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신착자료

신착자료

단행본

북한이탈청소년과 남한청소년의 도덕성, 법의식과 권위 인식

발행사항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형태사항
250p. ; 23cm
ISBN
9788952115171
청구기호
332.209115 이57ㅂ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4960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496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한 개인이 체화하는 도덕성은 그가 속한 공동체의 도덕성과 무관할 수 없다. 도덕적인 존재로 살아가고자 하는 성찰과 노력은 개인적 차원뿐 아니라 공동체 차원에서 이루어진다. 저자들은 북한이탈청소년들이 북한 사회와 중국 사회, 그리고 한국 사회를 거치면서 서로 다른 사회의 도덕적 환경에 노출되어 복잡한 도덕 발달 과정을 겪었을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현재 북한 사회가 공동체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혹은 비공식적으로 어떤 도덕성을 지향하고 교육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도덕성, 법의식, 권위 인식이라는 사회인지 주제를 선택하여 북한이탈청소년과 남한청소년을 대상으로 양적, 질적 자료를 수집해 분석했다.
그 결과, 북한이탈청소년들의 도덕성 발달 과정을 파악하고, 법의식과 사회적 권위 인식의 양상을 확인하는 동시에 북한이탈청소년과 남한청소년들의 사회인지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밝혔다. 또한 북한이탈청소년이 생애 초기에 위기 사건을 경험하면서 환경의 제약을 넘어 어려움을 극복해 가는 과정에서 독자적 자아의 주체성을 보였다는 사실에서 어렴풋이 통일의 희망을 읽을 수 있었다.

[서울대학교통일학연구총서]
북한에 대한 지역연구 차원을 넘어서 통일과정 전반에서 고려해야 할 쟁점을 학제적으로 분석한 학문적 노력의 결과물이자 정치, 경제, 사회, 역사, 문화, 환경의 영역은 물론이고 농학과 이학, 과학기술과 예술 및 체육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영역을 포괄한 총서. 우리시대 최대의 과제인 분단극복과 통일한국을 향한 역사적 장정에 대비하여 소모적인 이념 논란을 지양하고 창조적인 지혜와 정책적 대안을 탐색하는 연구성과.
목차

서울대학교통일학연구총서를 내면서
머리말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심리적 특성과 도덕성
1)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심리적 특성
2) 북한의 정치.사회적 배경과 도덕 교육

제2장 이론적 배경

1. 도덕성 발달
1) 도덕성의 인지발달이론
2) 도덕성의 인지적 측면
3) 도덕성의 정서적 측면
2. 법의식 발달
1) 법과 법의식
2) 법사회화
3) 청소년의 법의식
3. 권위 인식 발달
1) 권위와 권력
2) 권위와 청소년의 도덕적 사회화

제3장 연구방법 및 대상

1. 양적 연구 및 질적 연구의 조사대상 및 방법
1) 조사방법
2) 양적 조사 대상자 특성
2. 양적 연구의 조사도구
1) 도덕성
2) 법의식
3) 권위 인식

제4장 북한이탈청소년과 남한청소년의 도덕성 비교

1. 북한이탈청소년과 남한청소년의 도덕성
1) 도덕판단 수준
2) 친사회성
3) 도덕 정서: 수치심, 죄책감, 공감
2. 북한이탈청소년과 남한청소년의 법의식
1) 법추론
2) 법의식
3) 법 용어 연상
3. 북한이탈청소년과 남한청소년의 권위 인식
1) 권력 인식 및 존경심
2) 권위의 서열화

제5장 북한이탈청소년의 도덕성 사회화 과정

1. 북한에서의 도덕 교육
1) 가정에서의 도덕 교육
2) 학교에서의 도덕 교육
2. 북한에서의 권위 인식
1) 합법적 권위
2) 카리스마적 권위
3) 전통적 권위
3. 탈북과정 및 남한 정착 후 도덕성의 재사회화

제6장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부록: 양적 연구 설문지
찾아보기
Abstract

저자 소개
저자 김창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미국 컬럼비아대학 교육대학원에서 상담심리학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한국 청소년상담원과 계명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1999년 이후에는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상담전공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초기 연구는 대인관계 및 성격문제, 집단상담과 관련된 주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최근에는 애착 및 대인관계에서 내에서 겪는 거절경험의 심리사회적 영향력과 그 결과로 파생되는 정서적 문제의 조절과정 및 정서조절과정의 신경생물학적 기제에 대한 연구로 관심영역을 확장시키고 있다. ...
작가의 다른 작품
저자 진미정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에서 학사, 석사학위를,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Pennsylvania State University)에서 가족학과 인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교수이며, 서울대학교 평생교육원 자격인증교육연구부장을 맡고 있다. 대한가정학회 총무이사와 한국가족학회 총무이사를 역임하였고, 보건복지부 저출산·고령사회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가족정책, 가족인구학,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9권의 역 공저서와 약 35편의 연구논문을 발표하였다. 통일학연구총서와 신서로 『탈북인의 공 사적...
작가의 다른 작품
저자 이순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가정관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석사, 박사(아동학)
한국아동학회, 한국인간발달학회 회장
주요 저서: <탈북가족의 적응과 심리적 통합>(2007, 공저), <탈북민의 가족해체와 재구성>(2009, 공저), <탈북인의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자본>(2009, 공저), <한국아동의 일상생활문화>(2009), <한국인의 자아정체 형성과 변화>(2010), <탈북인의 공.사적 관계와 의사소통>(2011, 공저), <북한이탈청소년과 남한...
작가의 다른 작품

알라딘에서 제공한 저자 정보입니다.상세보기

같은 분류의 자료

검색 페이지에서 더 많은 자료를 확인해 보세요.더 찾아보기