 확인해 보세요.더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