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연구원발간물KINU 연구총서 2019-23

평화교육의 실태와 쟁점: 통일교육과의 접점을 중심으로

발행사항
서울: 통일연구원, 2019
형태사항
269 p.; 23 cm
총서사항
KINU 연구총서
ISBN
9788984799813
청구기호
000 연구19-23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1자료실G0017427대출가능-
1자료실G0017428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G001742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 등록번호
    G001742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이 연구는 한반도 평화협력의 시대에 평화교육과 통일교육의 접근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작업이다. 평화교육의 역사를 고찰하고 평화 교육과 통일교육 실태와 쟁점을 살펴보았으며, 이에 기초하여 평화교육과 통일교육의 과제를 도출하였다. 통일교육과 평화교육은 분단의 역사 속에서 분단과 남북 간의 대립, 분단으로 인한 폭력과 비평화를 해소하기 위한 교육으로 자리매김하였고, 그 과정에서 접점을 형성하고 공동의 영역을 만들어왔다. 평화교육의 역사 고찰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한국의 평화교육은 그 태생에서부터 분단의 극복과 민족화해라는 문제를 중심에 놓았다. 한국에서 평화교육은 우리 사회의 폭력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인 분단문제를 고민하지 않고 이루어질 수는 없는 것이었다. 그 점에서 평화교육과 통일교육은 태생에서부터 한반도의 분단과 통일이라는 출발점을 공유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화교육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교육실천과 통일교육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교육실천의 현재 모습 속에는 교육의 방향성, 내용, 주체 등의 측면에서 서로 다른 특성과 강조점이 나타난다. 특히 통일교육 영역에서 최근 평화‧통일교육이라는 명칭으로 기존 통일교육과의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지만, 한반도 평화에서 통일의 위상, 통일의 당위성 문제, 적극적 평화와 안보문제, 학습자의 주도성 등을 다루는 관점에서 평화교육과의 차이가 존재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평화교육과 통일교육 중 어느 하나가 다른 쪽을 대체하거나 양자를 통합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보다는, 평화교육과 통일교육이 양자의 문제의식을 공유하면서 한반도 분단과 통일문제를 평화의 관점과 가치에 입각해서 다루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위한 정책과 제로 ① 교육 방향성 정립과 이를 위한 사회적 논의, ② 역량중심으로 평화교육 및 통일교육 내용체계 개편, ③ 민간 영역의 자율성 확대와 거버넌스 구축, ④ 시대적 과제와 평화지향성을 반영한 통일교육 관계법령 정비를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 목적 및 내용 2. 연구 방법 Ⅱ. 평화교육의 역사: 통일교육과의 만남 1. 평화교육의 모색과 싹틈(1980년대 – 1990년대 초반) 2. 평화교육의 구체화와 발돋움(1990년대 중반 - 2000년대 중반) 3. 평화교육의 세분화와 비균질적인 활성화(2000년대 후반 – 현재) Ⅲ. 평화교육 및 통일교육 프로그램 실태 1. 평화교육 프로그램 실태 2. 통일교육 프로그램 실태 3. 평화교육 및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특징 Ⅳ. 평화 ‧ 통일교육의 방향성과 쟁점 1. 평화‧ 통일교육: 통일교육의 평화교육적 전환? 2. 평화‧ 통일교육의 쟁점 Ⅴ. 결론: 평화교육과 통일교육의 접점과 과제 1. 요약 2. 평화교육과 통일교육의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