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1자료실 | G0017072 | 대출가능 | - | |
1자료실 | G001707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G001707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 등록번호
- G001707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는 북한에서 국가-사회 관계 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비교 사회주의 및 비교 정치학적 연구를 통해 북한체제를 ‘북한식 전체주의 산업사회’로 규정하고, 북한에서 국가-사회 관계에 관한 이론틀 및 인식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 중 냉전 종결 이후에 재정립된 신-전체주의론은 각 국가가 ‘총체적 통제’의 프로그램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의지, 대내외 여건, 실현수준과 양상 등이 국가별 혹은 시기별로 다르며, 국가에 의한 통제에 대한 개인과 사회의 순응, 적응, 저항, 회피 등 쌍방 간의 적극적 상호작용을 강조한다. 국가-사회 관계의 관점에서 소련, 중국, 북한을 비교할 때, 북한식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조직생활 사회 모델이다. 북한의 조직생활은 정권의 개인에 대한 ‘총체적 통제’ 시도라는 전체주의적 의도를 가장 철저하게 또한 북한식으로 체현하고 있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그리고 현재의 김정은 체제에 이르기까지 북한 주민은 표현의 자유, 각종 부패현상, 체제 이탈 등 다양한 인권의 영역에서 질적인 변화양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북한에서 국가-사회 관계 양상의 전개에 큰 시사점을 제공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한동호 ․ 박형중
Ⅱ. 이론적 검토|박형중
1. 스탈린주의 연구에서 국가-사회 관계
2. 중국연구에서 국가-사회 관계
3. 소결
Ⅲ. 북한에서 국가-사회 관계 모델 시론|박형중
1. 신-전체주의 모델 개념틀의 적용
2. 북한에서 국가-사회 관계: 소련/중국과 비교한 특징
3. 소결
Ⅳ. 북한식 전체주의와 조직생활사회|최사현 ․ 박형중
1. 기본 특성
2. 하부구조
3. 제도와 운영
4. 문화적 특징과 변천
5. 소결
V. 북한에서 국가-사회 관계 양상: 인권적 관점|한동호
1. 북한인권에 대한 국제사회의 논의
2. 북한의 조직생활 사회와 북한인권 침해현상
3. 조직생활 ‘동학’의 변화와 그 추세
4. 소결
Ⅵ. 요약과 정책적 함의|박형중 ․ 한동호
참고문헌
미리보기

북한에서 국가-사회 관계 양상 연구PDF
첨부
번호 | 제목 | 유형 | |||
---|---|---|---|---|---|
1 | 북한에서 국가-사회 관계 양상 연구 | 3.7 MB |
- 1북한에서 국가-사회 관계 양상 연구PDF3.7 MB
같은 분류의 자료
- 북한 관료부패 연구
- 中國과 日本의 軍事力 增强이 韓半島 安保에 미칠 影響
- 연구원발간물Prospects for change in North Korea
- 연구원발간물民族統一大計
- 北韓의 南北頂上會談 提議 意圖 및 會談의 展望
검색 페이지에서 더 많은 자료를 확인해 보세요.더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