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
헨리 키신저의 회복된 세계
- 대등서명
- A World Restored: Metternich, Castlereagh and the Problems of Peace, 1812-1822
- 개인저자
- 헨리 키신저 지음, 박용민 옮김
- 발행사항
- 서울:,북앤피플,,2014
- 형태사항
- 662 p. : 23cm
- ISBN
- 9788997871094
- 청구기호
- 340.92 키59ㅎ
- 서지주기
- 찾아보기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1자료실 | 0001465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0001465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책 소개
프랑스 혁명은 유럽에서 국가의 관념을 바꾸었다. 그리고 혁명은 그것을 일으킨 사람들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나폴레옹의 집권과 전 유럽을 휩쓴 전쟁으로 이어졌다. 1803년부터 1815년 사이에 벌어진 ‘나폴레옹 전쟁’은 유럽의 근대국가가 현대국가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겪은 혹독한 성장통이었다. 이 전쟁의 여파로 유럽에서 국민개병제가 일반화 되었고, 프랑스에서 군주제가 부활했으며, 신성로마제국은 해체되었고, 영국은 다가올 한 세기를 선도할 강대국으로 부상했다.
키신저는 이 책을 통해서 나폴레옹이 러시아를 침공에 실패함으로써 급격히 쇠락하기 시작하던 1812년부터 10년간의 유럽 정치사에 현미경을 들이댔다. 그것은 유럽 국가들이 복잡다단한 외교를 통하여 새 질서를 인위적으로 수립해 가던 기간이었다. 미숙한 눈이 ‘왕정의 복고’라는 반동적 현상만을 관찰하기 쉬운 지점에서, 키신저는 평화를 지탱할 원칙이 형성되었음을 보았다. 회복된 구질서의 외관은 얼마 가지 못했지만, 이 기간에 마련된 원칙은 이후 백년 간 평화를 지탱했다. 키신저는 국제관계의 질서를 유지하는 힘이 ‘정통성’이라고 보았다.
그래서 《회복된 세계》[원제 :《A World Restored: Metternich, Castlereagh And The Problems Of Peace, 1812-1822》]는 오늘날에도 큰 함의를 가진다. 2014년 현재, 지금까지 국제질서를 지탱해 오던 정통성은 강하고 집요한 도전에 직면하여 눈에 띄게 쇠퇴하고 있기 때문이다. 브레튼 우즈 체제의 변용을 통해 유지해 오던 국제금융체제가 한계를 노정하고 있고, 핵 비확산체제도 심각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는데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여러 곳에서는 수십 년간 현상유지 양상을 보이던 해양의 경계와 관련된 문제도 수면으로 부상하고 있다.
나폴레옹 전쟁 직후 유럽 국가들이 정통성 회복을 위해 노력한 결과, 유럽은 역사상 가장 긴 평화를 누렸다. 그러나 모든 오늘은 어제의 업보이고, 모든 내일은 오늘의 업보다. 오래도록 유지된 평화는 전쟁의 고통을 망각의 강 저편으로 떠내려 보냄으로써 각국의 무분별한 군비경쟁을 촉발했고, 결국 세계대전을 불러왔다.
긴 평화의 시대를 누린 후 군비경쟁이 심화되는 현상은, 불행한 일이지만, 2010년대의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낯설지 않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이 담고 있는 교훈은 어쩌면 저자가 이 책을 저술한 1950년대보다 오늘날 더 큰 적실성을 가지고 있을지도 모른다. 이 책이 국제정치에 관심을 가진 우리나라의 독자들에게 지혜를 더해줄 수 있다면 더없이 기쁘겠다.
키신저는 이 책을 통해서 나폴레옹이 러시아를 침공에 실패함으로써 급격히 쇠락하기 시작하던 1812년부터 10년간의 유럽 정치사에 현미경을 들이댔다. 그것은 유럽 국가들이 복잡다단한 외교를 통하여 새 질서를 인위적으로 수립해 가던 기간이었다. 미숙한 눈이 ‘왕정의 복고’라는 반동적 현상만을 관찰하기 쉬운 지점에서, 키신저는 평화를 지탱할 원칙이 형성되었음을 보았다. 회복된 구질서의 외관은 얼마 가지 못했지만, 이 기간에 마련된 원칙은 이후 백년 간 평화를 지탱했다. 키신저는 국제관계의 질서를 유지하는 힘이 ‘정통성’이라고 보았다.
그래서 《회복된 세계》[원제 :《A World Restored: Metternich, Castlereagh And The Problems Of Peace, 1812-1822》]는 오늘날에도 큰 함의를 가진다. 2014년 현재, 지금까지 국제질서를 지탱해 오던 정통성은 강하고 집요한 도전에 직면하여 눈에 띄게 쇠퇴하고 있기 때문이다. 브레튼 우즈 체제의 변용을 통해 유지해 오던 국제금융체제가 한계를 노정하고 있고, 핵 비확산체제도 심각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는데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여러 곳에서는 수십 년간 현상유지 양상을 보이던 해양의 경계와 관련된 문제도 수면으로 부상하고 있다.
나폴레옹 전쟁 직후 유럽 국가들이 정통성 회복을 위해 노력한 결과, 유럽은 역사상 가장 긴 평화를 누렸다. 그러나 모든 오늘은 어제의 업보이고, 모든 내일은 오늘의 업보다. 오래도록 유지된 평화는 전쟁의 고통을 망각의 강 저편으로 떠내려 보냄으로써 각국의 무분별한 군비경쟁을 촉발했고, 결국 세계대전을 불러왔다.
긴 평화의 시대를 누린 후 군비경쟁이 심화되는 현상은, 불행한 일이지만, 2010년대의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낯설지 않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이 담고 있는 교훈은 어쩌면 저자가 이 책을 저술한 1950년대보다 오늘날 더 큰 적실성을 가지고 있을지도 모른다. 이 책이 국제정치에 관심을 가진 우리나라의 독자들에게 지혜를 더해줄 수 있다면 더없이 기쁘겠다.
목차
한국어판 저자 서문
감사의 글
제1장 서론
외교의 한계 ― 안정적 국제 질서의 요인들 ― 정치의 도전
제2장 대륙의 정치가
메테르니히의 성격 ― 국제관계에 대한 그의 관점 ― 그의 초창기 외교 경력 ― 외교장관직 임명 ― “협력”의 성격 ― 나폴레옹의 러시아에서의 패배가 가지는 함의
제3장 도서국가의 정치가
캐슬레이의 성격 ― 국제관계에 대한 그의 관점 ― 캐슬레이와 영국의 국내 체제 ― 메테르니히의 중재 제안에 대한 캐슬레이의 반응 ― 피트 구상
제4장 메테르니히와 정치적 균형상태의 정의
메테르니히의 중재 정책 ― 오스트리아의 전술에 대한 그의 정의 ― 크네제베크 보고서 ― 런던 및 대불동맹 사령부에 파견된 사절에게 내린 메테르니히의 훈령 ― 알렉산드르와의 협상 ― 정치적 균형상태에 관한 메테르니히의 관념 ― 슈바르첸베르크 훈령 ― 전쟁의 원인과 평화의 성격
제5장 동맹의 성립
메테르니히와 오스트리아의 국내 체제 ― 정통적 질서와 변혁적 질서의 관계 ― 현상유지 정책의 선포 ― 오스트리아의 중재 개시 ― 정통적 및 변혁적 질서에서 협상의 기능 ― 드레스덴 면담 ― 프라하 회의 ― 메테르니히 외교의 본질
제6장 동맹의 시험
대불동맹에 관한 도서국가의 관념 ― 메테르니히에 대한 캐슬레이의 불신 ― 폴란드 문제 ― 일반적 동맹조약을 위한 캐슬레이의 구상 ― 동맹전쟁의 문제 ― 프랑크푸르트 제안 ― 캐슬레이의 대륙 파견
제7장 동맹의 위기
대불동맹에 대한 캐슬레이의 관점 ― 전쟁목표의 기능 ― “정통성” 있는 동맹 ― 캐슬레이와 메테르니히 사이의 양해 ― 랑그르 회의The Council at Langres ― 샤티용 회의The Congress of Chatillon ― 첫 단계 ― 트로아 회의The Council at Troyes ― 전쟁목표의 정의
제8장 쇼몽Chaumont 조약과 평화의 본질
샤티용 회의 ― 두 번째 단계 ― 카리스마적 지배의 숙적 ― 쇼몽 조약 ― 부르봉 왕가의 부활 ― 회고적 강화講和와 전향적 강화 ― 파리 조약
제9장 비엔나 회의The Congress of Vienna
안정적 강화講和의 요소들 ― 안보와 정통성 ― 비엔나에 모인 외교관의 면면 ― 절차적 문제 ― 폴란드에 관한 협상 ― 작센에 관한 협상 ― 캐슬레이의 국내적 애로 ― 탈레랑의 4대강국 회의 참가 ― 1월 3일의 비밀동맹 ― 최종적 강화 ― 정통적 질서의 구축
제10장 신성동맹The Holy Alliance과 안보의 본질
나폴레옹의 탈출과 유럽의 단합 ― 전쟁의 정통성 확보 ― 집단안보의 문제들 ― 제2차 파리조약 ― 4국동맹과 신성동맹 ― 정치가와 예언자 ― 첫 단계
제11장 메테르니히와 보수주의적 양난
보수주의와 변혁 ― 의무와 충성심의 관념 ― 합리주의자와 역사적 보수주의 ― 헌법의 본질에 관한 메테르니히의 사상 ― 보수주의적 양난 ― 오스트리아의 국내 체제 ― 경세經世와 행정
제12장 엑스라샤펠Aix-la-Chapelle 회의와 평화의 조직화
정통적 질서 하에서의 외교 ― 새로운 국제질서의 구성요소 ― 오스트리아와 영국 간 협조의 기초 ― 사회적 투쟁과 정치적 투쟁 ― 엑스라샤펠 회의를 위한 훈령 ― 엑스라샤펠에서의 논점 ― 회의의 결론
제13장 카를스바트 결의The Carlsbad Decree와 중앙유럽의 지배
오스트리아와 중부 유럽의 관계 ― 독일의 조직화 ― 통일에 대한 기대의 소멸 ― 코체부Kotzebue의 암살 ― 테플리츠 및 카를스바트에서의 회의 ― 각국의 반응 ― 오스트리아와 영국 간 협조의 한계적 사례
제14장 트로파우Troppau 회의와 유럽의 조직화
“메테르니히 체제”의 구조 ― 혁명에 대한 영국의 관념 ― 나폴리의 혁명 ― 메테르니히의 양난 ― 신성동맹의 해석 ― 트로파우 회의 ― 캐슬레이의 반응 ― 메테르니히의 성공
제15장 라이바흐Laibach 회의와 유럽 정부
메테르니히 외교의 전술 ― 라이바흐 회의 ― 제1단계 ― 캐슬레이와 동맹 ― 피에몬테Piedmont의 혁명 ― 메테르니히의 정책 재천명 ― 외교의 무용성 ― 유럽의 단합
제16장 그리스의 봉기
그리스의 봉기 ― 제1단계 ― 정치가와 예언자 ― 제2단계 ― 신성동맹의 재해석 ― 캐슬레이의 동맹 재가입 ― 하노버 회견 ― 알렉산드르에 대한 메테르니히의 호소 ― 타티체프Taticheff와 메테르니히의 협상 ― 초청장과 각서 ― 도서국가의 정책과 대륙국가의 정책의 양립불가능성에 관한 인식
제17장 경세statesmanship의 본질
회의 체제의 종언 ― 캐슬레이와 메테르니히의 경세가 남긴 교훈 ― 경세의 본질
역자의 글
참고 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