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기증도서대한민국 근현대사 시리즈 2

참혹했던 비극의 역사 1948년 제주 4·3사건: 1946년 10월 1일 대구폭동사건

개인저자
박윤식 지음
발행사항
부천 : 휘선, 2011
형태사항
235 p., 1장 (접지) ;. 26 cm
총서사항
대한민국 근현대사 시리즈
ISBN
9788994106076(2) 9788994106106 (세트)
청구기호
911.07 박67ㅊ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G0013737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001373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역사적 진실을 정밀하게 담은 불멸의 사료로서 온 국민의 필독 대작!
격동의 역사 현장에서 결정적인 순간들을 직접 목격한 저자가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45년간 연구하며 설교했던 조각들을 철저한 현장답사와 증언자들의 생생한 증언을 토대로 4권의 시리즈로 집대성한 근현대사 이해의 길잡이!
6.25전쟁에 참전한 노병의 살아 있는 애국혼으로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일깨우는 불후의 명작!

◆근현대사 시리즈 2 : 제주 4.3폭동 / 1948년 4월 3일
남조선노동당(남로당)은 중앙당의 지령에 따라 남한의 단독선거(1048.5.10)를 방해하며 제주도의 공산화는 물론 대한민국 정부를 전복시키려는 무장폭동계획을 수립, 1948년 4월 3일 새벽 2시를 기해 제주도 내 12개 지서를 습격, 불을 지르고 행정관서를 장악함으로써 경찰에 큰 타격을 주었다.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금족령을 해제하고 백록담에 평화기념비를 세우기까지 6년 6개월 동안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길고 비극적인 반란이었다.
목차

저자 서문
들어가면서

1. 우리나라 초기 공산주의의 배경
(1) 1919년 3·1독립운동 이후 전개된 공산화의 물결
(2) 1925년 조선공산당과 고려공산청년회 조직
(3) 6·10만세 운동 이후 조선공산당 사건
(4) 공산주의의 지하활동

2. 해방 이후 공산주의의 확산
(1) 해방과 동시에 38선으로 분단된 조국
(2) 해방 직후, 박헌영의 등장과 조선인민공화국
(3) 조선공산당의 조선정판사 위조지폐 사건
(4) 위조지폐 사건 이후 박헌영의 월북(1946년 9-10월)
(5) 북로당(김일성의 북조선 분국)과 남로당(박헌영의 서울 중앙당)
(6) 1946년 9월 총파업(23일부터 약 1주일간)

3. 1946년, 대구 10·1폭동 사건
(1) 대구 10·1폭동 사건의 전개
(2) 경북 도내 군청과 경찰서의 피해
(3) 경관들의 치료를 거부한 대구의사회
(4) 경북·경남·전남 지역 등 전국으로 폭동 확산
(5) 대구 10·1폭동 사건의 배후
(6) 대구 10·1폭동 사건의 결과

4. 1948년, 제주 4·3폭동 사건
(1) 한반도의 최남단, 제주도의 공산당 조직
(2) 1947년, 제주 3·1발포사건
[별지 2] 1947년 3·1발포 사건 당시 제주북초등학교 주변
(3) 5·10단독선거 반대를 위한 1948년 2·7폭동 사건
(4) 4·3폭동의 결정 시기
(5) 4·3폭동 사건의 시작
(6) 5·10단독선거 반대 폭동 사건
(7) 5·10단독선거 결과 제헌국회와 대한민국 정부수립

5. 김익렬(9연대장)과 김달삼(인민유격대 사령관)의 평화협상
(1) 제주도 모슬포 주둔 9연대에 진압 작전 요청
(2) 인민유격대 사령관 김달삼과의 평화협상
(3) 제주 9연대장 김익렬 중령의 해임(1948년 5월 6일)

6. 4·3폭동 발생 이후 제주 남로당의 음모
(1) 제주 9연대 41명의 탈영
(2) 연대장 박진경 대령 피살
(3) 최경록 연대장을 암살하려는 문상길의 음모
(4) 포로수용소장이 된 오일균 소령의 음모
(5) 한의사를 통해 총과 실탄을 빼돌린 김창봉 대위
(6) 해주인민대표자대회에 참석차 월북한 김달삼

7. 제주 인민유격대 제 2대 사령관 이덕구의 폭동
(1) 인민유격대 제 2대 사령관 이덕구(1948. 8.-1949. 6. 7)
(2) 1948년 9-10월, 인민유격대 폭도들의 학살과 만행
(3) 1948년 10월 11일, 제주도 경비사령부 설치
(4) 1948년 10월 17일, 무허가통행금지 포고령
(5) 1948년 10월 24일, 대한민국을 상대로 이덕구의 선전포고
(6) 인민유격대와 내통한 제 9연대 내 비밀조직 발각(10월 28일)
(7) 1948년 11월 2일, 폭도들의 제주 9연대 6중대 공격
(8) 제주도경찰국 내의 인민유격대 내통 비밀조직의 발각(11월 7일 제주도 적화음모사건)
(9) 계엄 선포
(10) 폭도들의 공격과 진압군의 공격(중산간 마을 사람들의 피해)
(11) 제 9연대를 대전 제 2연대와 임무교대(1948년 12월 29일)
(12) 제주도지구 전투사령부 신설(1949년 3월)
(13) 이덕구의 최후(1949년 6월 7일)
(14) 이덕구를 이은 인민유격대 사령관들

8. 결론 - 제주 4·3폭동의 결과와 진상

글을 맺으면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